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 컨퍼런스 발표 초록과 ppt
[제3회 경기도 기본소득 국제컨퍼런스]
요 약 문
[특별연설] [Special Speech]
기본소득과 사회적 모성/영성 - 사냥꾼 세상 넘어 제2의 ‘축의 시대’를 열다
Basic Income and Social Caring & Spirituality
- Opening the Second 'Axial Age' After the Hunter’s Age
조(한)혜정 | Haejoang Cho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
Emeritus Professor,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Yonsei University, Korea
기본소득과 사회적 모성/영성 - 사냥꾼 세상 넘어 제2의 ‘축의 시대’를 열다 Basic Income and Social Caring & Spirituality - Opening the Second 'Axial Age' After the Hunter’s Age |
“일하지 않으면 먹지도 말라”는 명제는 근대를 이끌어온 정언이었다. 그런데 인공지능과 자동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일자리’는 사라지고 돈이 돈을 버는 시대가 왔다. 노동의 종말, 월가 파동, 기후 위기, 초미세먼지, 후쿠시마 핵 사고에 이은 팬데믹 사태 앞에서 인류는 지금 패닉 상태에 있다. 기본소득제는 이 난감한 상황을 풀어내려는 해결책이다. 나는 여기서 성평등의 실현 없이는 이 제도가 실현될 수 없음을 이야기하려고 한다. 철학자 칼 야스퍼스는 [역사의 기원과 목표](1949)에서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까지가 인간 문명 진화의 결정적 시간이라면서 이를 ‘축의 시대’라 불렀다. 농경과 목축 시대가 열리고 부의 축적이 가능해지면서 복잡한 정치체제와 신분제, 그리고 영혼불멸의 피라밋을 짓는 등 완벽한 관념 세계를 창조한 이른바 ‘문명의 시대’가 열렸던 것이다. 이 시기는 노예제와 정복 전쟁 등 인민의 고통과 비참이 극에 달한 시기로 이른바 4대 종교가 출현한 시기이기도 하다. 지금은 그 축의 시대를 거쳐 완성된 문명의 마지막 시간이자 새로운 문명의 시작점이다. 그 문명은 ‘남성인간’이 주도한 역사였다. 새 문명의 기틀이 될 기본소득제도는 따라서 ’탈근대적 post-modern‘ ’탈 남성휴먼적 post-male human‘ 과제이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축의 시대’ 이래 진행되어온 물적 축적과 상호 죽임의 시대에 대한 통찰에서 시작한다. ‘폭력’에 기반한 ‘사냥꾼 세계’를 너머 ‘상생‘에 기반한 ’살림의 세계‘를 회복하는 것, “만물은 서로 적대한다”는 상호 적대 원리가 아니라 ”만물은 서로 돕는다“는 상호 부조 원리가 살아있는 사회를 회복하는 일이다. "He who does not work, neither shall he eat," was a canon which moved the modern era forward. However, the em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tomation took ‘work’ away from us. The mankind went through a lot over the recent years such as the end of labor, the climate change and ultrafine dust level in the atmosphere,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and the Covid-19 pandemic in 2019. Now, the whole world is in panic. Under the circumstance the discussion over the basic income is an attempt to find a way to tackle very fundamental and multifaceted challenges facing us. What I want to suggest here is that the system of basic income could be realized only when gender equality is achieved. Karl Jaspers, a philosopher, wrote that the period between the 9th to 3rd century BC was very decisive for the evolution of civilization, calling it the ‘Axial Age’ in his book [The Origin and Goal of History](1949). The heroes during the period were all ‘male humans’ who built immortal pyramids and created the world of perfect idea in itself. Basic income is a ‘post-modern’ and ‘post- human’ project that could break down this nature- exploitative hunter’s civilization. Scrutinize the ‘Axial Age’ will provide insights for the new beginning of post human civilization. That is to recover a world of compassion and caring which has been cultivated by women of nurture in contrast to a world based on hunters’ violence. How to recover a society where principle of reciprocity where ‘all things in the world helps one another’ is challenge for us who want to realize the basic income system. |
목록 | 제목 | 날짜 |
---|---|---|
310 | 책소개 금융자본주의의 폭력 | 2023.02.24 |
309 |
수주 박형규 목사 탈춤 예수전
![]() | 2023.02.11 |
308 | 2월 번개 영화관 <안녕, 소중한 사람> | 2023.02.11 |
307 | 상큼한 컬럼 하나 <상냥함에 물들기> | 2023.02.10 |
306 | 탐라도서관 3월 강의 주제 | 2023.02.01 |
305 |
10세 두명을 위한 인문학 실험 교실
![]() | 2023.02.01 |
304 |
3주간 그린 그림 정리
![]() | 2023.02.01 |
303 | 작심 3일로 끝난 일기, M의 일기로 대체 | 2023.02.01 |
302 | 1월 23일 | 2023.01.24 |
301 | 1월 21 토, 22 일 | 2023.01.24 |
300 | 16일에서 20일 | 2023.01.24 |
299 |
사피엔스 캠프 2- 소년의 성년
![]() | 2023.01.20 |
298 | 한강의 <작별> | 2023.01.19 |
297 | 권력과 사랑에 대하여 -조민아 책에서 | 2023.01.18 |
296 | 코올리나 13에서 15일 | 2023.01.16 |
295 | 코올리나 일지 둘쨋날 | 2023.01.15 |
294 |
글방 전성시대 (어딘 김현아)
![]() | 2023.01.14 |
293 | 또문의 새해, 부지런한 글쓰기 | 2023.01.14 |
292 | 답신 조한 | 2023.01.14 |
291 | 또문 1월 편지 | 2023.01.14 |
290 | Dall-e가 그린 시니어 페미니스트 그림 | 2023.01.14 |
289 | 오랫만에 여행 일지를 쓰다 | 2023.01.13 |
288 |
사피엔스 캠프 1 :마음을 찾아
![]() | 2022.12.22 |
287 |
부산건강 마을센터 성과공유회
![]() | 2022.12.12 |
286 | 문학이라는 사나운 팔자와의 동거 | 2022.12.04 |
285 | 비판적 작가의 재발견- 오웰의 장미 | 2022.12.04 |
284 | 존엄사에 관한 영화- 잘 죽는다는 것 | 2022.12.01 |
283 |
도서관 연합회 길위의 인문학 마무리 특강
![]() | 2022.12.01 |
282 |
부산 마을건강센터
![]() | 2022.11.23 |
281 | 11월 번개 영화관 | 2022.11.19 |
280 |
8년이 지난 세월호 이야기
![]() | 2022.11.18 |
279 | 엄기호 애도는 사회의 크기를 결정한다 | 2022.11.15 |
278 |
춘천 문화도시 기조강의
![]() | 2022.11.14 |
277 | 애도를 추방하려는 사회- 4.16 재난 인문학 심포지움 (8년전) | 2022.11.14 |
276 | 조민아 컬럼 ghost dance | 2022.11.02 |
275 |
AI 시대 문해력 ppt 수정
![]() | 2022.10.04 |
274 |
9월 17일 순자 삼춘 한글 공부
![]() | 2022.09.22 |
273 | 우연성에 몸을 맡기는 것 | 2022.09.22 |
272 | 9/18 아침 단상 <신들과 함께 AI와 함께 만물과 함께> | 2022.09.18 |
271 |
AI 시대 아이들 긴 원고
![]()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