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
[조한혜정의 마을에서]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을 찾아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연세대 명예교수요즘 암울한 생각을 하지 않는 훈련을 하고 있다. 강의 요청이 와도 잘 움직이지 않게 되는데 최근 광주의 한 교사 모임엔 갔다. 학생들이 선생님을 너무 좋아해 황송할 지경이라며 그 현상에 관해 이야기해보고 싶다는 교사들이 모이는 자리였다. 코로나19 사태로 우울해진 분위기를 바꿔보자고 매일 수업 전에 다 같이 부르기로 한 노래가 ‘걱정 말아요, 그대’였다며 교실 분위기가 너무 가라앉는 것을 걱정하는 선생님을 만난 것은 기쁨이었다. 선생님들과 이야기하다보니 교실 붕괴 후 바닥을 친 교실·학교가 팬데믹을 거치면서 새로운 의식이 움트는 시공간이 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둘러보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아이들도 적지 않다. 우리 동네 ‘소년 캠프’ 구성원인 유비는 최근 <동의보감>을 읽기 시작했다. 초등학교 2학년이지만 중학생 수준의 독서를 하는 아이다. 그는 어릴 때 자주 아프고 약골이었는데 그 힘든 시간을 책과 친하게 지내며 버텨냈다고 한다. 2학년 들어 <삼국지>와 <나니아 연대기>를 읽고 요즘은 어른용 <동의보감>을 읽고 있다고 했다. 학교 친구가 한 명도 없을 것 같아 걱정했더니 걱정하지 말라고 했다. 아프면 자기에게 와보라고 했더니 친구들이 많이 찾아온단다. 최근에는 약초 퀴즈를 내기 시작해서 더 인기가 높아졌다고 한다. 사실 유튜브에 들어가면 이런 ‘영재’들의 활약을 보게 된다. 이런 현상을 보고 있노라면 근대 교육이 바탕을 두고 있는 단계별 성장 같은 것은 과학이 아니라 교리였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근대 국가가 만들어낸 체제에 갇혀 우울해하기보다 우주로 통하는 기운을 느끼며 자신을 살리는 아이들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아이들을 살려주는 학교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이런 질문을 던지다 내 눈길이 멈춘 곳은 대만 교육개혁의 장이다. 2017년 말 대만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구축하면서 인공지능(AI) 시대를 살아갈 세대를 키우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 움직임을 주도하는 인물은 시빅 해커의 이력을 가진 디지털 장관 오드리 탕. 그는 8세 때 소프트웨어 개발을 시작했고 중학교를 중퇴했다. 16세에 프로그래밍 스타트업을 창업했고 이후 애플 등 국내외 정보기술(IT) 기업 자문을 맡아 활약했다. 24세에 성전환해서 남녀의 세계 모두를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다. 2016년 35세에 최연소 장관이 된 탕은 취임 후 사무실을 사회혁신 실험실로 꾸미고 삶의 현장 곳곳을 암행어사처럼 다니며 필요한 개혁을 이루어내는 동시에 정부 보고서 등을 공개하며 ‘열린 정부’ 운동을 시작했다. 탕 장관은 국가는 창의적 시민 없이는 새로운 정책을 세울 수 없는 체제임을 인식하자고 강조한다. 그래서 정부가 할 일은 국민의 집단지성이 세상을 바꾸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실제 엄청난 성공사례로 세계적 주목을 받은 실시간 마스크 공급지도 앱과 마스크 예약제 도입도 탕 장관이 시민의 활동을 연결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디지털 시대를 사는 아이들에게
팬데믹은 새 기회가 될 텐데…
어떤 방향으로 교실을 바꿀까
대만 ‘천재 장관’ 오드리 탕
그의 혁신성에 눈길이 멈춘다
IQ가 180인 탕 장관은 IQ라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한다. IQ라는 것이 패턴을 알아차리는 능력인데 그 일을 컴퓨터에 시키는 아이들은 이미 IQ 180이라는 것이다. 아이들이 배워야 할 것은 데이터를 직접 생산하고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 생산이라며 디지털 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을 위한 교육의 판을 새로 짜는 대만의 아이들은 얼마나 행운인가? 물론 탕 장관이 이런 개혁을 해낼 수 있었던 배경에는 그의 부처에 관료적 규제에 구속되지 않는 예외적 권한을 주기로 한 차이잉원 정부가 있다. 그 정부는 모든 부처에 서른다섯 살 이하의 젊은 멘토를 두어야 한다는 제도를 시행하는 청년 참여 정부이기도 하다. 한편 대만에서 태어난 탕이 미국의 실리콘밸리로 사라져버리지 않고 국민을 위해 일하게 된 배경에는 대만 시민들이 벌여온 끈질긴 성소수자 운동이 있다. ‘펑 탕’에서 ‘오드리 탕’이 된 그는 남자와 여자, 동성애와 이성애, 장애와 비장애, 사람과 AI 간의 엄격한 이분법을 허물고 개체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질서로 이동하는 시대를 몸으로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차별금지법은 지금 어디쯤에서 멈추어 있을까?
