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소개
소개
-
- 조혜정(趙惠貞, Cho, Hae-joang)
-
문화인류학자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사회과학대학 문화인류학과)
전 서울시립 청소년 직업체험센터장 - 사진촬영: 여성신문 이정실 기자
02
학력과 경력
학력과 경력
학력
년도 | 내용 |
---|---|
1971. 2 | 연세대학교 사학과(학사) |
1974. 5 | 미국 미조리 대학교(UM-Columbia) 인류학과(석사) |
1979. 2 |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UCLA) 인류학과(박사) |
경력
년도 | 내용 |
---|---|
1979. 3 – 1979. 9 |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시간강사 |
1979. 9 - 1981. 2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시간강사 |
1981. 3 - 1986. 2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
1986. 3 - 1990. 2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
1990. 3 – 2014. 2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1990. 3 - 1992. 2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학과장 |
1992. 3 - 1995. 3 | 동서문제연구소 한국담당 연구원 |
1987. 8 - 1988. 8 |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사회인류학과 객원교수 |
1994. 6 - 1996. 6 | 한국 문화인류학회 평의원 |
1994. 7 - 1995. 7 |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인류학과 객원교수 |
1995. 8 - 1998. 12 | 한국 여성학회 편집위원 |
1995. 10 – 2000. 10 | 연세대 통일연구원 연구원 |
1996. 3 - 1998. 3 | 연세대 학생복지위원회 위원 |
1996. 12 - 1998. 7 | 연세대 발전위원회 위원 |
1996. 8 - 1998. 8 | 한국 여성학회 이사 |
1997. 7 – 2002. 7 | 대한민국 21세기 교육 공동체 위원 |
1997. 5 – 1998. 5 | 문화관광부[문화비전 2000 위원회] 자문위원 |
1998. 6 – 2002. 7 | 문화관광부 청소년 정책 자문위원회 |
1998. 5. - 2000. 7 | 대통령 자문기관 새교육 공동체위원회 위원 |
1998. 5. - 2000. 8 | 서울시 실업대책 위원회 위원, 청년 여성 실업 소위원회 위원장 |
1998. 9 - 1999. 2 | 일본 동경 도립 대학교 인문학부 객원교수 |
1999. 3 - 2001. 2 | 연세대학교 여성연구소 소장 |
1999. 3 - 2003. 2 | 연세대학교 청년문화원 원장 |
1999. 7 - 2011. 3 | 서울시청소년직업체험센터(하자) 설립, 센터장 |
1999 - 2001 | 서울시 청소년정책 실무위원회 위원장 |
1999. 9 – 2008. 2 | 연세대학교 문화학협동과정 연계교수 |
2001. 4 | 서울시 대안교육센터, 설립 |
2001. 3 - 2003. 3 | 서울시 투자심의 위원회 위원 |
2001. 5 - 2003. 5 | 한국여성학회 이사 |
2001. 8 – 2009 | 서울시 대안교육센터장 |
2001. 10 - 2003. 10 | 학술진흥재단 특별과제 선정위원 |
2002. 5 - 2004. 5 | 서울시 공원심사 위원회 위원 |
2002. 5 - 2005. 5 | 다음 커뮤니케이션 재단 이사 |
2002. 9 | 하자작업장학교, 설립 |
2003. 3 - 2004. 2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학과장 |
2003. 7 - 2005. 7 | 문화관광부 청소년육성위원회 위원 |
2003. 7 - 2005. 7 | 여성부 정책자문위원회 자문위원 |
2003. 10 – 2005. 10 | 서울시 청소년위원회 위원 |
2003. 9 - 2005. 9 | 연세대학교 여성인력개발연구원 자문위원 |
2004. 2 – 2006. 2 | 한국문화인류학회 이사 |
2004. 5 - 2006. 4 | 연세대학교 교원인사위원회 위원 |
2005. 1 - 2006. 12 | 여성가족부 공동협력사업, 또 하나의 문화 주최 [돌봄사회를지 향하는 민주적 가족문화 만들기] 책임기획자 |
2005. 1 - 2007. 1 | 성미산학교 교장 |
2005. 9 – 2005. 11 |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 주립대학교 문화학 센터 방문교수(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Center for Cultural Studies. Visiting Scholar) |
2005. 11 - 2006. 2 | 일본 동경대학교 교육대학원 학교개발 임상연구센터 방문교수(University of Toky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enter for Clinical Research on School Development. Visiting Scholar) |
2006. 4 - 2008. 4 | 문화관광부 여성 사회 연계 프로젝트 자문 |
2006. 4 - 2008. 4 | 한미 교류재단 Korea Focus 편집위원 |
2006. 5. - 2008. 4 | 교육인적자원정책 평가위원, 교육안전망 구축 분야 |
2006. 5 - 2008. 5 | 외교 통상부 자문 2006. 6. 10 - 6. 11 제3회 고정희 청소년 문학상(주최: 고정희기념사업회, 주관:(사)또 하나의 문화, 시상내역: 문화관광부장관상) 기획, 자문 |
2007. 4 – 2008. 3 |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
2007. 6- 2007. 11 | Art in city 2007 기획사업 청주중앙공원 공공미술 프로젝트 “노인들의 이유 있는 외출” 자문 |
2007. 9- 2009. 8 | 서울특별시 마포구 여성위원회 위원 |
2007. 11- 2008. 11 | 한국 여성학회 회장 |
2008. 3 – 2014. 2 | 신설된 문화인류학과로 소속 변경 |
2009 | 2009학년도 우수업적교수상(교육/봉사부문) |
2010. 5- 2011. 5 | 교육과학 기술부 [대안교육 정책 자문위원회] 위원장 |
2010. 10 | Seoul Youth Creativity Summit 서울시 청소년 창의 서밋 |
2011. 6 - 2013. 6 |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문화보존 및 전승위원회 회의 자문 |
2012. 3- 2017. 2 | 청소년 직업체험센터(하자센터) 센터장 |
2013. 1. – 2013. 3 | 정림학생건축상 자문, 심사위원(3.22) |
2013. – 2015 | 서울시 마을 공동체 위원회 위원장 |
2013 | 가을 우수강의 교수상 |
2013. 11 | 일민 문화상 수상 |
2013. 11 | 연세대학교 민주동문회 자랑스러운 동문상 |
2013. 10. 31 | 대한민국 근정 훈장 옥조 |
2014. 3- |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Professor Emeritus) |
2015- 2017 | 서울연구원 자문 위원장 |
2015- | 서울시 서대문구 마을 공동체 위원회 위원장 |
2016- 2020 | 제주도 양성 평등 위원회 부위원장 (2016. 4- 2020.4) |
2018 | 연세대 문과대학 동창회 제18회 연문인상 학술부문 수상 |
2019. 1- 2019. 11 | 여성가족부 자문위원장 |
03
저서와 논문
저서와 논문
저서
년도 | 내용 |
---|---|
1988 |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 지성사. |
1992 |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바로 여기 교실에서』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
1994a |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2: 각자 선 자리에서』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
1994b |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3: 하노이에서 신촌 까지』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
1996 |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
1998 |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 한국의 여성과 남성 2』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
2000a |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
2000b | 『탈분단 시대를 열며: 남과 북, 문화 공존을 위한 모색』 조한혜정ㆍ이우영 엮음, 도서출판 삼인 |
2003a |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14인 공저(한국문화인류학회 편), 일조각 |
2003b |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5인 공저, 연세대 출판부 |
2003c |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또 하나의 문화 제17호) 또 하나의 문화 동인들 엮음,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
2003d | 『왜 지금, 청소년? - 하자센터가 만들어지기까지』 조한혜정ㆍ양선영ㆍ서동진 엮음,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
2004a | 『경계에서 말한다』 - 우에노 치즈코 공저, 사사키 노리코ㆍ김찬호 옮김, 생각의 나무. (일본어판 [말은 닿을까?] 이와나미 출판사) |
2004b | 『Beyond the FIFA's World Cup: Shared Event, Different Experience』 - Inter-Asia Cultural Studies, special issue 5(1), London: Routledge |
2006 |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 23인 공저, 도서출판 또하나의 문화 |
2007a | 『인터넷과 아시아의 문화연구』 조혜정 외 7인 공저, 연세대학교 출판부 |
2007b | 『다시 마을이다』, 컬럼집. 도서출판 또하나의 문화 |
2009 | 『교실이 돌아왔다 - 신자유주의 시대 대학생의 글읽기, 삶읽기』, 조혜정 외 5인 공저, 도서출판 또하나의 문화 |
2010 | 『쉘 위 토크』 9인 공저, 시대의 창 |
2011 | 『누구도 대답하지 않았던 나눔에 관한 열 가지 질문 우리 시대의 멘토 11인이 나눔의 미래를 이야기하다』 11인 공저, 김영사 |
2014 | 『자공공: 우정과 환대의 마을살이』 컬럼집. 도서출판 또하나의 문화 |
2016 | 『노오력의 배신: 청년을 거부하는 국가, 사회를 거부하는 청년』 (공저: 엄기호, 최은주, 천주희, 이충한, 이영롱, 양기민, 강정석, 나일등, 이규호), 창작과 비평사 |
2018 | 『선망국의 시간: 당신은 지금 어떤 시간을 살아가고 있나요』 사이행성 |
연구논문
년도 | 내용 |
---|---|
1979a | “남성다움에 관한 인류학적 고찰”,『현상과 인식』 3(4). |
1979b | “Neither Dominance: A study of a Female Diver's Village in Korea", Korea Journal 19(6). |
1980 | “농촌 공동체의 변화에 대한 연구”,『연세 사회학』 4: 121-135. |
1981a | “부부 권력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본 취업/비취업주부의 연구”,『한국 사회학』 15: 37-47. |
1981b | “전통적 경험세계와 여성”,『아세아 여성연구』 21: 81-111. |
1981c | “A Study of Changing Rural Communities in Korea”, Korea Journal 21(6). |
1982a | “제주도 해녀사회 연구 - 성별분업에 근거한 남녀평등에 관하여”,문화인류학회 한상복 편,『한국인과 한국문화』 심설당. |
1983 | “다역할 수행에서 역할 나누어 갖기에로”,『여성연구』 1(1): 68-81. |
1984 | “미국 문화인류학에서의 역사인식”,『한국문화인류학』 16: 29-46. |
1985a | “전문직 여성”,『한국여성과 일』 이화여대 출판부. |
1985b | “가족관계 및 사회관계를 통해서 본 노후의 주거양식,” 럭키개발 보고서. |
1986a |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족주의”,『한국문화인류학』 18. |
1986b | “가부장제의 변혁과 극복: 한국 가족의 경우”,『한국여성학』 2. |
1986c | “문화와 사회운동의 양식” 『열린사회, 자율적 여성』 또 하나의 문화 동인지 2호 |
1987 | “한국의 페미니즘 문학 어디까지 왔나?”, 또 하나의 문화 동인지 3호,『여성해방의 문학』 또 하나의 문화. |
1989 | “교육의 신화를 깨자” 『누르는 교육, 자라는 아이들』 또 하나의 문화 동인지 5호 |
1990a | “정보 자본주의화와 여성”,『정보사회연구』 2(1): 71-100. |
