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다섯편의 영화를 보고 LA에 왔다

조한 2019.07.26 05:25 조회수 : 473

탄소 배출을 생각하면 비행기 타는 것이 부담스럽고 나이 때문에도 비행기 타는 것이 별로 달갑지 않지만 

대학원때부터 가는 피서지 캘리포니아 산속을 향해 올해도 어김없이 제사를 안 지내는 대신 가족들이 있는 그곳으로 떠나왔다.

긴 운항이지만 영화 보는 재미에 그런대로 즐겁게 왔다.

 

일제시대 조선어 사전을 만들려던 팀을 그린 <말모이>

자식들에게 부끄럽지 않는 아버지가 되려고 애국에 참여한 보통사람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거제도 포로수용소를 배경으로 이데올로기의 종언을 선언하는 <스윙키즈>

춤, 예술에 미친다는 것, 인간이 가진 본성을 죽이지 않는 삶에 대해 말하고 있다.

 

아더 대왕이 현재로 돌아온 <왕이 될 아이>

영웅이 되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 <반지의 제왕>부터 <해리포터>, <몬스터 콜>까지.

 

힘든 삶을 살아가지만 사랑하는 누나의 딸을 키우기로 한 삼촌의 이야기를 담은 <사반나>(영화 제목을 검색에서 찾지 못하고 있다.)

모든 것이 깨져나가는 시대에 왜 사는지에 대해 말해주는 영화이다. 

 

전신미비에 걸린 억만장자와 야성이 살아 있는 흑인 도우미를 통해 삶은 어떻게 살아지는지를 보여주는 <업 사이드> 

역시 파상의 시대에 우리를 살게 하는 것에 대한 영화.

 

고대로부터 일제시대로부터 초현대까지 종횡무진 영화속을 보다보니 열한시간이 훌쩍 갔다.

도착하면 후회를 할테지. 잠 좀 잘껄.

 

아침에 무거운 몸을 끌고 오빠와 언니네가 엿새 동안 손을 봤다는 산책길을 다녀왔다.

덩쿨을 치고 정비했다는 데  '겸손의 계곡'이라는 곳을 지났다.  

나무를 칠 수가 없어서 허리를 굽혀서 지나야 하는 곳.

'겸손의 계곡'이라.... 역시 이름 짓기가 중요하다.

 

호모데우스가 되어버린 남매들은 각기 식성도 다르고 자고 깨는 시간도 다르지만

나름 비슷한 깨달음의 길로 접어든 듯 하다. 

오빠의 요즘 깨달음이 이른 곳은

 

1) 서로 돕는다. 서로 돕는 사람이 없으면 하루도 살 수 없다.

2) 동무가 된다. 마냥 즐거운 어릴적 친구들처럼.

 

나는 그것에 한가지 더 추가한다고 했다.

3) 함께 시대 공부를 한다.

아무리 호모데우스가 되었다해도 공부를 하기로 한 이들은 모두 해맑고 겸손해진다.

 

 

목록 제목 날짜
150 어딘의 글방- 제목의 중요성 2021.02.16
149 자기를 지키는 길은 글쓰기 밖에는 없다 2021.02.14
148 장선생을 보내며 2021.01.07
147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2021.01.01
146 제주 유네스크 잡지에 낸 글 2020.12.30
145 실기가 아니라 관점과 언어 2020.12.30
144 무엇이 우리를 살게 하는가 2020.12.29
143 시원 채록희의 영 어덜트 소설! 2020.12.27
142 글을 고치다가 골병 들겠다- 민들레 글 file 2020.12.20
141 시편 정경일 선생의 글 중 file 2020.12.09
140 영도 지역 문화 도시 지역문화 기록자 과정 file 2020.12.03
139 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 2020.11.30
138 방과후 교사의 자리 2020.11.30
137 기후 변화 산호의 상태로 보는. 2020.11.30
136 초딩 소년들을 위한 영화 2020.11.30
135 오드리 탕 미래 교육 인터뷰 (여시재) 2020.11.18
134 기후 변화 학교 (표선) file 2020.11.16
133 찬미 받으소서 2020.10.13
132 Ready For More Sherlockian Adventures? 2020.10.03
131 광명 자치 대학 개강 특강 file 2020.09.28
130 추석 연후에 보려는 영화 2020.09.28
129 서울시 온종일 돌봄 실태분석과 정책방안 2020.09.26
128 대한민국 살기좋은 나라.... 2020.09.25
127 small schools big picture 2020.09.21
126 2020 하자 창의 서밋에 2020.09.08
125 홀가분의 편지-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2020.09.01
124 DDP 디자인 박물관 기념 강의 발표자료 file 2020.08.15
123 그들이 우리는 먹여 살리고 있다 (농촌 이주 노동자) 2020.08.10
122 <위기 시대, 사회적 돌봄과 공간 변화> (DDP 포럼) 2020.08.10
121 경향 컬럼 여가부 관련 2020.08.09
120 유발 하라리와 오드리 탕의 모험, 비상, 경계를 훌쩍 넘기 2020.07.28
119 confronting gender binary -젠더의 경계 넘기 2020.07.28
118 flashmob, 인간이 신이고자 했던 '근대'를 마무리 하는 몸짓 2020.07.22
117 책 읽어주는 여자 쨍쨍 2020.07.15
116 소년은 어떤 세상을 만나 어떤 어른이 되는가? 2020.07.14
115 미셸 오바마의 <Becoming> 2020.07.14
114 [경향의 눈]‘세대주’라는 낡은 기준 2020.06.04
113 이 시대 생기발랄한 이들 2020.06.02
112 원룸 이웃 - 새로운 공동체의 시작 2020.06.02
111 Bruno Latour도 의견: 생산자체를 전환 2020.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