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나의 해방일지> 수다 모임

조한 2022.05.31 17:04 조회수 : 226

 

유튜버들의 세계가 펼쳐지고 있다. 

인류학 현장을 구태여 찾아나갈 이유가 없는 시대.

시공간을 넘어서 다양한 생각들을 접하며 배운다. 

 

철학적이고 영적인 삶의 차원을 담아낸 주말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가 주변을 술렁이게 하였다.

또 하나의 문화에서는 19일 수다모임을 하기로 했고

묵상 모임에서도 해방일지 중 기억나는 대사나 장면으로 렉시오 디비나를 하기로 했다.

세상이 '해방일지'를 본 사람과 아닌 사람으로 갈리는 것 같다. ㅎ

 

내 기억에 남는 것들: 

 

주인공 염미정이 어릴 때 신에게 기도할 때 

친구들이 "공부 잘 하게 해달라, 입시 붙게 해달라"는 것이 이해할 수 없었다며

자기는 "왜 내가 여기에 있는가?" 그 질문만 하게 되더라는 장면.

성취, becoming이 아니라 존재 being에 대한 질문하기

 

구씨가 돈 먹고 튄 애인으로부터 돈 받아주겠다고 하자 

"내가 아무리 바보 멍청이 같아도 그냥 두라고.

도와 달라고 하면 그 떄 도와달라고.

얼굴 붉히는 것도 힘든 사람한데 

왜 죽기로 덤비래?"라고 화내는 장면.

죽기로 덤비는데 익숙한 시대를 살아온 사람으로 얼굴 붉히게 된다.

 

헤어지자는 말을 한 구씨가 화 안 나냐고 묻자

"나는 화는 안나. 서운해." 화 안 나냐고 다그치자 

"그런데 화는 안 나. 모르지 나중에 화가 날지"

(상추, 전시장에서 시대 이야기를 하다가

"나는 우울하지는 않아. 그런데 막 화가 나")
 

7초 지속되는 기쁨,

하루 오분간의 설레임이면 살아갈 만 하다는 미정 말.

 

하루에 5분 5분만 숨통 틔어도 살만 하잖아

편의점에 갔을 때 내가 문을 열어주면 "고맙습니다." 하는 학생 때문에 7초 설레고  

아침에 눈 떴을 때 "아 오늘 토요일" 10초 설레고 

그렇게 하루 5분만 채워요.

그게 내가 죽지 않고 사는 법.

 

신회장 

"이 바닥에 있는 놈들 같지 않게 

도박도 안 하고 기집질도 안 하고 딴지도(?) 안 하고 

혼자 조용히 술만 마시는 게 마음에 들어서 여기까지 같이 왔는데 

이제 그 술이 문제야."

 

결국 주인공은 창희가 아닌가 싶다.

부산스럽고 철이 덜 든 것 같지만 한 순간에 영혼의 소리를 듣는다는 본능이 살아 있는 듯한 창희

지금 시대에 필요한, 죽어가는 존재를 위로하는 세계로 들어가는 창희라는 인물이 이쁘다. 

 

"막막해서 어디가서 기도라도 하고 싶은데 갈 곳은 편의점 밖에 없더라. 

내가 그런 놈이야 

내가 있을 자리 귀신같이 알아보는.

할아버지가 갈 때 보내드리고 

엄마 갈 때 보내드리고..."

 

불치병에 걸린 친구의 애인 혁수의 병실에 들러게 된 창희 

불현듯 깨닫게 되는, 자신이 이 자리에 있는 이유  

 

"형, 미안해 괜히 불안하게 해서.

형 나랑 둘이 있자 내가 있어줄게

나 이거 팔자 같다. 근데 난 내가 나은 것 같애

보내드릴 때마다 여기 내가 있어 다행이다 싶었거든

귀신 같이 또 발길이 이리오네 

...

그러니까 형 겁 먹지 말고 편안하게 가

나 여기 있어."

 

삼시 세끼 밥에 참 준비하고

밭일도, 목공일도 돕던 어머니.

죽음으로 해방된 그녀는 대사도 별로 없다. 

서춘희 시인은 기정이라는 인물이 가장 매력적이라고 하던데

그런 낯선 모습과 좀 친해볼까?

이번ㄴ 기회에...

 

각자의 생명력의 원천,

우울하지 않고 화가 난다는 이들과 우울한 이들이,

고정희 시인의 표현처럼 따뜻함이 쓸쓸함과 같이 삶을 이어간다.

목록 제목 날짜
165 역시 해러웨이 2021.07.30
164 걸어가는 늑대 갤러리를 다녀오다 2021.07.30
163 영화가 던져주는 화두 -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2021.06.18
162 후광 학술상 기조 강연 발표 자료 file 2021.06.15
161 사랑한다면 이제 바꿔야 할 때다 피케티 2021.06.04
160 신인류 전이수 소년의 일기 2021.06.02
159 가족 덕에, 가족 탓에- 아기 대신 친족을! 2021.05.30
158 아파서 살았다 (오창희) 2021.05.16
157 스승의 날, 기쁨의 만남 2021.05.16
156 사람이 사람에게 무릎 꿇는 세상은 (고정희) 2021.05.12
155 마을 큐레이터 양성 사업 (성북구) file 2021.05.09
154 코로나 시대 여성으로 사는 법 (이원진-해러웨이) 2021.05.09
153 기본소득 컨퍼런스 발표 초록과 ppt file 2021.04.20
152 3차 경기도 기본소득 국제 컨퍼런스 발제문 2021.04.06
151 박노해 반가운 아침 편지 2021.04.06
150 어딘의 글방- 제목의 중요성 2021.02.16
149 자기를 지키는 길은 글쓰기 밖에는 없다 2021.02.14
148 장선생을 보내며 2021.01.07
147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2021.01.01
146 제주 유네스크 잡지에 낸 글 2020.12.30
145 실기가 아니라 관점과 언어 2020.12.30
144 무엇이 우리를 살게 하는가 2020.12.29
143 시원 채록희의 영 어덜트 소설! 2020.12.27
142 글을 고치다가 골병 들겠다- 민들레 글 file 2020.12.20
141 시편 정경일 선생의 글 중 file 2020.12.09
140 영도 지역 문화 도시 지역문화 기록자 과정 file 2020.12.03
139 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 2020.11.30
138 방과후 교사의 자리 2020.11.30
137 기후 변화 산호의 상태로 보는. 2020.11.30
136 초딩 소년들을 위한 영화 2020.11.30
135 오드리 탕 미래 교육 인터뷰 (여시재) 2020.11.18
134 기후 변화 학교 (표선) file 2020.11.16
133 찬미 받으소서 2020.10.13
132 Ready For More Sherlockian Adventures? 2020.10.03
131 광명 자치 대학 개강 특강 file 2020.09.28
130 추석 연후에 보려는 영화 2020.09.28
129 서울시 온종일 돌봄 실태분석과 정책방안 2020.09.26
128 대한민국 살기좋은 나라.... 2020.09.25
127 small schools big picture 2020.09.21
126 2020 하자 창의 서밋에 2020.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