1990b | “유교적 전통 부활운동과 사회변동”,『연세사회학』 10,11 합본호. |
1990c | 가정과 사회는 여성의 힘으로 되살려질 것인가?” 『주부, 그 막힘과 트임』 또 하나의 문화 동인지 6호. |
1990d | “여성문화와 여성주의 문학” 『문학사상』 2월호 |
1991a | “청소년의 평등한 삶을 위한 과제”,『한국청소년 연구』 2(3): 5-21. |
1991b | “국민학교 교육현장을 통해본 한국교육의 문제점”, 한림과학원 총서,『교육난국의 해부: 한국교육의 진단과 전망』 나남출판사. |
1991c | “박완서 문학에 있어 비평이란 무엇인가?” 『작가세계』 8호, 세계사 |
1991d | “결혼, 사랑, 그리고 성 - 우리 시대의 문화적 각본들” 『새로 쓰는 성이야기』 또 하나의 문화 동인지 7호 |
1992a | “자치, 자율문화의 토대 다지기 : 경북시 기초의회 관찰기록”,김광웅 편,『우리 동네 선거 이야기』 예음. |
1992b | “압구정 ‘공간’을 바라보는 시선들 - 문화정치적 실천을 위하여” 『압구정동,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현실문화연구 |
1993a | “모성, 역사, 그리고 여성의 자기 진술” 『어머니의 눈』 윤석남 그림전 기획집 |
1993b | “신촌을 교실로 끌어들이기” 『진리 자유』 봄호, 연세대 출판부, pp.19-24 |
1993c | “서편제의 문화사적 의미: 탈식민화의 가능성을 읽어냄” 『상상』 2호, 도서출판 살림 |
1994 | “전통문화와 정체성에 관한 담론분석”,『동방학지』 86: 175-210. |
1995a | “여성과 직업: 2000년대 여성 취업의 전망과 대책”,『연세여성연구』 1: 18-46. |
1995b | “Children in the Examination War in South Korea - A Cultural Analyses”, Children And The Politics of Cultur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141-168. |
1996a | “A Long Journey of Coeducation :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연세여성연구』 2: 66-93. |
1996b | “남한’과 ‘북조선’의 동질성과 이질성”, 이영선 편,『통일사회로 가는 길』 오름, pp. 29-71. |
1996c | “Male Dominance and Mother Power : The Two Side of Confucian”, Asian Women, 2 (1): 77-104. |
1996d | “남자 중심 공화국의 결혼 이야기” 『새로 쓰는 결혼 이야기 1』 또 하나의 문화 동인지 11호, pp.341-375 |
1996e | “여성의 눈으로 세상을 보기” 『한국YWCA』 7,8월호, 대한여자기독교청년연합회, pp.12-14 |
1996f | “즐겁게 개겨라. 그러면 틈이 보인다” 『지성과 패기』 9,10월호, pp.6-8 |
1996g | “Cultural Odyssey 96” 『미래의 얼굴』 10,11월호, pp.16-19 |
1996h | “미국과 한반도 1945-1995: 한미관계 50년, 미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좌담, 조혜정 외) 『역사비평』 31호, 역사문제연구소, pp.65-128 |
1997a | “한국 청소년들의 자리: '문화'와 공간이 필요하다”,『간호학 탐구』 6(1): 23-49. |
1997b | “통일공간과 문화: 비판적 재해석”,『통일연구』 1: 69-88. |
1997c | “Feminist Intervention in the Rise of "Asian" Discourse”,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 3: 127-156. |
1997d | “아버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제일가족』 2월, pp.12-13 |
1997e | “이제는 누구를 위한 가족인지 물어야 할 때” 『한국여성신학』 여름호, pp.23-29 |
1997f | “지구화시대의 한국학 - 민족주의와 탈민족주의의 긴장”(좌담: 이태진, 임형택, 조혜정, 최원식) 『창작과 비평』 96호, 창작과비평사, pp.9-62 |
1997g | “나,너/우리의 문화연구” 『현대사상』 가을호, 민음사, pp.17-36 |
1997h | “나는 삼십대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이프(if)』 겨울호, 도서출판 이프, pp.95-97 |
1998a | “청소년 성문화: 성적 주체로서의 인식을 중심으로”,『한국 여성학』 14(1): 7-40. |
1998b | “불균형 '발전'속의 주체형성”,『철학과 현실』 37: 222-247. |
1998c | “반공반제 규율 사회의 문화/권력”, 김수행 공저,『통일 연구』 2호: 72-122. |
1998d | “Korean Women and Their Experiences in the Traditional World”, Korean Women and Culture, 2: 25-52. |
1998e | “Constructing and Deconstructing ‘Koreanness’ in the 1990's South Korea”, Making of Majorities, CA: Stanford University, pp. 79-91. |
1998f | “아시아 지식인 네트워크 만들자”(좌담, 가지와라 가게아키 & 조한혜정) 『현대사상』 6호, 민음사, pp.15-46 |
1998g | “아시아 지역의 페미니스트, 왜 그리고 어떻게 만날 것인가?” 『당대비평』 5호, 삼인, pp.161-185 |
1999a | “IMF 이후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대한 연구”, 엄기호 공저,『사회발전연구』 5: 75-123. |
1999b | “Living with Conflicting Subjectivities of Motherly-wife, and Sexy woman - A Transition from colonial-modern to post-modern”, Gender and Class in Contemporary Kore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
1999c | 『근대의 보편적 양상으로서의 학급붕괴와 한국적 특수성: 학교 붕괴』 도서출판 푸른 나무 |
1999d | “누가 새로운 천년을 이야기할 수 있으랴?” 『진리ㆍ자유』 33호, 연세대 출판부, pp.4-8 |
2000a | “근대화 100년이 남긴 혼란과 충돌의 흔적-비동시성의 동시성 현상 극복을 위하여”,『한국의 지성 100년』, 민음사, pp. 76-84. |
2000b | “N세대 새로운 행동 패러다임 연구의 방향: 발달 심리학에서 자아형성학으로”,『한국발달심리학』 13(3): 1-8. |
2000c | “내가 만들고 싶은 사이버 공화국: 인터넷의 정치경제학”,『연세여성연구』 6: 8-27. |
2000d | “You are entrapped in an imaginary well :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within compressed development - a feminist critique of modernity and Korean culture”, Inter-Asia Culture Studies, 1(1): 49-69. |
2000e | “Globalization과 문화적 상대주의” 『EMERGE』 1월호, 중앙일보 |
2000f | “대안교육은 학교교육의 경직성을 벗어날 수 있는가?” 『한국중등교육100년: 과거․현재․미래』학지사, pp.193-201 |
2001 | “대안적이고 실천적인 모델을 제시하자” 『당신의 문화 쾌적합니까』 문화과학사, pp.252-254 |
2002a | “동서양 정체성의 해체와 재구성: 글로벌 지각 변동의 징후로 읽는 ′한류′ 열풍”,『한국문화인류학』 35(1): 3-40. |
2002b | “Sopyonje: Its Cultural and Historical Meaning”, David E. James & Kyung Hyun Kim (eds), Im Kwon-Taek: The Making of a Korean National Cinema, Detroit: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
2002c | “피파의 월드컵을 넘어서 : 일시적 자율 공간, 전복적 시간 체험”,『당대비평』 가을호: 24-47. |
2003 | “경계에서 말한다: 한일 페미니스트 서신 교환(6회 연재)”, 우에노 치즈꼬(Ueno Chizuko) 공저,『당대 비평』 23, 24, 25, (일본 세까이 2003년 10월에서 2004년 4월: 이와나미 출판사.) |
2004a | “Beyond the FIFA's World Cup- An Ethnography of the ‘Local’ in South Korea around the 2002 World Cup”, Inter-Asia Cultural Studies, 5(1): 9-26. |
2004b | “여성정책의 ‘실질적’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시론: 여성의 경험과 관점에서 사회를 재편한다”,『한국 여성정책의 뉴 패러다임 정립』(성인지전략기획연구), 여성부 연구보고 2004-42. |
2005 | “Reading the ‘Korean Wave’ as a Sign of Global Shift,” Korea Journal 45(4): 147-182. |
2006a | “후기 근대적 위기와 ‘돌봄 국가’적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시론”, 사회과학논집 37(1):71-97. 연세대 사회과학연구소. |
2006b | “생활과학, 일상생활, 그리고 일상성: 식민지적 근대화와 ‘일상’을 지운 학문을 넘어서기”, 대한가정학회 제44권 8호. |
2007 | “대안교육과 평생학습에 대한 시론: 돌봄과 배움이 가능한 작은 학교 만들기”, 코기토 63집, 부산대학교육연구소. |
2009 | “Internet, Korean Youth and Temporary Autonomous Zone”, Mass Communication Research journal (in Chinese【新聞學研究】). october, Taiwan. |
2010 | <후기 근대 세대 간 갈등과 공생의 전망: 1990-2000년대 한국 사례의 교훈> 인문과학 제 92집. 연세대학교 인문학 연구원. |
2012 | “Beyond Alternative Education: A Return to Caring in Creative Public Space,” Leaning in and out of School: Education Across the Globe, Kellogg Institute for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of Notre Dam Proceedings Published, www.Kellogg.nd.edu/learning (edited by Susan Blum) |
2013 | “일상의 아지트에서 공공성을 함께 만들다” 김영선 사회인문학과의 대화 73-115(인터뷰 글) 연세대학교 국학 연구원 HK사업단 편. |
2015 | “‘Spec Generation’ Who Cannot Say ‘No’: Overeducated and Underemployed Youth in Contemporary South Korea. Positions”, Volume 23, Issue 3 (2015) Edited by Gabriella Lukacs, Conference Proceeding, Youth, Labor, and Neoliberal Governmentality in East Asia, University of Pittsburgh, March 5-6, 2010. |
2016 | 『노오력의 배신: 청년을 거부하는 국가, 사회를 거부하는 청년』 (공저: 엄기호, 최은주, 천주희, 이충한, 이영롱, 양기민, 강정석, 나일등, 이규호), 창작과 비평사. |
2017a | “South Korean Youth across three Decades” (co-authered with Jeffrey Stark-authored), Rouhtlege Handbook of Korean Culture and Society, edited by Youna Kim, Routledge Press. |
2017b | New Worlds from Below : Imformal Life Politics and Grassroots Action in Twenty-firs-century Northeast Asia. edited by Tessa Morris-suzuki and Eun Jeong So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
연구비지원 프로젝트
년도 | 내용 |
---|---|
1981 | 단독 연구 [전통적 조직 원리: 향촌의 권력 집단을 통해서 본 한국 전통사회의 조직원리] 연구지원처: 한국 사회과학 협의회 |
1982 | 단독 연구 [전통적 생활양식의 연구] 연구지원처: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 |
1985 | 공동 연구, 지순 외 3인 [노후의 가족관계와 노후생활에 대한 주․의식 및 생활주택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연구지원처: LG 주식회사 |
1989 | 단독 연구 [정보화 사회와 전통문화] 연구지원처: 문교부 학술연구 조성비 |
1990 | 단독 연구 [전통이란 무엇인가?: 문화와 정체성에 관한 연구] 연구지원처: 연세대학교 연구처 |
1993 | 공동 세미나 [포스트모더니즘과 시대 인식: 문화/권력 세미나] 연구지원처: 대우학술재단 |
1995 | 공동 연구, 사회발전 연구소(송복외 8인) [학업 중퇴자 연구] 연구지원처: 연세대 사회발전 연구소 |
