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신론 (리차드 카니) 이방인에 대한 환대와 적대 사이
이방인에 대한 환대와 적대 사이, 재신론적 순간의 근원, 신으로의 귀환
내가 서성거리는 그 어딘가에서 작업한 책인 듯. 울림이 큰 단어들이다.
언제 집중해서 읽을 겨를이 올지 모르지만 반가운 책이다.
책소개
교조적 유신론과 전투적 무신론을 넘어서는 제3의 길을 제안한 책이다. 신의 죽음 이후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우리가 신성하다고 부르는 것들을 추구하는 좀 더 책임감 있는 방식과 새로운 종류의 종교적 기획을 모색할 수 있는 공간이 열렸는가? 저명한 철학자 리처드 카니에 따르면 우리는 가장 오래된 지혜로부터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도록 우리를 초대하는 창조적 ‘무-지’(not knowing)의 순간에 와있다.
재신론은 모든 위대한 종교의 핵심, 즉 이방인에 대한 환대와 적대 사이의 내기에 놓여 있는 첫 사건을 가리킨다. 우리 자신의 재신론적 순간의 근원을 분석함으로써, 카니는 그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신으로의 귀환이 어떻게 가능한지뿐만 아니라 더 자유로운 신앙이 어떻게 탄생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재신론은 모든 위대한 종교의 핵심, 즉 이방인에 대한 환대와 적대 사이의 내기에 놓여 있는 첫 사건을 가리킨다. 우리 자신의 재신론적 순간의 근원을 분석함으로써, 카니는 그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신으로의 귀환이 어떻게 가능한지뿐만 아니라 더 자유로운 신앙이 어떻게 탄생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책속에서
-
P. 19내가 재신론적 공간이라고 부르는 것, 곧 믿느냐 마느냐를 자유롭게 결정하는 것이 용납될 뿐만 아니라 이를 소중하게 여기는 공간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나는 본서를 유신론자들과 무신론자들이 치열한 합리적 토론을 벌일 수 있는 지적 아고라로 간주하고 싶다.
― 서문 -
P. 30신 이후에 무엇이 오는가? 우리가 신을 놓아버린 다음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무지의 밤으로부터, 포기와 단념의 바로 그 순간에 나타나는 것은 무엇인가? 특히 ‘신’을 버리고도 여전히 신을 찾는 사람들에게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 들어가는 말 : 신 이후의 신 -
P. 109신정론과 신정정치는 유신론적 통치성의 사악한 후예다. 나는 그 대안이 이방인의 재신론이라고 생각한다.
― 2장 내기를 걸며 : 5중의 운동 -
P. 133신의 죽음은 삶의 신을 낳는다. ... 신의 약함에 대한 반응은 인간의 강함에 대한 반응이다.
― 3장 이름으로 : 아우슈비츠 이후 누가 신을 말할 수 있는가? -
P. 223재신론은 성스러운 것에서 세속적인 것을 쫓아내는 것이 아니라 세속적인 것 속에서 성스러운 것을 되찾는 것이다.
― 5장 텍스트에서 : 조이스, 프루스트, 울프 -
P. 250재신론은 모든 아브라함 신앙에 내장된 선택지다. 그것은 이방인 앞에서의 신의 에피파니로 시작하고 또 끝나기 때문이다.
― 6장 세상으로 : 세속적인 것과 성스러운 것 사이? -
P. 257아마도 우리는 재긍정의 해석학을 말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여기서 환영적 신을 버리고 살아있는 신을 되찾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유익한 것이라도, ‘아니요’라고 말하는 것은 다시 한번 ‘예’라는 말로 답해져야 한다.
― 7장 행동으로 : 말과 살 사이 -
목록 | 제목 | 날짜 | 조회수 |
---|---|---|---|
51 |
5/22 생애전환과 시대 전환
![]() | 2019.11.26 | 908 |
50 |
라이프 3.0 인문학
![]() | 2019.11.26 | 198 |
49 |
11/9 라이프 3.0 인문학 인트로
![]() | 2019.11.26 | 165 |
48 |
11/21 서울 지식이음 포럼 축제 기조강연
![]() | 2019.11.25 | 189 |
47 | 이바쇼 | 2019.10.07 | 408 |
46 | 촛불을 들지 못한 20대들 | 2019.10.07 | 237 |
45 | 공정한 입시가 아니라 교육을 바꾸어야 할 때 | 2019.10.03 | 211 |
44 |
기후 위기 비상행동 2019년 9월 21일
![]() | 2019.09.22 | 207 |
43 |
요즘 활과 자주 만난다
![]() | 2019.09.22 | 256 |
42 | 동영상 몇개 | 2019.09.20 | 273 |
41 | 남자도 대단히 달라지고 있다. | 2019.08.18 | 258 |
40 | 활, 탐구하는 사람 | 2019.08.18 | 258 |
39 | 기내 영화 다섯편 | 2019.08.18 | 303 |
38 | 다시 서울로 | 2019.08.18 | 204 |
37 | 좋은 직장은 공부하는 직원들이 많은 곳 | 2019.08.06 | 301 |
36 | <돌봄 인문학 수업> 추천의 글 | 2019.08.05 | 223 |
35 |
성평등 관련 인터뷰 (서울 신문)
![]() | 2019.08.04 | 428 |
34 |
운전기사가 보여주는 글로벌 세대 차
![]() | 2019.08.04 | 185 |
33 | 중국의 AI 교육 광풍 소식 | 2019.08.04 | 255 |
32 | 모두가 신이 된 호모데우스의 시대 | 2019.08.01 | 200 |
31 | 새로운 것에 대한 피로감과 탁월한 것에 대한 재수없음 | 2019.08.01 | 231 |
30 | 하자의 감수성으로 자본주의 살아가기 | 2019.08.01 | 216 |
29 |
혼자보기 아까운 풍광 멤모스 레이크
![]() | 2019.07.28 | 258 |
28 |
80,75,71세 노인들의 음악 세션
![]() | 2019.07.28 | 164 |
27 | THE GREAT HACK, 더 이상 공정한 선거는 없다 | 2019.07.27 | 185 |
26 |
mammoth lakes 고도 적응후 첫 나들이
![]() | 2019.07.26 | 170 |
25 | [AI가 가져올 미래] 전길남인터뷰와 제페토 할아버지 | 2019.07.26 | 337 |
24 | 다섯편의 영화를 보고 LA에 왔다 | 2019.07.26 | 189 |
23 |
2019실패박람회 '지성인과의 대화-강연' 요청의 건
![]() | 2019.07.24 | 273 |
22 |
오름의 여왕 따라비에서
![]() | 2019.07.07 | 197 |
21 |
제주시 양성평등 주간 강연 자료
![]() | 2019.07.07 | 179 |
20 |
재미난 교실 발표 ppt
![]() | 2019.07.06 | 222 |
19 |
명필름의 <당신의 부탁>
![]() | 2019.07.05 | 201 |
18 | the prize winner 총명한 여장부 엄마에 대한 영화 | 2019.07.04 | 348 |
17 | 재미난 제주, 파상의 시대의 실험 | 2019.07.04 | 323 |
16 | 호모데우스 시대의 축복 | 2019.06.19 | 1727 |
15 | 민들레 123호 오월은 푸르구나 | 2019.06.18 | 246 |
14 | 라이프 3.0 인문학 전시 준비중 | 2019.06.05 | 222 |
13 | 라이프 3.0 인문학 사라봉의 실험 | 2019.06.05 | 312 |
12 | 봉감독, 열정어린 청년기를 보낸다는 것 | 2019.06.05 | 4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