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사티쉬 쿠마르- 세상은 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것

조한 2021.09.15 15:43 조회수 : 150

세상은 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것

 

 코로나가 오기 전에 우리는 인공지능(AI) 시대를 말했습니다. 지식인들이 슘페터가 말한 ‘창조적 파괴’의 시대에 있다고 했어요. 오늘날 세계 산업질서는 미래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거대한 변화가 있는 이때를 자본을 증식할 기회라며 주식 시장을 찾습니다. 우리는 지금과 같은 변화의 시기에 무엇을 해체하고 무엇을 창조해야 할까요?

 

사티시 제 철학은 단순하게 사는 것입니다. <우아한 단순함>이라는 책을 내기도 했는데요, 우리에게는 단순한 삶이 필요합니다. 더 창의적이고 더 상상력이 풍부한 삶이 필요해요. 고도로 발달한 기술과 인공지능이 아닙니다. 인간 지능 자체가 엄청나기 때문이에요. 우리는 지능의 약 20~30%만 사용하고 70%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인간 지능을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어요. 이는 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물질을 낭비하지도 않습니다. 파괴적이지도 않죠. 모두가 갖고 있는데도 인간 지능을 사용하지 않고 우리는 인공지능을 만들고 있어요. 저는 인공지능을 반대합니다. 이는 이 행성에 더 많은 파괴를 불러올 것입니다.

 

저는 이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인공지능의 길을 그만 가자. 달에 가는 여정도 멈추고, 화성에 가는 그 행렬도 멈추고 우주여행길도 그만 떠나자.’ 이는 더 많은 문제를 초래하는 길입니다. 우리는 아름다운 지구에 만족하며 행복하게 사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이 별을 돌보세요.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별의 모습이 이 지구예요. 온갖 빛깔과 내음과 맛이 풍부합니다. 이 별에서 우리가 이뤄온 진화야말로 영광스러움 그 자체입니다.

 

 당신은 지구를 구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생태학자 조애나 메이시는 우리 인간이 지구를 구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동의하시는지요?

 

사티시 사람은 지구를 사랑할 수 있을 뿐입니다. 우리는 지구를 구하는 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어요. 지구를 사랑하는 것에 대해 걱정해야만 합니다. 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어떻게 지구를 구할 수 있겠어요. 지구가 훨씬 더 크고, 강력하고, 위엄 있고, 훨씬 더 에너지가 넘치는데요. 지구는 70억 인구와 1500만에 달하는 생물종들, 숲, 강, 산, 바다 등과 함께 존재의 예술을 구현합니다. 저는 이 세상을 오직 사랑할 수 있습니다. 네, 저는 이 세상을 사랑합니다. 세상을 파괴하지 않아요. 오염시키지도 그 어떤 것도 낭비하지 않습니다. 존중합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세상을 구하는 것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는 세상을 사랑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야 해요.

 

 어떻게 사랑하는 법을 배울 수 있을까요?

 

사티시 사랑함으로써 사랑하는 법을 배우세요. 사랑은 다른 사람을 나와는 다른 사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에요. 삶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죠. 이것이 또한 우리가 세상을 구하려고 애쓰지 않는 이유입니다. 왜냐하면 당신이 세상을 사랑하지 않을 때 당신은 세상의 주인이 되려 하니까요. 그럴 때 ‘나는 세상을 살릴 것이다’라고 말하게 되는 거예요. 이는 너무나 거만한 태도입니다. ‘나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최선을 다해 보살피겠습니다’라고 말할 때, 그때 우리는 나무를 심고, 동물을 돌보고, 인간을 돌봅니다. 노인을 돌보고, 병자를 돌볼 것입니다. 아이들, 가난한 사람들을 돌볼 거예요. 그것이 사랑입니다. 사랑은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최선을 다해 나의 행동을 개선하는 것이며 지구를 함께 공유하는 거예요.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010134.html

원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010134.html#csidxf039487a7c5c1a6bbe874d55711d517 

목록 제목 날짜 조회수
51 5/22 생애전환과 시대 전환 file 2019.11.26 908
50 라이프 3.0 인문학 file 2019.11.26 198
49 11/9 라이프 3.0 인문학 인트로 file 2019.11.26 165
48 11/21 서울 지식이음 포럼 축제 기조강연 file 2019.11.25 189
47 이바쇼 2019.10.07 408
46 촛불을 들지 못한 20대들 2019.10.07 237
45 공정한 입시가 아니라 교육을 바꾸어야 할 때 2019.10.03 211
44 기후 위기 비상행동 2019년 9월 21일 file 2019.09.22 207
43 요즘 활과 자주 만난다 file 2019.09.22 256
42 동영상 몇개 2019.09.20 273
41 남자도 대단히 달라지고 있다. 2019.08.18 258
40 활, 탐구하는 사람 2019.08.18 258
39 기내 영화 다섯편 2019.08.18 303
38 다시 서울로 2019.08.18 204
37 좋은 직장은 공부하는 직원들이 많은 곳 2019.08.06 301
36 <돌봄 인문학 수업> 추천의 글 2019.08.05 223
35 성평등 관련 인터뷰 (서울 신문) file 2019.08.04 428
34 운전기사가 보여주는 글로벌 세대 차 file 2019.08.04 185
33 중국의 AI 교육 광풍 소식 2019.08.04 255
32 모두가 신이 된 호모데우스의 시대 2019.08.01 200
31 새로운 것에 대한 피로감과 탁월한 것에 대한 재수없음 2019.08.01 231
30 하자의 감수성으로 자본주의 살아가기 2019.08.01 216
29 혼자보기 아까운 풍광 멤모스 레이크 file 2019.07.28 258
28 80,75,71세 노인들의 음악 세션 file 2019.07.28 164
27 THE GREAT HACK, 더 이상 공정한 선거는 없다 2019.07.27 185
26 mammoth lakes 고도 적응후 첫 나들이 file 2019.07.26 170
25 [AI가 가져올 미래] 전길남인터뷰와 제페토 할아버지 2019.07.26 337
24 다섯편의 영화를 보고 LA에 왔다 2019.07.26 189
23 2019실패박람회 '지성인과의 대화-강연' 요청의 건 file 2019.07.24 273
22 오름의 여왕 따라비에서 file 2019.07.07 197
21 제주시 양성평등 주간 강연 자료 file 2019.07.07 179
20 재미난 교실 발표 ppt file 2019.07.06 222
19 명필름의 <당신의 부탁> file 2019.07.05 201
18 the prize winner 총명한 여장부 엄마에 대한 영화 2019.07.04 348
17 재미난 제주, 파상의 시대의 실험 2019.07.04 323
16 호모데우스 시대의 축복 2019.06.19 1727
15 민들레 123호 오월은 푸르구나 2019.06.18 246
14 라이프 3.0 인문학 전시 준비중 2019.06.05 222
13 라이프 3.0 인문학 사라봉의 실험 2019.06.05 312
12 봉감독, 열정어린 청년기를 보낸다는 것 2019.06.05 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