1996a | 단독연구 [대중문화연구 사이버 수업] 기술지원 연구지원처: 주식회사 솔빛 미디어 * 대중문화 연구 수업관련 홈페이지 “Cultural Odyssey”- 경향신문, 한글과 컴퓨터 공동주최‘베스트 웹 코리아’교육대학분야 베스트 웹으로 선정, 경향신문 1997. 4. 8일자. |
1996b | 단독연구 ['96 백양로 난장 문화제 기획] 연구지원처: 연세 춘추, 연세대 학생처, 신촌 그레이스백화점, 파워 스테이션 등 |
1996c (3년) | 공동 연구, 조혜정 외 6인 [남북 통합 : 문화적 차원 연구] 연구지원처: 학술 진흥재단 |
1996d | 공동 연구, 조주현 외 5인 [한국의 성문화와 성교육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연구지원처: 학술 진흥재단 학제 간 연구 지원사업 |
1998 | 단독 연구 [근대성과 한국문화] 연구지원처: 연세대학교 부설 현대 한국학 연구소 |
1998. 9 - 1999. 3 | 공동 연구, 정유성 [청소년 사이버 문화 공간 기반조성] 연구지원처: 청소년개발원 지원과제 |
2000. 12 - 2001. 11 | 공동연구, 조혜정외 3인 [동서양 정체성 형성에 관한 비교연구 : 20세기 아시아 지식인의 서구 체험과 서구의 식민 / 성담론의 전개] 연구지원처: 학술진흥재단 |
2001. 9 - 2002. 8 | 공동연구, 조혜정외 3인 [아시아의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연구지원처: 연세대학교 |
2002. 3 - 2003. 2 | 공동연구, 조혜정외 3인 [인문과학 중점지원사업] 연구지원처: 연세대학교 연구처 |
2002. 3 - 2003. 5 | 단독연구 [사이버 문화연구] 연구지원처: (주)엔시 소프트 |
2002.10 - 2002.12 | 공동연구, 조혜정외 1인 [인터넷 시대의 문화연구] 연구지원처: 연세대학교 연구처 |
2002. 10 - 2003. 8 | [21세기 경계 넘기 : 시대의 Key word를 찾는 청소년 문화 답사 프로젝트] 연구지원처: (주)엔시 소프트 |
2005. 3 - 2009. 7 | 공동연구, Nancy Abelmann(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IL) [The Anxious South Korean Student: Globalization, Human Capital, and Class] 연구지원처: Wenner-Gren Foundation for Anthropological Research, INC. |
2005. 3 - 2006. 12 | 책임연구원 [‘돌봄사회’를 지향하는 민주적 가족문화 만들기] 여성부 공동협력사업, 또 하나의 문화(사) 시행 연구지원처: 여성부 |
2005. 3 – 2006. 11 | 책임연구원 [신자유주의 시대를 넘어서: 사회경제와 제4섹터에 대한 실험과 연구]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하자센터), 연세대 청년문화원 시행 연구지원처 : 서울특별시, 삼성고른기회재단 |
2006. 12 - 2007. 3 | 책임연구원 [대안교육 10년의 성과와 과제] 연세대학교 청년문화원 소속 서울시 대안교육센터 시행 연구지원처 : 교육부 |
2006. 12 - 2007. 4 | 책임연구원 [삼성 고른기회 장학재단 특성화 사업모델 개발 연구: 위기청소년을 위한 학교 밖 작은 학습 공간 활성화 방안] 연세대학교 청년문화원 시행 연구지원처 :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
2007. 3 - 2009. 2 | 단독연구 [글로벌 자본주의화와 한국의 근대성 : 글로벌 5-5-10 한국학-사회과학분야] 연구지원처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매년 1천만원 |
2007. 5 - 2008. 5 | 책임연구원 [온라인 학습생태계] 연세대학교 청년문화원 시행 연구지원처 : 삼성고른기회 장학재단 |
2007. | 책임연구원 [여성가족부 미래가족 포럼] 연구지원처 : 여성가족부 |
2007. 6 - 11 | 책임연구원 [새로운 가족 문화 만들기 : 소통과 돌봄이 있는 상생 공동체 사례들] 연구지원처 : 여성가족부 |
2007. 7 - 11 | 책임연구원 [양성평등 정책 개발연구, 연세대 진흥정책 연구], (3인 공동연구, 나윤경, 김현미) 연구지원처 : 연세대학교 |
2007. 11 - 12 | 책임연구원 [새로운 가족문화와 돌봄사회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문화조성 사업] 연구지원처 : 여성가족부 |
2008. 5 - 2009. 5 | 책임연구원 [온라인 학습생태계 2차] 연세대학교 청년문화원 시행 연구지원처 : 삼성고른기회 장학재단 |
2008. 5 - 2009. 5 | 공동연구원 [커리어 우먼, 2세대- 그들이 거기에 있다] 연구 지원처 : 미래인력연구센터(6인 공동연구- 손승영, 김현미, 김은실, 김영옥, 이지연) |
2010.7-2011. 5 | 책임 연구원 [대안교육 종합발전 방향 정책 연구] (박복선, 이수광, 김희옥 공동연구) |
2013. 9.1-2014. 1.31 | 책임 연구원 [비진학 청소년 실태조사 예비 연구] 연구 발주처 : 서울특별시 여성가족 정책실 (엄기호 공동 책임 연구원) |
2015. 5.1- 2016. 2.29 | 책임연구원 [저성장 위험사회 전환도시와 청년 연구 - ‘각자도생’ 생존사회에서 공생/재생 사회로] 서울연구원과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 기관 간 공동연구 |
04
학술활동 및 사회활동
학술활동 및 사회활동
국내외 학술활동 및 사회 교육 활동
년도 | 내용 |
---|---|
1993 | “문화 식민성 극복을 위한 하나의 대안”, 추계 한국 사회학대회 발표. |
1995a | 식민성 개념의 근대/탈근대적 맥락. 한국건축사학회, “광복 후 50년 한국건축의 식민성” 발표, 9월 16일, 서울: 연세대학교 알렌관. |
1995b | 여성과 직업: 2000년대 여성 취업의 전망과 대책. 연세대학교 여성연구소 개원기념 학술 심포지엄 발표, 10월 6일, 여성연구소. |
1995c | 학업 중퇴의 새로운 차원: 부등교의 사회문화적 맥락.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학업 중퇴자: 실태와 대책” 발표, 10월 18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 |
1995d | 남한과 북조선의 문화적 동질성과 이질성. 연세대 통일연구원 개원기념 심포지엄, “통일로 가는 길” 발표, 11월 28일, 서울: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
1995e | 청소년의 성문화. 청소년 성문화 심포지엄 발표, 12월 7일, 충청남도 청소년 종합상담실. |
1995f | “청소년 문화와 생활지도” 서울시 교원 연수원 특강 |
1995g | [21세기 신 주거 문화, 여자가 주역이다.] 논평, 한일 여성건축가 심포지엄, 한국여성 건축가 협회, 포스코 센터 아트홀. |
1995f | [지방화 시대의 인류학의 과제] 한국문화 인류학회 워크숍 분과토론 사회. |
1995h | [전통주거 건축 토론회] 논평,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
1996a | 남녀 공학의 긴 여정: 연세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 대학에서의 남녀 공학” 발표, 연세대학교 여성연구소. |
1996b | 동아시아 자본주의와 유교의 부상,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중기획 발표. |
1996C | 자생적 지역축제는 가능한가?. 크리스찬 아카데미 하우스 문화포럼 3 발표 |
1996d | [Gender, Culture and Space] 동아문제 연구소 월례 발표회 사회. |
1996e | [21세기 우리 국학의 방향과 과제: 국학,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제1회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논평. |
1996f | [공동체 시민운동 세미나] 논평, 공보처 주관 |
1996g |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저서 관련/대건고 연세대학교 방문특강] 고교생을 위한 특강 |
1996h | “여성의 손으로 세상 만들기” 제2회 YWCA 전국대학생 여성포럼 주제강연 |
1996i | “여성의 눈으로 세상을 보기” [Partnership for the Future] 주제강연, 전문직 여성클럽(BPW) 총회 |
1997a | 분단과 공존: 제3의 공간을 열어가는 통일교육을 지향하며.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통일교육 심포지엄, “대학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 학술발표 |
1997b | 통일 후 북한 주민들의 체제적응 방안 - 남북통합교실 운영평가를 중심으로. 제2회 중앙대 체제적응 연구포럼. 학술발표 |
1997c | 청소년의 성문화. 한국여성학회 97년 춘계학술대회 및 워크숍, “한국의 성문화와 성교육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발표 |
1997d | 소비자본주의 시대의 성적 정체성과 여성학의 난제. 계명여성학세미나 발표. |
1997e | ‘타자’에 대한 연구?: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제4차 한국 문화인류학회 워크숍 “인류학과 현대 사회 - 방법론, 사회정책, 사회문제” 발표 |
1997f | “대학과 대학생 문화” 연세대학교 [교수 수양회] 주제발표 |
1997g | “대학생과 대학문화”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오리엔테이션] 주제발표 |
1997h | “90년대 재야정신을 찾아 - 대학생 멋지게 개기기” 서울대학교 [신입생 환영주간 강연회] |
1997i | “대중문화현실과 청소년의 삶” [97 상반기 금요 개척자 강좌 - 한국사회의 위기와 내일을 위한 선택] 흥사단 주최 |
1997j | “청소년 문화이해” [공동사회,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특별시 교원연수원 주최 |
1998a | IMF 위기와 여성주의 정치학. 한국여성학회 월례발표. |
1998b | 전시 체제적 국가주도 ‘발전’과 근대적 주체형성. 창립 40주년 문화인류학회 전국대회, “탈분단의 문화정치학”분과학회 발표 |
1998c | 남북통일의 문화적 차원. “탈냉전 시대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의 모색: 국가, 시장, 민족의 우상을 넘어서”, 크리스찬 아카데미 하우스 강연 |
1998a | [여성주의 윤리학-이론과 그 응용] 제14차 한국여성학회 춘계학술대회 논평. |
1998b | “한국학의 해체와 재구성” [한국학] 공개강좌, 서울건축학교 주최 |
1998c | [탈식민주의와 포스트모더니티: 갈등속의 길 찾기] 주제 강연, 이화여대 제3회 대학원 학술제 |
1998d | “템포에 대한 성찰: 불균형 발전 속의 주체형성” [IMF 시대의 한국사회] 연세대학교 대학원 봄 정기 학술제 |
1998e | “청소년의 인권/시민권” [21세기를 향한 청소년 정책 - 청소년을 살리는 발상의 대전환] 아우내 재단 미래문화 연구원 주최 |
1998f | “청소년들의 언어와 공간 만들기” [청소년 지도자 교육 프로그램] 영산 원불교대학 주최 |
1998g | “잠재적 중도 탈락의 의미” [중도탈락학생 예방체제 개발을 위한 콜로키엄] 청소년 대화의 광장 주최 |
1999a | 청소년의 인권과 시민권을 다시 생각함. 대구 YMCA 청소년 문제 연구소 심포지엄, “가출 청소년 ‘사회’에 대한 이해와 연구” 강연 |
1999b | “누가 새로운 천년을 이야기할 수 있으랴. 새 밀레니엄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세계적 변화와 한국의 과제”,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강연 |
1999c | 청소년과 문화교육. 한국문화정책개발원/한국청소년개발원 정책토론회, “지식기반확충과 문화교육” 발표. |
1999d | 여성 고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김활란 박사탄생 10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 “변화하는 세계와 여성고등교육” 발표. |
1999e | 젊은 세대를 위한 대안문화의 모색. 문화관광부주체 국제학술심포지엄. 발표. |
1999f | 근대의 보편적 양상으로서의 학급붕괴와 한국적 특수성. “학교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학교붕괴의 원인과 진단” 발표, 전국교직원 노동조합 참교육실천위원회 정책토론회. |
1999g | 한국의 근대화와 ‘청소년’의 주체형성. 한겨레신문사/서울시교육청 주관 국제학술심포지엄, “왜 지금 우리는 ‘청소년’을 이야기하는가?” 발표. |
1999h | 청소년은 얼마만큼 자율적 주체인가?. 한국청소년학회 학술심포지엄, “청소년은 보호의 대상인가, 자율적 주체인가?” 발표. |
1999i | 청소년 문화와 생비자, 그리고 문화산업. 청강문화산업학교 학술세미나, “청소년과 문화산업” 발표. |
1999j | IMF 이후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학술세미나, “경제위기의 사회적 충격과 공기업의 변화 연구” 발표. |
1999k | “요즘 아이들의 세상나기” [21세기 새로운 학급 문화 만들기] 전교조 대구지부 주최 ‘아이들의 세상나기’ 발표, 1월 12일, 대구 흥사단 강당 |
