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후광 학술상 기조 강연 발표 자료

조한 2021.06.15 08:59 조회수 : 235

내가 수상할 상이 아닌 것 같아 한참을 망설이다 받은 상이다. 

수상을 하는 <아시아의 민주주의> 학회장소에 가서

세미나에 참석하다보니 세상이 좀 변했다는 생각.

생각보다 열린 공동체이고 청년 여성들의 발표문이 훌륭하다.

이른바 좌파와 페미니즘 간의 알력 같은 것도 사라지고 있다. 

우리에게 시간이 좀 더 남아 있다면 좋겠다.

파상력을 토대로 세상을 새로 만들어갈 수 있을 텐데.

멸종의 시대에 책임을 지고 살아간다는 것, 

망가진 행성에서 책임을 지고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한다. 

 

수상 위원위가 만든 수상문에 훌륭했다.

정신없이 바쁜 교수들이 이렇게 정성을 기울이다니!

내가 소싯적에  쓴 책,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읽기와 삶 읽기>를 읽어

그 때의 기억으로 정성을 들였던 것 같다.

한 때 생각과 시간을 공유한다는 것. 중요하다.  

 

행사관련 기사 내용은 한결 같다.

아래: 

 

전남대학교 후광학술상 수상자로 조한혜정 연세대 명예교수(73)가 선정됐다. 시상식은 11일 전남대 총장 접견실에서 간소하게 이뤄졌다. 조한혜정 교수는 이날 오후 인문대 김남주홀에서 열린 5.18 제41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에서 '낡은 것은 가고 새 것은 오지 않은 시간에 나누는 민주 인권 평화 이야기'를 주제로 기조강연에 나섰다.

조한혜정 교수는 제주해녀에 대한 박사학위 논문(1979)을 통해 한국의 가부장제와 젠더문화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을 제시했고, '돌봄 철학' 등 시대를 이끌어가는 비전을 제시했으며, 이를 실현하는 대안문화와 대안교육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왔다. 또 1980~90년대에는 한국사회와 문화의 식민지성을 비판하고 여성주의적 대안을 모색했으며, 당대의 사회적 쟁점과 문화현상을 연구하는 학제간 연구는 물론 시민사회와의 연대를 통해 한국사회의 개혁을 선도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의 여성과 남성」,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한국의 여성과 남성 2」 등이 있다. 선정위원회는 수상자 결정문을 통해 “그는 한국 페미니스트 1세대로서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족관계, 일상의 가부장제, 여성 문화에 대한 문화인류학 연구를 선도했으며, 문화정치학적 분석을 통해 문화 비평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히고, “그의 학술연구는 문화인류학을 한국사회의 다양성 공존을 위한 성찰로 자리매김했으며, 현장으로부터 대안적 실천을 지향한다는 일관된 기획으로 전개됐다.”고 평가했다.

후광학술상은 전남대학교가 후광 김대중 전 대통령의 민주주의와 인권신장 및 한반도 평화정착에 기여한 공로를 기리기 위해 지난 2006년 '전남대학교 민주평화인권학술상'이란 이름으로 제정한 이래, 민주, 평화, 인권 등의 분야에 기여하거나 학술적 엄밀성은 물론 실천적 확장성까지 겸비한 국내외 연구자와 연구단체에게 주어져 왔다.

목록 제목 날짜 조회수
51 5/22 생애전환과 시대 전환 file 2019.11.26 908
50 라이프 3.0 인문학 file 2019.11.26 198
49 11/9 라이프 3.0 인문학 인트로 file 2019.11.26 165
48 11/21 서울 지식이음 포럼 축제 기조강연 file 2019.11.25 189
47 이바쇼 2019.10.07 408
46 촛불을 들지 못한 20대들 2019.10.07 237
45 공정한 입시가 아니라 교육을 바꾸어야 할 때 2019.10.03 211
44 기후 위기 비상행동 2019년 9월 21일 file 2019.09.22 207
43 요즘 활과 자주 만난다 file 2019.09.22 256
42 동영상 몇개 2019.09.20 273
41 남자도 대단히 달라지고 있다. 2019.08.18 258
40 활, 탐구하는 사람 2019.08.18 258
39 기내 영화 다섯편 2019.08.18 303
38 다시 서울로 2019.08.18 204
37 좋은 직장은 공부하는 직원들이 많은 곳 2019.08.06 301
36 <돌봄 인문학 수업> 추천의 글 2019.08.05 223
35 성평등 관련 인터뷰 (서울 신문) file 2019.08.04 428
34 운전기사가 보여주는 글로벌 세대 차 file 2019.08.04 185
33 중국의 AI 교육 광풍 소식 2019.08.04 255
32 모두가 신이 된 호모데우스의 시대 2019.08.01 200
31 새로운 것에 대한 피로감과 탁월한 것에 대한 재수없음 2019.08.01 231
30 하자의 감수성으로 자본주의 살아가기 2019.08.01 216
29 혼자보기 아까운 풍광 멤모스 레이크 file 2019.07.28 258
28 80,75,71세 노인들의 음악 세션 file 2019.07.28 164
27 THE GREAT HACK, 더 이상 공정한 선거는 없다 2019.07.27 185
26 mammoth lakes 고도 적응후 첫 나들이 file 2019.07.26 170
25 [AI가 가져올 미래] 전길남인터뷰와 제페토 할아버지 2019.07.26 337
24 다섯편의 영화를 보고 LA에 왔다 2019.07.26 189
23 2019실패박람회 '지성인과의 대화-강연' 요청의 건 file 2019.07.24 273
22 오름의 여왕 따라비에서 file 2019.07.07 197
21 제주시 양성평등 주간 강연 자료 file 2019.07.07 179
20 재미난 교실 발표 ppt file 2019.07.06 222
19 명필름의 <당신의 부탁> file 2019.07.05 201
18 the prize winner 총명한 여장부 엄마에 대한 영화 2019.07.04 348
17 재미난 제주, 파상의 시대의 실험 2019.07.04 323
16 호모데우스 시대의 축복 2019.06.19 1727
15 민들레 123호 오월은 푸르구나 2019.06.18 246
14 라이프 3.0 인문학 전시 준비중 2019.06.05 222
13 라이프 3.0 인문학 사라봉의 실험 2019.06.05 312
12 봉감독, 열정어린 청년기를 보낸다는 것 2019.06.05 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