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책소개 금융자본주의의 폭력

haejoang@gmail.com 2023.02.24 10:51 조회수 : 192

금융자본주의의 폭력

 
부채위기를 넘어 공통으로
The Violence of Financial Capitalism

크리스티안 마라찌 지음
심성보 옮김


2013년 인디고서원 5월의 추천도서


*현재 흠난책은 없습니다.
*새 책 구입은 온/오프라인 서점을 이용해주세요.
금융화는 전체 자본이 생산한 이윤에서 단순히 금융의 몫이 증가한다는 뜻이 아니라, 금융 자체가 가치를 생산한다는 개념이다. 금융화된 사회에서는, 자동차 구입 시 보험상품 가입은 필수이며 일상에서의 카드사용이 일반화되었듯이, 경제 자체가 금융 기법과 분리할 수 없을 정도로 얽혀 있다. 또한 금융화는, 복지 같은 공적 투자가 약해져 사채 시장이 활성화됨으로써, 금융의 핵심인 부채가 지배적인 사회 원리가 되는 현상을 포착한다. 이러한 부채경제로 인해 우리 모두는 신용 상태에 따라 분류된 삶을 살아가며, 점차 ‘신용불량자’와 빈민(‘푸어’)이 되어 간다.

 

 

금융화된 생명자본주의에 맞서 공통적 삶을 창안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

 

드디어, 전지구적 경제 위기의 새로운 해석이 도착했다. 

이 책은 아카데미의 고루한 교리와 단호히 결별하고 새로운 경제적, 정치적 사유를 주장하고 있다. — 안또니오 네그리(『제국』 저자) 

 

정치적으로 부채 경제는 금융자본주의라 불리는 것이 더 올바른 표현일 것이다. — 마우리치오 라자라토(『부채인간』 저자)

 

 

마라찌에 따르면, 개인 부채와 금융시장 경영은 사실은 비물질노동, 일반지성, 사회적 협력의 변형을 통치하는 기법이다. 금융위기는 경제와 정치의 일방적, 다각적 헤게모니라는 개념을 근본적으로 침식한다. 이로 인해 전 세계 곳곳에서 새로운 지리통화적 질서가 모색되고 있다. 마라찌는 이러한 시도들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자본주의의 폭력』은 무엇보다 자본주의의 최신 판본에 맞서려는 포스트 맑스주의자들을 안내하면서 세계 경제의 현 단계를 급진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금융자본주의의 폭력』은 포스트 포드주의적 통념을 비판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간략한 소개

 

『금융자본주의의 폭력』은 저명한 유럽의 자율주의 경제학자이자 안또니오 네그리, 빠올로 비르노, 프랑코 베라르디[비포] 등과 함께 자율주의 핵심 사상가 중 한 명인 크리스티안 마라찌(Christian Marazzi 1951~ )의 최근작이다.  마라찌는 금융자본과 그 논리가 지배하는 오늘날의 경제에서 전지구적으로 끊임없이 반복되는 위기를 포스트 포드주의와 생명자본주의, 금융자본주의 맥락에서 다루고 있다. 자본주의는 위기를 기화로 자신과 노동을 가치절하함으로써 그 폭력성을 드러낸다. 오늘날 생명자본주의는 단순한 노동이 아니라 인간의 전체 생명력을 철저하게 파괴한다. 나아가 금융화된 자본주의는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인간의 삶까지도 자본의 폭력 아래에서 저당 잡는다. 우리는 워킹푸어 아니면 하우스푸어이고 대학을 졸업하기도 전에 빚쟁이로 전락한다. 저자는 이러한 ‘부채인간’이 예외적 현상이 아니라 이 시대의 보편적 형태임을 밝힌다. 그리고 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적 부채를 통한 성장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를 위한 공적 투자를 통해 공통적인 것을 창조하고 회복하여 인간의 행복을 생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를 가능하게 하는 초석은 아래로부터의 투쟁과 연대일 것이다. 마라찌는 이 책을 통해 평범한 사람들이 오늘날 자본주의 형태를 보다 잘 이해하길 바라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위기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상세한 소개

 

하우스푸어, 워킹푸어, 등록금푸어를 생산하는 전지구화된 부채위기의 시대

2013년 초입에 미국의 오바마 행정부는 엄청난 재정적자, ‘재정절벽’에 대비한 증세 법안을 공화당과의 난타 끝에 타결했다. 또한 유럽 각국은 유럽의 국채 위기가 끝났다고 발표했지만, 3월 키프로스에서 다시 위기는 재발했고 심지어 이탈리아는 긴축법안을 거부하는 여론을 틈타 부패한 베를루스코니가 복귀를 노리고 있다. 아베 총리가 집권한 일본은 강력한 엔저 정책을 펼쳐 경쟁국, 특히 한국의 수출 제조업에 타격을 가하고 있다. 미국의 헤게모니가 쇠퇴하고 유럽과 일본은 노쇠했지만, 여전히 중국은 미국의 경제를 뒷받침할 뿐이어서 중국이 새로운 경제 질서를 구축할지는 모호하다. 이처럼 2008년 미국의 주택담보대출 부실에서 출발한 금융위기는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며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 전지구화된 정치경제 속에서 하나의 위기와 한 지역의 위기가 끝나면 또 다른 곳에서 위기가 꼬리를 물고 발생하고 있다. 모든 곳을 금융과 그 위기가 지배하고 있다. 