1999l | “전지구촌 시대 청소년 문제의 구조와 한국 청소년 문제의 현주소” [사회 변동에 따른 청소년 문제의 변화와 대안 프로그램 모색] 청운 청소년 육성회 문화 정보 센터 주최 발표, 1월 21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
1999m | “여성의 시대는 오는가?” 21세기 프론티어 주최 강연, 1월 29일, 한글 회관 |
1999n | “교육 환경의 변화와 청소년 운동” 한국 YMCA 전국 연맹 청소년 사업부 강연, 2월 4일 |
1999o | “왜 ANTI MISS KOREA 인가?” (자료집 발간사) 안티미스코리아 페스티벌 심사위원, 페미니스트저널 이프 주최, 5월 15일, 문화일보홀 |
1999p | “청소년 문화와 매스컴” [고교생 원탁 토론 광장] 심사위원, 역사아카데미 주최, 7월31일 |
1999q | “고딩영화제에 부쳐-10대 문화를 위하여” (자료집 발간사) [고딩영화제의 오늘과 내일] |
1999r | “그래. 하고 싶은 말을 하면서 또 한번 즐겁게 놀아보자” [월경 페스티벌] 불턱 주최, 9월 10일, 서울: 고려대학교 |
1999s | “문화개혁 시민연대에 참여하며” 문화연대 뉴스레터 창간호, 9월 8일자 |
1999t | “새 천년 맞이 교육공동체 한마당” [교실위기 상황에서 생각하는 교육공동체구성원이 할일] 기획ㆍ사회, 대통령자문 새교육 공동체 위원회 주최, 12월 23일, 단국대학교 |
1999u | 교수신문 창간 7주년 기념 - 한국지성사의 회고와 성찰] 이만열 교수 발제문에 대한 논평. |
1999v | “새 천년과 뉴커뮤니티Ⅱ(환경 디자인)” [새 천년의 국가비전과 전략] 이연숙 교수 발표에 대한 논평, 새 천년준비위원회. |
1999w | “80-90년대 여성운동의 평가와 21세기 여성운동의 전망” [21세기 전환기 여성운동과 여성이론] 학술심포지엄 논평, 한국 여성연구소. |
1999x | 총 기획/사회. “후기근대사회에서의 여성과 일” [누가, 왜 여성을 선호하는가?] 연세대학교 여성연구소. |
2000a | “청소년 문화세계” [대안학교 교사 양성과정] 강의, 한겨레 문화센터 주관, 1월 11일 |
2000b | “고 실업시대 청년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문명 전환” [21세기 대안의 사고와 패러다임] 강의, 한겨레 문화센터 주관, 1월 13일 |
2000c | “영상시대, 청소년 문화의 이해를 위하여” 교원 연수 강의, 성공회대학교 주최, 1월 14일 |
2000d | “위험사회와 청소년 - 청소년문화와 생비자에 대한 이야기” [하자 센터 교사아카데미]강의, 서울특별시립 청소년직업체험센터‘하자’ 주최, 1월 17일 |
2000e | “새로운 교실을 꿈꾸기 위한 키워드- 탈식민적 주체에 대하여” 교사 워크숍 강의, 우리교육 주최, 1월 20일, 동국대학교 |
2000f | “대학과 청년문화”ㆍ“기자가 되기 위한 훈련” 강의, 고려대학교 학보사 주최, 2월 15일 |
2000g | Contemporary Korean Culture and Identity. Critical Issues In Millenium, The Center For Korean Studies 국제학술심포지엄 발표, 2월 18~20일,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
2000h | “인터넷 시대의 학교 만들기” [간디학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강의, 간디학교 주최, 2월 27일 |
2000i | “21세기 학교 만들기” [부등교 아이들을 위한 대안 공간 만들기 - “학교가 몸에 맞지 않는 아이들을 위한 공간은?”] 한ㆍ일 간담회, 하자센터 주최, 3월 18일 |
2000j | “장애 여성간의 다양함과 다름에 대하여” 강의, 서울DTI 여성특별위원회ㆍ장애여성인권센터 주최, 5월 4일, ‘하자’센터 |
2000k | “남북한 사회ㆍ문화 통합의 문제점” 강의,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주최, 5월 8일 |
2000l | “후기 근대 ‘위험사회’에서 과학기술자들의 자리” 특강, KAIST 한국과학기술원 주최, 5월 15일 |
2000m | “달라지는 학교풍경, 세상풍경” 강연, 대전광역시 청소년종합상담실 주최, 5월16일, 평송 청소년수련원 |
2000n | “과외합법화에 따른 시민 대 토론회” 지정토론자, 새교육공동체 전국협의회 주최, 5월 17일,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
2000o | “해체와 크로스 오버의 신학” [근대성과 종교] 연세대 채플 특강, 5월 17일 |
2000p | 내가 만들고 싶은 사이버 여성공화국. 연세대학교 여성연구소/사비즈/언니네 산학 공동 심포지엄 “디지털 시대로 가는 여성들” 발표. |
2000q | N세대 새로운 행동 패러다임 연구의 방향. 발달심리학회 춘계 심포지엄 기조강연, “‘발달 심리학’에서 ‘자아 형성학’으로” 발표. |
2000r | The Youth Question and Korean Modernity. 대만대학교 도시문화연구소 초청강연, “청소년 문화와 한국의 근대화” |
2000s | Human right and Citizenship of The Youth. 청화(靑華)대학교 아태문화연구소 세미나, “청소년 인권과 시민권” 발제. |
2000t | 남북통일의 문화적 차원. 제5차 전국여교수연합회 정기 세미나, “통일에 대비한 여성 전문 인력의 역할” 발제. |
2000u | 한국 문화연구의 자리 찾기. 연세대학교 문화학 협동과정 운영위원회 주최 “한국문화연구의 새로운 지형” 발표. |
2000v | “왜 문화이며, 왜 청소년인가?” [청소년 알코올 문제 예방 전문가 양성 워크숍] 한국 대학생 알코올 문제 예방 협회 주최, 9월 22일, 계명대 성서 캠퍼스 |
2000w | [청소년 정책과 청소년 문화] 특강, 서울특별시 공무원 교육원 제 1기 청소년건전 육성과정 주최, 9월 25일, 서울특별시 공무원 교육원 |
2000x | “남북한 사람과 문화가 만나는 법” 강의, 한겨레 문화센터 주최, 11월 18일, 한겨레 문화센터 |
2000y | “여성의 시대는 오는가?” [여성과 직업] 강의, 한양대학교 여학생처 주최, 11월 28일, 한양대학교 |
2000z | “지구화, 정보화 시대의 평화, 인권, 노동” [성적으로 불평등한 정보화와 여성의 정보 주체화] 토론, 한국여성학회 춘계학술대회. |
2000aa | “인터넷 시대의 인류학적 상상력 : 3차 특강” 토론. 연세대학교 청년문화센터/사이버교육지원센터/지구촌시대 문화인류학 기획팀. |
2000ab | “근대적 위생학 비판: 비서구사회에서 고유성과 보편성의 딜레마” 토론, [아류패권주의와 물신주의fetishism를 넘어서: 한국학 어떻게 할 것인가] 제6회 서강대학교 학술대회. |
2000ac | “대안교육은 학교교육의 경직성을 벗어날 수 있는가?” 토론. [한국중등교육 100년: 과거ㆍ현대ㆍ미래] 경기고등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 사업단. |
2000ad | “남북경제 공동체 형성을 위한 사회적 환경” [남북한 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현실 환경과 방향] 김병로 교수 발제에 대한 토론,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
2000ae |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근대] 워크숍 토론,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2000af | “한국의 가정, 어떻게 지켜야하나?”(송복 ․ 조한혜정 ․ 채은희 ․ 전병재) 좌담, 『통과 현대』14. |
2000ag | “근대화 100년이 남긴 혼란과 충돌의 흔적들 - 비동시성의 동시성 현상 극복을 위하여” 토론, 『한국의 지성 100년』 민음사, pp. 76-84. |
2001a | Colonial Modern: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within Compressed Development. Workshop on Entangled Modernities, The Swedish Collegium for Advance Study in Social Sciences, June 15-17, University of Upsalla, Sweden. 발표. |
2001b | Some Reflections on Inter-Asia Critical Studies and the Next Generation. Roundtable Workshop of Inter-Asia Institute for Critical Studies, July 1-2, the Nexus for Social Movement Group, Taipei, Taiwan: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발표. |
2001c | A Study of Modernity, Identity and Culture Industry: based on the Case Study of ‘Korean Wave’ in Asia. Contemporary (east) Asian Popular Culture: Current Development, A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Organized and Sponsored by Department of Cultural Studies, Lingnan University(Hong Kong) and East Asian Regional Advisory Panel,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New York), October 11, Hong Kong. 발표. |
2001d | 유교적 가부장제와 근대 가족. 한일 비교가족사학회 서울대회 발표, 11월 3일, 서울 교육문화회관. |
2001e | 왜 이런 심포지엄을 하는가? 아시아 문화 산업과 문화 산업: 내가 보고 싶은 아시아 영화를 보려면?. 연세대학교 문화학과/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공동 주최 심포지엄 발표, "아시아 문화 연구 Inter-Asia Cultural Studies, 어떻게 할 것인가?" |
2001f | 세계 대안교육 관계자 워크숍, Foundation For Children, Moo Baan Dek (mbd@ffc.or.th), February 19-23, Thailand |
2001g | “21세기 학교 만들기의 비법과 방법론” 교육개혁특강, 한겨레문화센터 주최, 3월 10일, 한겨레문화센터 |
2001h | “제주도 가족 내 여성역사와 가족이데올로기” 한님화(소설가)발표에 대한 토론, [제주 여성의 삶과 가족] 한국여성학회 지역여성 학술대회, 4월 20일, 제주도. |
2001i | “우리나라 청소년의 변화와 교육의 미래에 관해” 초청강연, 교육이야기마당 외 주최, 5월 19일 |
2001j | “정보사회의 주체형성 - 하자센터의 실험” 초청강연, 삼성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주최, 5월 31일, 삼성생명빌딩 |
2001k | 서울시립 청소년 직업체험센터 내 「하자작업장학교」(탈학교10대를 위한 대안학교)설립 개교식, 9월12일 |
2001l | 서울시로부터 대안교육센터 프로젝트 위탁, 대안교육센터 개관 (하자센터 내), 9월 12일 |
2001m | “열린 공간 움직이는 학습: 사는 곳 어디나 배움터입니다 - 탈학교 십대를 위한 도시형 대안학교 어떻게 만들 것인가?” 제1차 대안교육 심포지엄, 대안교육센터(www.activelearning.or.kr) 주최, 11월 2일, 하자센터 |
2001n | “지역사회 문화예술의 발전과 이를 위한 재교육의 방향” [지역사회 문화예술지원의 개발과 그 방향] 동아대학교 주최, 11월 30일, 부산동아대학교 |
2001o | “페미니스트 소태산과 남녀공동 대표제” 논평, [탈가부장제 원불교의 전망과 과제] 영상 원불교대학교 여성문화연구소, 6월 2일, 원불교 중앙 총부 법은관. |
2001p | Discussant. [Inter-Asia Cultual Studies : Movements] Journal Launch in Seoul, October 18, Seoul: Korea Press Center. |
2001q | [열린 공간 움직이는 학습: 사는 곳 어디나 배움터입니다. - 탈학교 십대를 위한 도시형 대안학교 어떻게 만들 것인가?] 제1차 대안교육 심포지엄 토론, 대안교육센터(www.activelearning.or.kr), 11월 2일, 서울: 하자센터. |
2001r | [동아시아의 원조교제와 청소년 성매매 Teenage Girls' Sexualities and Sex Work In East Asia] 심포지엄 논평, 연세대학교 여성연구소, 11월 2일, 서울: 연세대학교 신상경대학관. |
2001s | [글로벌 시민의식 교육프로그램 개발] 심포지엄, 토론 또 하나의 문화, 12월 14일, 서울: 이화여대 아시아 여성학 센터. |
2002a | “청소년과 함께 하는 문화예술교육토론 쟁점: 세대문화의 정체성” [문화예술교육 체험 교사․학부모․청소년 열린 강좌] 문화개혁을 위한 시민연대/서울시청소년직업체험센터 '하자' 주최, 문화연대 시민자치문화센터 주관, 1월 14-22일, 서울시청소년직업체험센터 '하자’ |
2002b | Youth, Internet and Culture: Based on the Haja Experimental Project. Oceans Connect: Maritime Perspectives In & Beyond the Classroom, conference organized by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발표, February 28 - March 3, Duke University. |
2002c | “작은 실행, 큰 그림 ; 생산적인 대학 만들기” [변화의 물결과 대학, 연세의 대응과 진로] 발제, 연희예론 ‘경청’ 모임, 3월 21일 |
