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채사장 우리는 언젠가 만난다 2017

조한 2022.04.17 11:07 조회수 : 169

물론 우리는 다시 고독해질 것이다. 적막 속에 던져질 것이며, 혼자의 힘으로 현실의 횡포를 견뎌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또 다시 화장실 세면대를 붙잡고 거울 속에서 울고 있는 자신을 대면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의 손을 잡고 세계의 중심이 되었던 기억이 우리를 보호할 테니까.

우리는 거울 속의 젊은이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나에게는 사랑하는 사람이 있었다."책 띠지

 

만남, 그것은 차라리 세계와 세계의 충돌에 가깝다. 

117

가끔 이런 생각을 한다. 내가 이 세상에 온 목적은 무엇일까? 어떤 구체적인 근거도 없지만 나는 이렇게 믿는다.

우리가 이 세상에 온 이유는 무엇인가를 배우기 위해서라고. 

태어나기  이전에 근원적인 내가 스스로 무엇을 배울 지를 결정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이 짦고 유한한 세계를 선택한 것이라고 말이다.

그리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나는 무엇을 배우러 온 것일까?

나는 나의 성장을 위해 무엇을 계획했던 것일까?

그것이 무엇인지 살아 있는 동안에는 결코 알 수 없을 지 모른다, 하지만 적어도 무엇이 아닐지는 알 것도 같다.

성공 풍요 만족 승리 부유함 이런 것들은 세속의 내가 원하는 것일지 모르지만 심연의 내가 원하는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이런 것들은 어쩌면 너무나 쉬운 것일지도 모른다

그 안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은 그리 많지도 극적이지도 않다. 

성숙한 영혼이라면, 더 많은 것을 배우고자 하는 용기 있는 영혼이라면그는 무너지는 것 안에서 배우려고 할 것이다.

실패 빈곤 불만 좌절 가난함, 그 자리에 주저앉아 울음을 터뜨린다 해도 무엇하나 이상할 것 없는 상황에서 그것을

이해하고 수긍할 수 있는 결연한 의지의 자신을 기대했을 것이다.

 

아버지는 어떤 심정이었을까> 그리고 지금은 근원적인 자기 자신으로 돌아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어쩌면 아버지는 지금쯤 이 세상이 아닌 곳에서 아쉬워하고 있을 지 모른다.

무너지는 만다라를 담담히 받아들이지 못했음을.

그리고 또 어쩌면 다음 만다라는 계획하고 있을 지도 모를 일이다.

삶을 움켜쥐고 싶을 때,  그래서 나는 아버지의 만다라를 생각한다. (118)  

더 

목록 제목 날짜 조회수
171 돌봄- 영 케어러 2021.09.13 147
170 오늘의 메모: 듣기를 명상처럼 -잘 듣기 2021.08.29 151
169 정체성의 정치에 대한 논의 2021.08.25 145
168 20대 남자와 여자의 거리 2021.08.12 206
167 한나 아렌트 정치와 법의 관계 2021.08.06 159
166 재신론 (리차드 카니) 이방인에 대한 환대와 적대 사이 2021.07.30 256
165 역시 해러웨이 2021.07.30 206
164 걸어가는 늑대 갤러리를 다녀오다 2021.07.30 171
163 영화가 던져주는 화두 -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2021.06.18 430
162 후광 학술상 기조 강연 발표 자료 file 2021.06.15 235
161 사랑한다면 이제 바꿔야 할 때다 피케티 2021.06.04 226
160 신인류 전이수 소년의 일기 2021.06.02 250
159 가족 덕에, 가족 탓에- 아기 대신 친족을! 2021.05.30 290
158 아파서 살았다 (오창희) 2021.05.16 246
157 스승의 날, 기쁨의 만남 2021.05.16 243
156 사람이 사람에게 무릎 꿇는 세상은 (고정희) 2021.05.12 271
155 마을 큐레이터 양성 사업 (성북구) file 2021.05.09 207
154 코로나 시대 여성으로 사는 법 (이원진-해러웨이) 2021.05.09 390
153 기본소득 컨퍼런스 발표 초록과 ppt file 2021.04.20 198
152 3차 경기도 기본소득 국제 컨퍼런스 발제문 2021.04.06 416
151 박노해 반가운 아침 편지 2021.04.06 246
150 어딘의 글방- 제목의 중요성 2021.02.16 450
149 자기를 지키는 길은 글쓰기 밖에는 없다 2021.02.14 653
148 장선생을 보내며 2021.01.07 439
147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2021.01.01 442
146 제주 유네스크 잡지에 낸 글 2020.12.30 419
145 실기가 아니라 관점과 언어 2020.12.30 315
144 무엇이 우리를 살게 하는가 2020.12.29 360
143 시원 채록희의 영 어덜트 소설! 2020.12.27 517
142 글을 고치다가 골병 들겠다- 민들레 글 file 2020.12.20 323
141 시편 정경일 선생의 글 중 file 2020.12.09 187
140 영도 지역 문화 도시 지역문화 기록자 과정 file 2020.12.03 468
139 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 2020.11.30 280
138 방과후 교사의 자리 2020.11.30 271
137 기후 변화 산호의 상태로 보는. 2020.11.30 399
136 초딩 소년들을 위한 영화 2020.11.30 356
135 오드리 탕 미래 교육 인터뷰 (여시재) 2020.11.18 333
134 기후 변화 학교 (표선) file 2020.11.16 180
133 찬미 받으소서 2020.10.13 285
132 Ready For More Sherlockian Adventures? 2020.10.03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