탕 장관의 혁신성은 국경을 넘어 쉽게 공유될 성격의 것이다. 그를 중심으로 교육개혁을 위한 아시아 교육혁신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안 될까? 선행학습 입시 연옥에서 벗어나 생기가 가득한 교실, 소년 유비가 교실의 명의가 되어 ‘21세기 동의보감’을 쓰는 날을 상상하며 오늘 하루 좋은 기운으로 보내보려 한다.
목록 | 제목 | 날짜 |
---|---|---|
310 | 책소개 금융자본주의의 폭력 | 2023.02.24 |
309 |
수주 박형규 목사 탈춤 예수전
![]() | 2023.02.11 |
308 | 2월 번개 영화관 <안녕, 소중한 사람> | 2023.02.11 |
307 | 상큼한 컬럼 하나 <상냥함에 물들기> | 2023.02.10 |
306 | 탐라도서관 3월 강의 주제 | 2023.02.01 |
305 |
10세 두명을 위한 인문학 실험 교실
![]() | 2023.02.01 |
304 |
3주간 그린 그림 정리
![]() | 2023.02.01 |
303 | 작심 3일로 끝난 일기, M의 일기로 대체 | 2023.02.01 |
302 | 1월 23일 | 2023.01.24 |
301 | 1월 21 토, 22 일 | 2023.01.24 |
300 | 16일에서 20일 | 2023.01.24 |
299 |
사피엔스 캠프 2- 소년의 성년
![]() | 2023.01.20 |
298 | 한강의 <작별> | 2023.01.19 |
297 | 권력과 사랑에 대하여 -조민아 책에서 | 2023.01.18 |
296 | 코올리나 13에서 15일 | 2023.01.16 |
295 | 코올리나 일지 둘쨋날 | 2023.01.15 |
294 |
글방 전성시대 (어딘 김현아)
![]() | 2023.01.14 |
293 | 또문의 새해, 부지런한 글쓰기 | 2023.01.14 |
292 | 답신 조한 | 2023.01.14 |
291 | 또문 1월 편지 | 2023.01.14 |
290 | Dall-e가 그린 시니어 페미니스트 그림 | 2023.01.14 |
289 | 오랫만에 여행 일지를 쓰다 | 2023.01.13 |
288 |
사피엔스 캠프 1 :마음을 찾아
![]() | 2022.12.22 |
287 |
부산건강 마을센터 성과공유회
![]() | 2022.12.12 |
286 | 문학이라는 사나운 팔자와의 동거 | 2022.12.04 |
285 | 비판적 작가의 재발견- 오웰의 장미 | 2022.12.04 |
284 | 존엄사에 관한 영화- 잘 죽는다는 것 | 2022.12.01 |
283 |
도서관 연합회 길위의 인문학 마무리 특강
![]() | 2022.12.01 |
282 |
부산 마을건강센터
![]() | 2022.11.23 |
281 | 11월 번개 영화관 | 2022.11.19 |
280 |
8년이 지난 세월호 이야기
![]() | 2022.11.18 |
279 | 엄기호 애도는 사회의 크기를 결정한다 | 2022.11.15 |
278 |
춘천 문화도시 기조강의
![]() | 2022.11.14 |
277 | 애도를 추방하려는 사회- 4.16 재난 인문학 심포지움 (8년전) | 2022.11.14 |
276 | 조민아 컬럼 ghost dance | 2022.11.02 |
275 |
AI 시대 문해력 ppt 수정
![]() | 2022.10.04 |
274 |
9월 17일 순자 삼춘 한글 공부
![]() | 2022.09.22 |
273 | 우연성에 몸을 맡기는 것 | 2022.09.22 |
272 | 9/18 아침 단상 <신들과 함께 AI와 함께 만물과 함께> | 2022.09.18 |
271 |
AI 시대 아이들 긴 원고
![]()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