2002d | 글로벌 지각변동의 징후로 본 '한류' 열풍: 초국적 자본, 문화산업, 그리고 정체성의 정치학. 연세대 유럽문화정보센터/대학원 문화학 협동과정 공동주최, 연세대학교 국제학 특성화 연구단 주관 학술 심포지엄 발표, “아시아의 문화연구와 문화산업”, 3월 30일. |
2002e | “아시아에서의 여성주의 영화/비디오 액티비즘과 이미지 권력” 사회, [서울여성영화제 국제 포럼], 4월 8일 |
2002f | Modernity, Identity and Culture Industry: A Discourse Analysis of ‘Korean Pop Wave.’ University of Michigan, Korean Studies Colloquium, April 11,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발표. |
2002g | Youth, Modernity, Educational Revitalization in Seoul. New Demands of Metropolitan Life, Metropolis 2002 Seoul 국제학술대회 사회안정기반조성 분과 (Supporting Social Stability), 5월 28일. 발표. |
2002h | 글로벌 시대 대중문화 체험과 정체성의 정치학. 한국 소비자학회 전국대회 기조 발제, 6월 1일. |
2002i | 한국여성학회 18차 춘계 학술대회 [가부장제의 아버지, 딸, 어머니, 아들]분과 사회, 6월 15일. |
2002j | 한국교육개혁의 방향. 전국 경제인 연합회 교육발전특별위원회 발족대회 발제, 7월 16일 |
2002q | [Moscow International Film School / 하자 센터 Global Expedition] 참가, Perm 소년원 탐방k공동 애니메이션 작업, (‘하자’센터학생/대중음악교사3인 동행) 8월 7- 21일 |
2002l | 국경을 넘어 자신의 부족 찾기 Where to Start? Korean Wave, Japan Mania, Pop Culture and Asian Identity. 한일 대학 리더십 포럼 특강, 연세대학교 리더십 센터 주최, 8월 23일-26일. |
2002m | 쾌락과 고통의 이분법을 넘어서 - 21세기 한국 게임 산업과 문화 산업의 방향. 온라인 게임 연구를 위한 3차 워크숍 발제, 사이버문화연구회, 엔시소프트 주최, 8월 30일, 서울: 조선호텔. |
2002n | 몸, 세대, 그리고 꾸밈의 정치학. 또문 대학 강의, 10월 18일, 서울여성플라자. |
2002o | Beyond the FIFA`s World Cup: Globalization, State, Gender, Media and Studies. 연세대학교 청년문화원 주최 한일 포스트 월드컵 학술 심포지엄 발표, 11월 9-10일, 서울여성플라자. |
2002p | 내게 페미니스트란? 새 집을 짓고 함께 아이를 기르는 사람들. 이화여자대학교 교지 <이화> 편집위원회 기획 특강, “여성주의 시각으로 세상보기”, 11월 13일. |
2002q | 명실 공히 남녀 공학인 대학을 향해 가는 발걸음. 여성학 연계전공제 실시를 위한 심포지엄 기조 발제, 연세대학교 여성연구소/문화학 협동과정 주최, 11월 23일. |
2002r | “세상을 보는 눈”,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54기 여성강좌 강연, 12월 12일 |
2003b | 한류, 글로벌 시장과 대중문화 공유를 통한 새로운 아시아의 형성에 대하여. 한국의류학회 전국대회 기조강연, 4월 19일, 서울: 고대 인촌 기념관. |
2003c | 성찰적 근대성, 자율 공간, 그리고 아시아.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콜로키움 발제, “동아시아와 한국의 모더니티”, 5월 9일, 서울: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 스튜디오. |
2003d | Building Cultural Studies in Asian Context. 일본문화학회 연례회의 Cultual Typhoon Symposium, 6월 27일, 일본: 와세다대학교 교육학부. |
2003e | The Challenge of Haja Center. 디자인 국제 대회 ICOGRADA Congress 2003 발표, 10월 8일-13일. 일본: 나고야. |
2003f | “나는 왜 자꾸 떠나는가? - 부족을 찾아서 : 조한혜정․이상은․조병준” [낯선 곳에서 ‘우리’를 만나다-여행자/인류학자/문화비평가들의 릴레이 토크쇼] 하자센터주최, 연세대학교 청년문화원 주관, nc soft/daum/몽환 후원, 10월 4일, 복합 문화 공간 몽환 |
2003g | Youth, Temporary Autonomous Zone, and Internet in South Korea. From the Book to the Internet: Communications Technologies, Human Motions, and Cultural Formations in Eastern Asia, A Paper Presented at Freeman Conference, October 16-18, University of Oregon. 발표. |
2003h | 한류를 통해 본 문화적 세계화와 지역화. 한국 문화관광 정책 연구소 개원 1주년 기념 심포지엄 발표, “동북아 문화, 관광 교류와 문화산업 협력” 주최: 한국 문화관광 정책 연구원, 후원: 문화관광부, 12월 3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국제 회의장. |
2003i | Internet, Popular Culture and Culture Industry: Youth and Cultural Formations in Contemporary East Asia. East Asian Cities: New Cultural & Ideological Formations, Center for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Shanghai University Department of Cultural Studies, Lingnan University Center for Transcultural Studies, Chicago University Shanghai University, December 6 – 8. 발표. |
2003j | 토론. [저출산 시대의 보육발전을 위한 범 여성계 대 토론회] 한국여성단체연합 주최, 여성부 후원, 7월 21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 |
2003k | 사회. “국제결혼과 성적 소수자”,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심포지엄 첫째날 Ⅰ-2분과, 한국 사회학회/문화인류학회 공동개최, 9월 19일, 국가인권위워회 배움터. |
2004a | “대안교육과 작은 학교” 제 3차 도시형 대안학교 교사 아카데미 [한국 대안학교의 가치와 철학 만들기] 특강 주최, 1월 27일, 치유적 대안학교 별 |
2004b | 시대정신의 변화와 미래 세대. 제 1기 공직 여성 리더십 과정에서 강의, 3월 15일, 이화 리더십 개발원. |
2004c | Youth, Internet, and Alternative Public Space. Urban Imaginaries, An Asian-Pacific Research Symposium 발표, May 22-24, Hong Kong : Lingnan University. |
2004d | “후기 근대사회의 문화, 학교, 그리고 책읽기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 [책 읽는 사회] 문학의 순회 대사 강연, 청주 기적의 도서관, 8월 14일 |
2004e | Youth, Internet and Temporary Autonomous Zone in South Korea. The Social Use of Anthropology in the Contemporary World, Margaret Mead Symposium 발표, October 28 - 30, Osaka: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in Senri. |
2004f | 페미니즘과 간호학 - 보살핌의 노동과 가치에 대하여. 대한 질적 연구 간호학회 발표, 11월 6일, 서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2004g | 페미니즘과 여성정책 : 여성의 경험과 관점에서 사회 인프라를 만들다. 한국여성정책의 뉴 패러다임 정립을 위한 워크숍 발제, 한국여성개발원, 12월 21일, 한국여성개발원 국제회의장. |
2004h | “학교 밖 학교”에서 ‘학교다운 학교’로 - 작은 학교의 진화와 확산을 위하여. 제4회 서울시 대안교육 연례 심포지엄 발표, 서울시 대안교육센터, 11월 13일, 하자센터. |
2005a | “돌봄사회와 민주적 가족문화 만들기” [‘돌봄사회’를 지향하는 민주적 가족문화 만들기] 제1워크숍 강연, (사)또하나의 문화 주관, 여성가족부 후원, 4월 17일, 하자센터 |
2005b | “가족 공간을 넘어선 가족들 - 남자들의 참여와 마을 만들기” [‘돌봄사회’를 지향하는 민주적 가족문화 만들기] 제2워크숍 강연, (사)또하나의 문화 주관, 여성가족부 후원, 5월 7일, 하자센터 |
2005c | “비폭력대화 - 남성적 소통과 여성적 소통” [‘돌봄사회’를 지향하는 민주적 가족문화 만들기] 제3워크숍 강연, (사)또하나의 문화 주관, 여성가족부 후원, 5월 29일, 하자센터 |
2005d |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within Compressed Development". Korea Workshop - The Koreas in a transforming East Asia. EAPS(The Center for East Asia and Pacific Studies) 발표, September 2, University of Illinois: International Studies Building. |
2005e | “The Anxious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 Globalization, Human Capital, and Class”. Center for Cultural Studies Fall Colloquium 발표. Center for Cultural Studies, October 19,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Oakes Mural Room. |
2005f | “돌봄과 배움이 가능한 작은 학교 만들기”. 따뜻한 돌봄과 배움이 가능한 작은 학교 만들기 심포지엄 강연, 서울시 대안교육센터, 11월 26일, 연세대학교 위당관. |
2005g | “동아시아 교육 개혁: 한국의 대안학교 운동을 중심으로 1995-2005”(Education Reform Movement by Parents and Citizens in Korea 1995-2005: Based on the History of Alternative Schools). 동경대 교육연구 창발 기구 공개 강연회, 동경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연구과, 12월 14일, 동경대학교. |
2006a | “포스트 페미니즘 시대의 페미니스트 아젠다”(Feminist Agenda in the Post-feminist World) 발표. Ueno Seminar. Department of Sociology, January 12, Tokyo University. |
2006b | “한국 사회의 학교화와 부등교 현상”(Schoolization of Korean Society and Deschooling Phenomenon). Center for Social Welfare 발표, February 1, Rikkyo University. |
2006c | “Social Issues of Globalization, Neo-liberal and Internet Era" Tokyo-Seoul Graduate Student Workshop.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조한 연구실, 동경대 사회학과 우에노 연구실, 동경 예술대 예술학과 모리 연구실 합동 문화연구워크숍] 강연, 연세대학교 청년문화원 후원, 2월 1일-3일, 동경예술대학(Tokyo University of Fine Arts and Music) |
2006d | “십대를 위한 인문학” 하자작업장 학교 수업진행, 4월 4일-6월 12일 |
2006e | “경계에서 글쓰기” [나의 삶, 나의 글] 강연회, 숙명여자대학교 의사소통능력개발센터 초청, 4월 10일 |
2006f | “안녕, 조한” [연세대학교 대화채플] 연세대학교 교목실 초청, 4월 17일, 연세대학교 대강당 |
2006g | “돌봄과 학습이 공존하는 학교공동체의 모색” [속초 전교조 2006 교육문화강좌] 특강, 4월 27일 |
2006h | “식민지적 근대화와 "일상"을 지운 학문을 넘어서서” 대한가정학회 제59차 춘계학술대회 기조강연. 4월 29일. 경희대학교 청운관 B117호. |
2006i | [여성가족부 출범 1주기 가족정책 토론회] 지정 토론. 여성가족부 주최, 6월 23일, 코리아나호텔 글로리아 홀. |
2006j | “교수와 교장 사이, 이론과 현실 사이 고민의 흔적” 간디교사대학원 [대안교육 교사 교육] 특강. 금산 간디자유학교 , 9월 2일 |
2006k | “호남여성의 목소리와 문화관광” [전남관광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를 위한 학술심포지엄; 문화서사와 문화관광 비전] 발표, 전남도청 강당, 9월 8일. |
2006l | “지역, 여성주의 문화의 새로운 방향찾기” [지역 여성문화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움] 발표, 또 하나의 문화, 문화 광광부 주최. 서울 프레스 센터, 9월 14-15일 |
