슬기로운 미래 교육 시즌 1 발제문
슬기로운 미래 교육 시즌 1 <대학사회는 COVID 19 위기 국면에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나?> 발제문
각자 선 자리에서 세상을 살다/살리다
인류의 역사, 특히 사냥꾼의 역사를 3분 37초 안에 탁월하게 그려 낸 애니메이션이 있다. 천재 작가 스티브 컷츠Steve Cutts가 2012년 12월 21일에 올린 〈Man〉은 4천만 이상이 본 동영상인데, 한 남자 사람이 딱정벌레를 밟아 죽이고 손을 들어 “앗싸” 하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계속 길을 가면서 그는 뱀을 잡아 가죽 구두를 만들어 신고 닭을 잡아 ‘켄터키 프라이드치킨’으로 튀겨 먹고 양의 다리를 분질러 뜯는다. 좀 더 세련된 모습으로 총을 들고 나타난 그는 물개를 잡아 외투를 만들어 입고 박제 장식을 위해 표범을 죽이고 코끼리 사냥으로 얻은 상아로 피아노 키보드를 만들어 연주하는 고상한 교양인이 되기도 한다. 종이 생산으로 우거진 삼림이 사라지고, 콘크리트 빌딩 숲이 들어선 도시는 밤낮없이 전기를 돌린다. 거대한 축산 농장과 유전자 조작 농산물 공장이 곳곳에 들어서고 온갖 종류의 생체 실험이 자행되면서 생태계는 급격히 파괴된다. 쓰레기 더미가 되어 버린 지구 꼭대기로 올라간 이 남자 사람은 그 어떤 것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늠름하게 걸어가 왕관을 쓰고 왕좌에 앉아 시가를 피운다. 우주선을 타고 지구에 도착한 눈이 한 개, 세 개 달린 외계인들이 그를 기이하게 보다가 왕좌에서 끌어내 밟아 버린다. “Welcome!”이라는 팻말을 남기고 그들은 쓰레기 더미 지구를 떠난다.
2020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창궐로 비상이 걸렸다. 스스로 거리 두기를 하며 자가 격리를 시작하자 야생 동물들이 도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 동영상은 공상이 아니라 현실이다. 눈이 하나, 그리고 세 개 달린 외계인은 오지 않았지만 대신 바이러스들이 출현하고 기후 재앙으로 홍수와 가뭄, 산불이 수시로 일어나 인간들에게 경고를 내리고 있다. 이대로 가서는 안 된다고. 남자만이 아니라 여자들까지도 사냥꾼으로 만들어 버리고 있는 이 파괴적 역사의 끝은 어디일까? 짙어지는 죽임/죽음의 시간을 살림/생명의 시간으로 전환해 내는 것은 가능할까?
나는 이 기이한 상황에서 침몰하는 타이타닉 호를 본다. 서로 살겠다고 아우성치는 사람들, 평화롭게 죽어 가겠다고 갑판에서 바이올린을 켜는 사람들, 그 속에서도 사랑을 나누는 사람들, 모른 척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침몰을 일찍이 감지하여 ‘헬 (조선)’을 말하던 대한민국 청년들은 갑자기 ‘위대하고 자랑스러운 나라’로 부상하고 있는 상황에 당황하고 또 감격해한다. 서구 선진 자본주의 제국들이 어이 없이 무너지는 가운데서 그나마 제대로 방역을 하고 있는 나라에 대해, 그나마 덜 망가진 상태에서 자부심을 느끼기 시작한 것이다. 군사주의와 기술 제일주의에 바탕을 둔 서구 자본주의는 19세기와 20세기 초 ‘벨 에포크(가장 아름다운 시대)’를 찍은 후 제1, 2차 세계대전을 겪으며 몰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여성을 억압하고 생명과 평화를 무시하며 제국주의적 확장을 통해 꽃을 피운 서구 근대 문명은 전후 신생국(미국)의 등장으로 또 한 번의 꽃을 피우는 듯했지만 사실상은 ‘조직화된 폭력’의 시대를 유지하며 몰락을 앞당기고 있다. 일찍이 타자의 몸과 영혼을 지배하는 제국주의가 자본주의의 핵심 모순이라고 지적한 로자 룩셈부르크가 1919년에 살해당하지 않았다면 상황은 조금 나아졌을까?
아나키스트로 분류되어 온 크로포트킨의 책, 《만물은 서로 돕는다》를 다시 꺼내 읽는다. 그는 이 책에서 다윈이 <종의 기원>에서 강조한 ‘생존 투쟁’이 아니라 실은 ‘상호 부조’가 더 중요한 법칙임을 말하고 있다. 인간만이 아니라 모든 생물학적인 종species이 계속 진화하기 위해서는 상호 투쟁이 아니라 상호 부조가 핵심이라는 것이다. 근대 자본주의 이전의 사회들에서 나타나는, 동물의 세계에서도 나타나는 상호 돌봄의 원리가 무엇인지를 보여줌으로 앞으로도 인류가 기억해내고 실천해 내야하는 것을 일러준다. 변화는 오고 있다. 아침에 눈을 떠서 밥맛이 없어도 부지런히 살아야 할 이유가 있다. 함께 물어야 할 질문들이 있다. 국가는 무엇이며 가족은 또 무엇인가? 남자와 여자는 무엇인가? 모든 관계가 깨져 나가는 지금, 공생의 기쁨을 경험하는 새로운 삶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코로나 사태의 긴박함이 수그러들면서 모두가 답을 내고 모두가 이론가와 전문가가 되었다. 그 전문가들의 이야기, 그 독백을 들어내기가 힘들다. 지금은 각자가 선 자리에서 제대로 모여야 하는 때가 아닐까? 총체적 진리라고 말하는 거대서사의 허망함을 느껴야 하는 때 아닌가? 소박하게 둘러앉기를 제안한다. 연세대에 몸담은 일원으로서, 다음 세대를 가르치는 선생으로서, 가족을 가진 성원으로서, 여자로서, 손자가 살아갈 세상을 염려하여 할머니 서당을 연 노인으로서, 내 문제를 가지고 내가 사랑했는 곳을 지키는 후배들을 만나러 여기에 왔다. 무슨 이야기를 할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내가 겉도는 말이 아닌 마음으로, 대학이라는 학문 공동체의 일원으로 진솔하게 고민을 나누기로 한 것 자체가 혁명적인 일이니까. 방역의 주체가 아닌 전환의 주체로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바로 여기, 내 앞의 사람을 자세히 보고 오래 보면서 지속가능한 인류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가자. (20200512)
목록 | 제목 | 날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