2006m | Women´s Creative Cultural Exchanges and Prospects of Building Womenn´s Cultural Networks in Korea and Southeast Asia. 기조연설, 서울 임페리얼 펠리스 호텔 컨벤션 센터, 9월 21일-22일 |
2006n | “From Construction State to Caring Society” Keynote Speech. Workshop on [Women's Creative Cultural Exchanges and Prospects of Building Women's Cultural Networks in Korea and Southeast Asia] 한국과 동남아의 여성문화예술 창조활동 교류와 여성문화산업인력 네트워킹 전망 워크숍, Organized by Korea Culture and Tourism Policy Institute. Seoul, September 21. |
2006o | “Vision and Tasks fr Youth in Late Modern” 후기 근대 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한 비전과 과제 발표 [Plans for the International Forum on Youth 2006] organized by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EXT), Kyoto Prefecture, and National Assembly for Youth Development, Kyoto October 30-31. |
2006p | “Vision and Tasks for Empowering Teenagers in the 21st Century” 21세기 십대 여성 임파워먼트를 위한 비전과 과제 발표 .International Symposium on Developing Integrated Empowerment Programs for Female Teenagers, organized by the Resource Center for Young Women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Women's Foundation. November 2-3, Seoul. (십대여성의 통합적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 기조연설, 서울여성플라자, 11월 2일 – 3일) |
2006q | "양성평등 문화정책의 기조와 비전, 방향" [문화관광부 양성평등 문화정책 종합 계획 토론회] 토론. 문화관광부 주최. 12월 27일, 대한 상공회의소. |
2006r | “위기청소년은 누구이며 그들을 위해 어떤 사회를 만들어야 하는가?” [대안교육, 위기 청소년의 대안이 되려면] 대안학교 10년의 성과와 위기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대안. 주최: 대안교육연대, 서울시 대안교육센터, 맥지 청소년 사회교육원. 발표. |
2006s | 환경재단 [2006년 세상을 밝게 만든 100인]에 선정 |
2007a | “미래 마을 만들기” 발표, 미래 주거 특집, 한국 건축학 2007년 1월호. |
2007b |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교수법 워크숍] 강연, 동국대 교수학습개발센터, 5월 4일 |
2007c | “변화하는 10대: ‘고용 없는 성장’과 ‘위험사회’를 살아가기” [대안교육과 작은 학교 만들기 세미나] 부산대학교 인덕관, 교육연구소 학술 심포지움 발표. 5월 14일 |
2007d | “Internet, Culture and Youth In Asia,” 2007 Culture and Technology Conference 발표, organized by Culture and technology, Kaist. June 12. |
2007e | 토론. “Conditions of knowledge: Cultural Studies Movements and Institutions”, 6월 16일, 상하이 interasia cultural studies |
2007f | 몽골-한국 워크숍 Academy of Political Education, Konrad-Adenauer Foundation, 연세대 행정 대학원 참가. |
2007g | “Internet and Youth Cultur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Youth and Creative Labor: East Asia and Beyond” Sophia 발표, Temple and Duke University (Anne Allison and David Slater) July 21. |
2007h | “한국사회와 인터넷, 그리고 청년문화” 한국 문화연구 캠프 키노트, 신문방송학회, 8월 13일, 연세대 상암관 소극장 |
2007i | “작은 학교와 소통, 돌봄의 원리” 사회적 부모운동 특강, 안산 들꽃 피는 마을 주최, 9월 1일 |
2007j | 논평. [여성문화이론 연구소 10주년 기념 학술대회, 여/성이론의 생산과 실천, 고갑희 “가부장제 사막에서 이론이 오아시스를 찾아 나서다”] 주최 여성문화이론연구소, 10월 6일, 함춘회관 3층 가천홀. |
2007k | “What have Internet Prosumers Produced?” Keynote Speech for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Communication. Cheng Cheng University, Taiwan. 11월 16일. |
2007l | “도시 주거 공동체, 그리고 마을에 대한 소고 - 주민은 어디에 있는가?” 한국 도시 설계학회지 투고, Urban Review 2007 여름. |
2007m | [돌봄, 소통, 열림이 있는 가족과 마을 만들기] 강연, 또 하나의 문화 주관, 여성가족부 후원, 12월 8일~·9일, 남양주 웰빙하우스 |
2008a | “South Korea′s Neoliberal Patriarchal Turn: back to the strong mothers?” 매릴랜드대학교 여성학과 콜로키움 발표, 1월 25일, francis scott key hall 1102호. |
2008b | “우리는 왜 ‘무기력’해지나? 신자유주의와 위험사회를 살아가며”, 민들레 대안학교 학부모 강의, 3월 6일 특강 |
2008c | “신자유주의 시대의 아이 키우기” 일산 도토리 미디어 사랑방 세미나 특강, 5월 10일 |
2008d | “후기 근대의 학교란?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서울교대, 5월 10일 특강 |
2008e | “신자유주의 시대의 학교와 시장” 성미산 학부모 세미나 발제, 5월 17일 |
2008f | “환경과 생태계 보존과 복원”분과 사회 (발표자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류타로 오츠카, 유정철) 2008 [문명과 평화] 국제 포럼. 한국학 중앙 연구원, 5월 28일 |
2008g | “신자유주의 시대 청소년 정책의 새 차원”, 청소년 정책연구원 직원 특강 6월 1일 |
20008h | “다시 마을이다: 돌봄과 소통의 공동체”, 나눔 문화 논단 6월 5일 |
2008i | “학교의 미래 - 위험사회를 살아내기”, 광주 전교조, 6월 9일 특강 |
2008j | “신자유주의와 세계 경제” 토론, [지구화와 문화적 경계들: 탈경계 문화변동 현상의 비판적 재검토], 주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한국문화연구원, 9월 5일 |
2008k | “신자유주의와 노동 학습, 사회적 노동”, 서울시 시립 청소년 활동가를 위한 특강(하자센터), 10월 3일 |
2008l | “환상과 두려움을 넘어서: 초경쟁시대의 교육” 토론, [한국문화인류학회 창립 5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주최 한국문화인류학회, 11월 14일 |
2008m | “21세기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가부장제 : ‘강한 어머니’의 회귀?”, 「신자유주의와 ‘희망’의 페미니즘」기조발제, 2008 한국여성학회 추계학술대회, 서강대 학교 다산관 |
2009a | “신자유주의 시대의 페미니즘”, 동경대 우에노 치즈코 세미나 발제, 1월 21일 |
2009b | “조한혜정에게 우석훈이 ‘문화적 상상력’을 묻다” [시사IN 신년강좌 “위기에서 길을 묻다”] 좌담. 2월 9일, 서울프란치스코 교육회관. |
2009c | “사회경제를 위하여”, [연세대학교 경제인류학 공개콜로키움] 공동기획 및 진행 3월-6월 |
2009d | “인문학의 가치, 고려대학교 인문학 포럼 발표, 5월 8일 |
2009e | “구조와 개인 : 선행학습과 스펙, 엄친아의 문화정치학” 고려대학교 특강, 5월 8일 |
2009f | “세대간의 소통과 배려”, 종로구 주민대상 연세대 사회봉사 특강 5월 13일 |
2009g | “학교가 돌아왔다” 좌담. [KBS 라디오 스승의 날 : 대학과 교양교육] 5월 15일 |
2009h | 토론. [청년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토론], 주최 유네스코, 5월 18일 |
2009i | [영상과 문화 워크숍] 사회, 주최 한국문화인류학회, 5월 30일 |
2009j | “자본주의와 공공영역의 재생산”, 언론홍보대학원 고위과정 특강, 연세대학교 빌링슬리관, 6월 6일 |
2009k | “신자유주의적 문화정치학과 젠더” 특강, 동경대학교 Hobun 빌딩, 7월 7일 |
2009l | “The Cultural Politics of 'Competition' among South Korean Youth in Neo-l iberal transformation” Globalization and its Fault Lines 발표, Inter-Asia & Cultural Typhoon in Tokyo, 7월 4일 |
2009m | “근대를 넘어서는 상상력: 지속가능한 인류의 삶과 주변적 행위자들”, [석학과 함께 하는 인문강좌 시리즈 10] 특강, 한국 연구재단 주최, 서울역사박물관, 9월 26일-10월 30일 |
2009n | “지식인과 파워엘리트- 시장 질주사회에서 인재가 된다는 것” 특강, 숙명여자대학교 의사소통 센터, 9월 29일 |
2009o | “광기의 교육에서 희망의 교육으로” : “교육과 초경쟁 사회의 재생산” 한국문화인류학회 발표, 11월 7일 |
2009p | “토건국가에서 돌봄 사회로 : 여성 네트워크에 의한 새로운 인프라 만들기” 제주 여민회 주최 시민 강좌, 특강, 세상을 위한 울타리 넓히기 장소 제주 여성인권연대 교육실. 11월 9일 |
2010a | “Youth, Labor, and Neoliberal Governmentality in South Korea”, 발표, Youth, Labor, and Neoliberal Governmentality in East Asia Symposium, University of Pittsburgh, 3월 5-6일 (Gabriella Lukacs) |
2010b | 지역 사회 핵심 리더 양성을 위한 청소년 지도사 과정, 특강, 제주특별자치도 인력개발원, 4월 8일, 제주도 |
2010c | 청년희망아카데미, <유쾌한 상상,짜릿한 변화> 특강, “젊은, 변화와 희망을 상상하다”, 한국여성노동자회 지하강당, 5월 6일 |
2010d | Generational Conflict and the Prospect for Symbiosis in Late Modernity- Lessons from South Korea, 1990-2000, 연세대학교 창립 125주년 기념 2010 연세 인문학 국제 학술대회- 소통의 인문학과 공생사회 발표, 연세대학교 장기원 기념홀, 5월 13-14일 |
2010e | 파리 한류 학회 발표, 6월 8-9일 |
2010f | Inaugural Plenary: the Future of Inter-Asia Cultural Studies Society, 토론, Inauguration of the Inter-Asia Consortium of Academic Institutuions, 성공회대 피츠버그 홀, 7월 3-4일 |
2010g | 청년 실업시대의 한일 청소년의 노동과 사회적 기업, 일본문화 협동 네트워크 특강, 9월 15일 |
2010h | 청년세대와 대안교육 패널, 발표, 대안교육 한마당, 성공회대 강당, 9월 11-12 |
2010i | ‘내 친구의 단골집은 어디인가? :지식정보 내트워크 시대의 일과 삶’, 이화여자대학교 교양교육원, <이 시대 리더와의 만남> 특강, 9월 29일 |
2010j | “적대와 경쟁을 넘어 우정과 환대의 시대로” 특강, 대전 풀뿌리 사람들: 대전 풀뿌리 시민센터, 10월 20일 |
2010k | “동정과 측은지심 사이 ㅡ 아무도 대답하지 않았던 나눔에 관한 질문들, 미래의 나눔에는 무엇이 필요한 것일까?”, [아름다운 재단 창립 10주년 기념 컨퍼런스] 발표, 아름다운 재단, 네이버 해피빈 주최, 건국대학교 새천년기념관, 11월 4일 |
2010l | 한국에서의 젠더와 문화연구 10년’ 키노트, 연세대학교 문화학협동과정 10주년 기념 학술행사- 로컬리티와 문화연구, 연세대학교 성암관, 11월 5-6일 |
2010m | 디지털 시대의 교육: 숲 유치원을 통해본 교육의 방향,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11월 5일 |
2010n | “대학교육의 현주소와 청년 문제”, 서강포럼, 서강대 메리홀, 11월 11일, 서강대 학생회 주최 |
2010o |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희망 찾기 국어교사모임 주관, 신정 중학교, 11월 15일 |
2010p | “우리시대의 커뮤니티 찾기” 특강 , |
2012a | 국토활성화 정책 심포지움 ‘마을, 소통 그리고 단골경제’ 발표, 전주도시재생지원센터 주최, 03.30 |
2011a |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그 이후”, 서울 국제여성영화제 ‘여성, 장소, 소셜’ 라운드 테이블 발제, 4월 11일 |
2011b | 비전토크. 여성운동, 역사를 넘어 오늘을 만나다, 2011 여성회의 발표, 한국여성수련원, 4월 28일-30일 |
2011c | ‘한 페미니스트 인류학자가 읽은 박완서와 1980-90년대 문단’, <한국 근현대사와 박완서> 발표,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 4월 30일 |
2011d | “가정, 학교 마을, 그리고 청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특강, 부산지역 사회적 기업/허브 프로젝트, 부산 헤세이티, 5월 8일 |
2011e | ‘학교, 가정, 마을, 그리고 청춘 -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이 시대 교육 포럼> 특강, 하자장업장학교, 5월 14일 |
2011f | [이화 그리고 세상을 바꾸는 가치, 사회적 기업가 정신] 토론, 이화여대 창립 125주년 기념 제11회 김옥길 기념 강좌. 주최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연구소, 5월 18일 |
2011g | 보살핌의 공공성기조 강연, 한국여성 평생교육학회 하계 학술세미나, 송파여성문화회관, 8월 31일 |
2011h | 전라북도 공립대안 고등학교 설립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공립 대안고등학교의 필요성과 방향성, 전라북도 교육청 8층 중회의실, 9월 19일 |
2011i | 부천대 마을 문화 디자인 하기 “다시 마을이다” 강의 9월 27일 |
2011j | 포스트 후쿠시마 시대의 모성: 세대간 형평성과 공존의 길’, 아이쿱 혐동조합 강의 10월 6일 |
2011k | 제4기 부일CEO아카데미‘ 강연, 부산일보사, 10월 11일 |
2011l | ‘나눔과 살림 - 포스트 후쿠시마 시대의 삶’, 아주대 아주강좌, 11월 3일 |
2011m | “포스트 후쿠시마 시대의 유아 교육”, 한국유아변형학회 추계학술대회 - 다가올 세상을 살아갈 유아의 삶: 오늘 무엇을 보고 생각할 것인가, 강연,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주최, 11월 05일 |
2011n | “여성에게 생명평화의 길을 묻다”, 2011 즉문즉설 “여성에게 생명평화의 길을 묻다” 생명평화결사 주최, 11월 10일 |
2011o | 명사특강- 사회적 기업과 나눔의 태도, 세상 사회적 기업 스쿨, SK 행복나눔재단 사회적기업사업단,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청 주최, 11월 19일 |
2011p | “승자독식의 시대를 넘어 상생의 시대로”- 9.11 그리고 3.11이후, 승자독식의 시대를 넘어 상생의 시대로, 발표, 공갈못 문화재단 주최, 11월 26일 |
2012a | “Beyond Alternative Education: A Return to Caring in Creative Public Space” Leaning in and out of School: Education Across the Globe, Kellogg Institute for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of Notre Dam, may 22-23, organized by Susan Blum. |
2012b | “서사 연구는 시대 흐름과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 - 소통불가능과 서사 부재 상황에 대한 단상”, ‘Boundary Crossing Humanities and Narratives: Narrating, Letters, Publicness’, International Humanities Conference at Yonsei, 연세대 문과대학과 언어정보연구원, 국학연구원, 인문학연구원이 공동 주제 심포지엄, 5월 17일 |
2012c | “이론과 실천 사이: 위기가 일상화된 사회의 인류학”, 한국문화인류학회 가을학술대회‘위기의 문화’, 서울대학교, 11월 30일 |
2012d | “배움이 불가능한 시대의 배움”, 제 3차 청소년대안교육포럼, 청소년 대안 교육센터 주관, 대전광역시 교육청, 내일 신문, 대전 나눔의 집 후원, 대전 복음 신학대학원 대학교 강당, 12월 7일 |
2012e | kbs prime 지식기부 콘서트, N 난감함을 공유하는 시민들의 수다, 3월 5일 |
2012f | 산림 교육활성화를 위한 산림 교육 전문가 간담회, 산림청 주최, 3월 19일 |
2012g | ‘실천 지식, 경계에서 말하다’, 제38차 불교미래사회포럼 발표, 불교미래사회연구소 주최, 3월 27일 |
2012h | “소통, 마을 그리고 단골 경제”, 평택 시립 도서관 [인문학 다시 보기] 특강, 39회, 평택 시립도서관 시청각실, 6월 21일 |
2012i | “교실이 돌아왔다고? : 존중과 배려, 그리고 배움의 공동체에 대하여”, ‘인문학 축제 첫번째! 인문학 다시 보기 - 위기지학-[ 爲己之學 ]’, 숭실대 특강, 한경직기념관, 6월 27일 |
2012j | ‘난감함을 공유하는 시민들의 수다’ 금천 구청 특강, 금천학부모모임 주관, 금천구청 평생학습관, 6월 28일 |
2012k | “미래를 여는 여성, 당신이 주역입니다 - 소통, 단골, 마을 그리고 활기 있는 삶의 시작’, 서초구청 여성 주간 기념 행사 명사 특강, 서초구립여성회관, 7월 5일 |
2012l | “혁신학교에서의 배움, 진정한 배움이란 무엇인가”, 학부모 특강, 7월 9일 |
2012m | “블록 어택(Block Attack)으로 파괴된 도시 커뮤니티 재생을 위한 시론”, Keynote Address: The 8th Pacific Rim Community Design Network Conference, the KOEX, Seoul National University, August 22-24 |
2012n | “자활의 환경, 자립의 기술”, 2012 하자 청소년 창의서밋 메인포럼 발제, 하자센터 하하허허홀, 9월 25일 |
2012o | “마을을 이야기하다”, 서울시 마을과 인문학 특강, 서울시의회 별관, 10월 16일 |
2012p | “가정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남양주 월문초등학교 학부모 세미나, 월문초등학교, 10월 23일 |
2012q | “마을이 세계를 구한다”, 평화재단 청년 리더십 아카데미‘청춘의 대발견, 시대와의 동행 강의’, 부산 YMCA 강당, 10월 26일 |
2012r | “마을과 인문학”, ‘마을과 인문학’, 이음 공간 열린 기념 인문학 강의, 창원 인문학 공간 이음, 10월 27일 |
2012s | 하자센터와 청년문화원이 함께하는 [자공공 아카데미] 기획과 담임, 10월 31일 - 12월 12일 |
2012t | “지속가능한 발전과 창의적 공공지대, 그리고 사회적 기업”, 서울대학교 지속가능성 세미나 특강, 하자센터 하하허허홀, 11월 2일 |
2012u | “지속가능한 발전과 창의적 공유지, 사회적 기업”, ‘서울대 관악 모둠 강좌: 지속가능한 발전(윤순진 교수 담당)’ 특강,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103호실, 11월 2일 |
2012v | “기도와 건강한 노동이 있는 삶의 회복”, 연세대학교 교내 교수모임 경청 십주년 기조 강연- 경청을 경청함: 소통의 철학을 위하여, 연세대학교 장기원기념관, 11월 7일 |
2012w | “연세대학교 명저출판 교수와 함께 하는 목회자 독서모임”, 가을학기 기독교와 인문학 강좌, 연세대학교 교목실 주최, 연세대학교 루스채플 원일한홀 101호, 11월 27일 |
2012x | “교육불가능 시대의 교육”, 행복한 부모아카데미 '마을과 인문학' 특강, 대안교육학부모 연대, 부산교육대학 강당, 11월 27일 |
2012y | “누가 둘러 앉는가, 왜 마을인가”, 진안군마을만들기지원센터 개소식 특별 강연, 진안군마을만들기지원센터, 12월 7일 |
2013 | “Desperate Mothers, Anxious Kids: South Korea’s Family Plot (with Professor Nancy Abelmann)”, Critical Studies in Korean Studies Forum, Center for Korean Studies at UH, 1월 24-25일 |
2013a | “나눔과 봉사에 대하여”,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정기총회 발제, 숭실대 베어드홀, 3월 25일 |
2013b | “학교폭력은 왜 사라지지 않고 학습은 점점 어려워지는가”, 해운대 전교조 특강, 해운대 교육청, 4월 26일 |
2013c | “누가 둘러 앉는가? 왜 마을인가? -가정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충남발전연구원 CDI 특강, 충남발전연구원 대의원실, 5월 6일 |
2013d | “불안하고 공포스러운 것은 당연한거야”, 효원 리베르타스 특강,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센터, 5월 7일 |
2013e | 서울시 공무원 특강, “왜 마을살이인가?” 서울인재개발원, 5월 22일 |
2013f | 혁신학교 교장 특강, 경기도 교육청, 아주대학교 강당 6월 14일 |
2013g | 청소년 지도사 특강, “누가 둘러앉는가? 왜 마을인가?” 서울 교육대학교 공학관 강당, 6월 20일 |
2013h | “시민들이 만들어가는 우정과 환대의 공간 마을” 파주 중앙 도서관 특별 강의, 파주 교하 도서관, 6월 18일 |
2013i | “왜 마을인가?” ‘2013 미래교회 컨퍼런스 – 생명.정의.평화’, 연합신학대학, 6월 25일 |
2013j | 서울시 디자인 재단 주최, 제 1차 세계 골목 콘퍼런스 패널 토론, 9월 12일 |
2013k | “지속가능성의 새로운 차원”, 서울시 지속가능성 위원회 발족기념 전문가 강의, 9월 16일 |
2013l | EBS 다큐 프라임 ‘한국인과 영어’ 전문가 인터뷰 및 자문, 9월 16일 |
2013m | “선은 크리에이티브다”, 제일기획 디지털리더스 포럼 ‘디지털시대의 善’, 10월 8일 |
2013n | ‘대장금 10년’ MBC 특별기획 전문가 인터뷰, 10월 8일 |
2014a | 어린이 놀이터 혁신 방안 청책 토론회 “어린이 놀이터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전제들”, 10월 29일 |
2014b | '4. 16(세월호 사건)에 대한 인문적 성찰과 재난인문학' 심포지엄, “애도, 그 사회적 카타르시스와 시공간을 위하여”,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HK문명연구사업단 주최, 10월 31일 |
2014c | Dr. David Chu Distinguished Visitor Series Co-Presented by the Centre for the Study of Korea “Learning (South) Korea: Thoughts on Risk Society, Violence and Mourning(Over the Sewol Ferry Disaster)”, Asian Institute Munk School of Global Affairs University of Toronto, 11월 6일 |
2014d | 신촌지역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 전문가 토론회 “신촌 도시재생을 위한 몇 가지 생각”, 신촌 유플렉스, 11월 21일 |
2014e | 사회혁신 컨퍼런스 <소셜 뮤지엄 서울, 2014> “위험사회와 전환도시, 그리고 마을”, 서울혁신파크, 12월 4일 |
2014f | [동숭학당] “마을 교실 시대를 열며: 개발시대를 지나 위험사회에 살아남기”, 군포시 청소년 수련관, 12월 11일 |
2015a | ‘2015 MI 그랜드 마스터 클라스-생각수업어디서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마이크임팩트 주최, 1월 14일 |
2015b | 순천사랑 아카데미 “자공공: 우정과 환대의 마을살이 ‘세대 협력’ 가능한가?”, 순천시 문화건강센터, 2월 26일 |
2015c | 대전평생교육진흥원 “어디서,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5월 12일 |
2015d | 일본 DMN 연구회 주최 연구 세미나 “저성장 위험사회 전환도시와 청년 연구-‘각자도생’ 생존사회에서 공생/재생 사회로”, Liberty Osaka, 6월 27일 |
2015e | “국민에서 난민으로 – 세월호 사태를 통해본 생존과 탈존의 정치학”, 7월 23일 |
2015f | The 2015 Kim Dae-Jung Lecture in Korean Studies presents “People 國民, Citizens 市民, and Refugees 難民 -Thoughts on the Politics of Survival, Violence and Mourning (Over the Sewol Ferry Disaster)”, Robinson College, Cambridge, 10월 23일 |
2015g | 원주 무위당 아카데미 “누구와 함께 어디서 살 것인가?자공공: 우정과 환대의 마을살이”, 11월 12일 |
2015h | 원주 서곡교육네트워크 초청 강연 “저성장 위험사회의 마을과 학습-‘각자도생’사회에서 공생/재생 사회로”, 서곡초등학교, 11월 13일 |
2015i | [플라톤 아카데미]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특강 “초고속 압축 성장 국가의 명암-‘개발사회’를 넘어 ‘위험사회’를 살아내기”, 연세대 대강당, 11월 24일 |
2015j | [대구 혁신 아카데미] 특강 “노령화/저성장/위험사회의 청년-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조건과 연대”, 12월 3일 |
2016a | 안산 국제 심포지엄 2015; 대형참사의 극복과 공동체 회복 “A Thought on Justice and Caring Community -Through Sewol Ferry Disaster in South Korea”, 안산, 11월 25일 |
2016b | 지평선학교 초청 특강 “자공공; 우정과 환대의 마을살이 - 세기말 위험사회를 살아내는 법”, 5월 7일 |
2016c | [EBS 초대석] 문화인류학자 조한혜정 “‘노오력’에 빠진 청년을 구하라”, 5월 24일 방영 |
2016d | 광주과기대 초청 특별교양강좌 “"무슨 일을 하며 누구와 어디서 살까? - 무업, 무연, 무용 사회의 해법", 6월 7일 |
2016e | Cultural Typhoon 2016 keynote speech “Why Am I Still Talking?: Hopes for A United Front of Youth Precariat in East Asia”,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7월 2일 |
2016f | [EBS <특별기획 통찰(洞察)> “나는 관계한다. 고로 존재한다. 돌봄과 상생”, 7월 4일 방영 |
2016g | 제주YWCA 주최 양성평등 세미나 “왜 여성, 그리고 전환마을인가”, 7월 22일 |
2016h | 광주 삶디자인센터 개관기념 강연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전환과 연대”, 11월 3일 |
2016i | 언론정보학회 가을 정리 학술대회 발표 “‘사회’의 발명, 우리 안에 작은 공화국 만들기”, 11월 25일 |
2017a | 강원도형 교육공동체 <온마을학교> 연수회 특강 “전환의 시대 우리는 어떻게 살아나가야 할까?”, 3월 10일 |
2017b | 서울시50플러스 중부캠퍼스 개관기념 특강 <돈, 집, 마을, 나의 재구성>, 3월 16일 |
2017c | 재美난학교 포럼 <재난, 사회적 성찰로서의 거울> 발제 “전환의 시대, 어떻게 살아낼까?”, 용산캠퍼스, 5월 24일 |
2017d | 충남교육심포지엄 “우리를 살게하는 것들: 무엇이 우리를 성장시키는가?”, 충남교육연구정보원, 7월 13일 |
2017e | 제2회 은평상상컨퍼런스 ‘전환’ 개막 강연 “재난의 시대, 무엇이 우리를 살게 하는가?”, 8월 30일 |
2017f | 2017 제주교육솔루션 포럼 패널, 제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9월 15일 |
2017g | 2020 청년 희망 공감 토크<대구, 청년 수당에 대하여> 좌장 및 발제 “지속가능한 공동체와 청년의 자리”, 대구시 창조경제혁신센터, 10월 16일 |
2017h | 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 기조강연 <가정은 어디에 있는가> “'돌봄 결핍' 재난사회의 돌봄과 상생에 대하여”, 11월 11일 |
2017i | 하자 생일 잔치 초청 특강 “각자 선 자리에서 : 7순을 맞은 그 이야기”, 하자센터 999홀, 12월 15일 |
2017j |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질문있습니다] 조한혜정편 “선망하는 나라 대한민국”, 12월 20일 방영 |
2018a | 순천향대 향설나눔대학 초청 “당신은 지금 어떤 시간을 살아가고 있나요? ; 국민, 시민, 난민의 정치학”, 10월 4일 |
2018b | 제주시 초청 <100세 인생 어떻게 살 것인가?> 특강 “제주, 그 전환의 섬의 갭이어 프로젝트: 국민, 시민, 난민의 정치학”, 설문대여성문화센터, 11월 12일 |
2018c | 미국 아시아연구 정기 학술 대회 기조 강연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USA) “Generation, Reconnection and Reciprocity: Hopes for a United Front of Youth Precareity in East Asia”, 3월 22일 |
2018c | 미래 사회 전략 구성 세미나 “10년 후 전망과 국가정책 방향 -국민, 시민, 난민의 정치학”, 12월 5일, 서울역 세미나실 |
2018d | 12월 7일 한국 사회학 대회 기조강연 “균열과 혐오의 사회를 넘어: 연대와 치유를 위한 사회학적 성찰 - ‘미투’ 운동과 기본소득, 그리고 이바쇼”, 12월 7일, 중앙대학교 |
2018e | 정기 사회학회 <연대와 치유의 사회학적 성찰> 기조 강연 “ 미투 운동과 기본소득, 그리고 이바쇼”, 12월 16일 |
2019a | 하자센터 오디세이 신입생을 위한 두런두런 “쉬고 놀고 공부하고 일하고”, 3월 15일, 제주 어망아방 게스트하우스 |
2019b | 제주도 가마 초등학교 학부모 강의 2차 “우리들의 아이들은 어떤 세상을 살아가게 될까?” 4월 19일, 가마 초등학교 도서관 |
2019c | 인천 시민문화대학 특강 “생애 전환과 시대 전환”, 5월 22일, 인천 공연예술 연습공간 |
2019d |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여성가족부∙롯데지주와 ‘나다움을 찾는 어린이책’ 교육문화포럼 “똑똑! 책으로 여는 우리들 세상” 토론, 4월 9일, 서울 마포중앙도서관 |
2019e | 제주시 여성주간 행사 <남자와 여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살림’의 제주> “경쟁과 독존에서 협력과 상생으로”, 7월 3일, 제추 창조경제혁신센터 |
2019f | 서초 구청 반딧불이 공간지기들과 난감모임, 7월 17일, 서초구청 |
2019g | 서울 천호동 문화놀이터 와플 마을 모임 “어디에 초점을 맞추고 활동을 어떻게 지속할 것인가?” (공간비용 마련이 어렵게 된 시민단체들), 9월 7일 |
2019h | 성북예술마을 주간 EXPO 토크쇼 “성북 예술마을, 안녕 하니? 예술 마을 그 너머를 상상하다”, 9월 20일, 성북정보도서관 지하1층 천장산우화극장 |
2019i | 기후위기 비상 행동 대학로 시위 참여관찰, 9월 21일 |
2019j | 실패 박람회 <힐링 토크 콘서트> 작가 이슬아, 화가 김미경, 파쿠르 김지호와 함께, 9월 22일 , 광화문 광장 메인 무대 |
2019k | 부산 예술 교육 도시 40계단 예술교육 영화제 특강 “관계를 통해 성장하는 배움: 위험사회에서 삶을 지탱하게 하는 것들” 9월 23일, 모퉁이 극장 |
2019l | 전주 사회 혁신 한마당 대한민국 사회혁신가들의 위대한 질문 기조 강연 “적대 사회에서 호혜 사회로: 전환사회 공유지와 사회적 돌봄의 회복에 대하여”, 10월 18일, 전주 사회 혁신 센터 |
2019m | 한국 고등교육재단 45회 드림렉쳐 “누구와 함께 '연구'하며 살아갈 것인가?” 10월 19일, 서울 고등교육재단 강당 |
2019o | 제주 보물섬 학부모 강의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 10월 26일, 학교 다목적실 |
2019p | 대구 비산동 골목 콘서트 “급변하는 환경적 변화에 어떻게 대처하며 마을 살이를 이어갈 수 있을까?-마을 교육공동체 붐이 일고 있는 이유와 전망”, 10월 29일, 달성 토성마을 다락방 |
2019q | 행정안전부 소통협력공간 사업 제주시 전환사회 공유지 씨앗 프로젝트 <라이프 3.0 시대 ‘돌봄 소통 상생’의 인문학> “우리 아이들은 어떤 세상을 살아갈까?”, 11월 9일 |
2019r | 청소년 복지 학회 기조 강연 “혐오사회에서 환대의 사회로: 사회적 돌봄이 가능한 시공간에 대하여”, 11월 15일, 센트 포인트 광화문 빌딩 강당 |
2019s | 서울 지식이음 포럼 & 축제 기조 강연 “'사회'가 만들어지는 환대의 장소 -공공 도서관의 혁신과 사회적 역할-”, 11월 21일, 서울 도서관 강당 |
2019t | 제주 지역 유네스코 학교 교사 모임 “적대사회에서 혐오 사회로 : 누구와 함께 ‘연구’하며 살아갈 것인가?” 11월 30일, 신성여고 도서관 |
2019u | 청년문화원 20주년 기념 학술행사 <대학의 공공성과 지속적 혁신: 경계를 넘나드는 교육> 기조 발제 “전환의 시대, 대학의 공공성을 다시 묻다 - 청년 문화원 20년의 실험: 청(소)년 질문에서 인간/인류에 대한 질문으로-”, 12월 6일 , 연세대학교 문과대 백주년 기념홀 |
2019v | 부산 북커뮤니티 기획강연 “키워드로 한국사회를 말하다” 「00 쏘싸이어티」 북커뮤니티 사과 기획 북톡 “선망국의 시간: 당신은 지금 어떤 시간을 살아가고 있나요” 12월 8일, 부산 생활문화센터 청자홀 |
주요 심포지엄 기획
년도 | 내용 |
---|---|
2000. 11 | [한국 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향] 연세대학교 문화학 협동과정 운영위원회 주최 심포지엄 기획 |
2001. 6 | [아시아 문화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연세대학교 문화학 협동과정/영상원 공동주최 심포지엄 기획 |
2002. 11 | [한일 포스트 월드컵 학술 심포지엄 Beyond the FIFA`s World Cup: Globalization, State, Gender, Media and Studies] 연세대학교 청년문화원 주최 심포지엄 기획 |
2003. 5 | [동아시아와 한국의 모더니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콜로키움, 연세대 사회학과 주최 심포지엄 기획 |
2003. 10 | [Global Knowledge, 누가 어떻게 만드는가? 지식 생산과 영국의 문화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화학 협동과정 주최, 연세대학교 청년문화원/대학원 학생회 후원, 심포지엄 기획, 10월 4일, 연세대학교 글로벌 라운지 |
2005. 7 | [대안교육 10년의 성과와 과제] ‘대안교육백서 1997~2007 대안교육 10년을 돌아보며’, 교육인적자원부 주최, 서울시 대안교육센터 주관, 심포지엄 기획, 7월 2일, 연세대학교 위당관, 편찬 연구팀(김종구(대안교육센터 기획팀장), 이은진 최경미, 박민희 외 3인) |
2005. 11 | [돌봄과 소통이 있는 가족문화와 지역사회를 위한 심포지엄 - 페미니즘과 돌봄사회의 윤리, 가족의 경계를 넘어 새롭게 가족과 만나기] 또 하나의 문화 주관, 여성가족부 후원, 심포지엄 기획 , 11월 25일, 하자센터 999클럽 |
2007. 12 | [열린 가족 형태 발굴과 시민사회적 네트워크를 위한 심포지엄], 또 하나의 문화 주관, 여성가족부 후원, 심포지엄 기획, 12월 1일, 연세대학교 논지당 |
2009. 6 | [2009 서울시청소년창의서밋 “창의성, 위기의 삶을 만나다”] 공동기획, 주최 서울특별시, 주관 하자센터,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심포지엄 기획, 6월 1일 - 5일 |
2010. 4 | [Rethinking Individualism :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피터 가드너 교수 초청 특강 기획진행, 빌링슬리관 110호, 4월 27일 - 5월 6일 |
2010. 7 | 글로벌 과제: 학생 15인과 미국 뉴멕시코 아메리칸 원주민 지역 현장조사 (교과부 글로벌 역량 프로젝트) 기획, 7월 6일 – 21일 |
2012. 4 | 하자센터 [‘자조(自助), 공조(共助), 공조(公助)] 자공공포럼 기획 |
2012. 7 – 8 | [지속가능한 도시를 디자인하자], 하자허브 여름학교 기획, 7월 2일 - 8월 3일 |
2012. 11 – 2013. 4 |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서울대학교와) 기획 |
2013. 3 - 5 | 하자센터 [자공공 아카데미 2기] 기획과 담임, 3월 20일 – 5월 22일 |
2013. 5. 30 | [‘기획된 가족’ 저자와 함께하는 여성정책에서‘가족’을 묻다] 기획 |
2013. 7 | 서울시 여성가족실 대학생 돌보미 교육 실험 프로그램 기획, 7월 1일 - 12일 |
2014. 3 – 4 | 하자센터 [하자 마을 인문학] 기획과 담임, 3월 12일 -28일 |
2014. 9 | 하자센터 [제하자센터 [제6회 서울청소년창의서밋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전환과 연대 2 : 다시 배움과 희망에 대하여] 기획 |
2014. 9 – 11 | 하자센터 [자공공 아카데미 3기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인문학] 기획과 담임, 9월 14일 – 11월 12일 |
2015. 3 – 5 | 하자센터 [자공공 아카데미 4기 ‘국민, 시민, 난민의 시대] 기획과 담임, 3월 19일 – 5월 21일 |
2015. 9 | 하자센터 [제7회 서울청소년창의서밋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전환과 연대 3 : 배움의 기쁨, 삶의 기술] 기획 |
2016. 2 | 하자센터 [봄 자공공 포럼] 기획, 2월 26일-27일 |
2016. 9 | 하자센터 [가을 자공공 특강] 기획, 9월 9일, 21일 |
2016. 10 | 하자센터 [제8회 서울청소년창의서밋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전환과 연대 4 : 이행 X 기지] 기획 |
2017. 3 - 5 | 하자센터 [자공공 아카데미 5기 ‘돌본다는 것, 서로 의논한다는 것, 그리고 사회를 만들어간다는 것] 기획, 3월 17일 – 5월 11일 |
2017. 10 | 하자센터 [제9회 서울청소년창의서밋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전환과 연대 5 : Re] 기획 |
2019. 3 - 6 | 제주시 청소년 수련관 실험 프로젝트 <재미난 교실> 총 기획 (최소연 아트디렉터, 바리나모 춤팀 합작) |
2019. 11. 3. - 12. 8. | 행정안전부와 제주시 소통협력사업 제안서 작업과 씨앗 사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