한국 사회는 어떤가. 1997년 IMF 위기 이후 한국 사회의 명예퇴직, 실업자가 급증하였다. 주식열풍과 벤처열풍이 불었지만 이내 사그라졌다. 신용카드 발급이 급증하더니 카드대란이 발생했고 평범한 사람들은 카드빚을 돌려막다 이른바 신용불량자가 되었다. 신용불량자들은 점차 사채 시장으로 몰렸다. 펀드투자와 변액보험, 주식투자가 국민 아이템이 되었으며, 상조보험 상품도 발전했다. 한편 사람들은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아파트를 사기 시작했다. 몇 년 만에 집값은 몇 배로 뛰었고, 이에 발맞춰 주택담보대출은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사람들은 빚을 내서라도 일단 집을 사고 봤다. 정부가 추진하는 ‘뉴타운’이라는 멋들어진 이름은 부동산 투기를 공익사업으로 만들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전세대란이 일어났고, 부동산 개발로 인해 결국 용산 남일당의 5명의 주민들과 1명의 경찰이 불길과 함께 사망했다. 그럼에도 남일당 길 건너에는 단군 이래 최대 사업이라는 용산역세권 개발이 진행 중이었다. 

이때 2008년 미국에서 금융위기가 터져버리자 모든 시계는 거꾸로 돌기 시작했다. 남일당의 사라진 땅은 여전히 텅 비어있고 단군 이래 최대 사업은 부도를 맞았다. 이제는 ‘하우스푸어’와 ‘렌트푸어’, ‘깡통주택’이라는 말이 유행했고 전세대란을 넘어 월세시대로 접어들었다. 최근에 주택담보대출연체율은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열 명 가운데 여덟이 대학을 가는 시대에 등록금은 중산층마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올랐고 등록금 대출은 필수인 시대가 되었다.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삼포세대’는 ‘등록금푸어’에서 ‘워킹푸어’로, 기껏해야 ‘렌트푸어’나 ‘하우스푸어’로 이어지는 미래 없는 ‘아픈’ 청년이 되어버렸다. 아마도 이들 대부분은 평생 동안 부채를 지고 살아가야 할지도 모른다.

 

부채위기, 금융자본주의의 뿌리 ― 생명자본, 금융화 

『금융자본주의의 폭력』은 최근에 유행하고 있는 용어들인 ‘하우스푸어’, ‘렌트푸어’, ‘삼포세대’에 관한 진단이며, 조금 더 거슬러 가면 외환위기, 벤처거품, 카드대란, 신용불량자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준다. 그리고 이 책은 너도나도 올라탄 투기 열풍을 조장한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그것이 만들어낸 ‘부채인간’이라는 새로운 인간군상을 묘사한다. 금융이 주도하는 경제 속에서, 우리는 평생을 저당 잡힌 채 ‘도덕적 해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살아가야만 한다.  

하지만 『금융자본주의의 폭력』은 단순한 현실 나열에 그치지 않고 그 뿌리를 추적한다. 우리가 빈민(‘푸어’)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까닭은 우리 스스로가 불안정한 노동자이자 소비자이기 때문이고, 지그문트 바우만에 따르자면, 생산적인 노동자-소비자에도 끼지 못하는 비참한 자이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 책은 이런 현실이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게 아니라 1970년대 이후 자본주의가 계속 변신한 결과임을 보여준다. 대량생산(자)과 대중소비(자), 임금인상과 고용안정, 관대한 보편적 복지에 기초했던 포드주의 혹은 케인스주의는 노동과 자본의 유연화를 내세운 포스트 포드주의로 이행했다. 또한 이 과정은 사회복지 체제를 해체하고, 민영화와 자본의 전지구화를 강화함으로써 대공황 이후 잃어버린 금융 자본의 입지를 만회하였다. 이 책은 이러한 신자유주의화 과정, 그리고 신자유주의가 위기를 전지구화한 과정을 금융화와 생명자본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한다. 

생명자본은 자본주의 하에서 이윤을 생산하는 ‘노동(력)’을 ‘생명(력)’으로 바꿔 쓴 표현으로, 포스트 포드주의 시대에 생명은 이윤의 지배적 원천이 되었음을 포착한다. 생명이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공통된 자질로, 아주 기초적인 생리학적 특성부터 상징, 관념, 감정, 언어 등 인간의 추상적인 요소와, 자연생태계까지 포괄하는 용어이다. 이제 자본은 공장이나 사무실에서 노동자가 수행하는 물리적 노동뿐만 아니라 감정과 상징까지 흡수하며, 나아가 일상생활 곳곳에서 인간 활동을 추적하여 식민화한다. ‘셀프서비스’는 소비자를 생산자로 만들며, 온라인 쇼핑몰에 남겨진 소비자의 구매정보는 어느새 분류되어 생산과정에 통합되어 버린다. 이것이 오늘날 생명자본의 모습이다. 

금융화는 전체 자본이 생산한 이윤에서 단순히 금융의 몫이 증가한다는 뜻이 아니라, 금융 자체가 가치를 생산한다는 개념이다. 금융화된 사회에서는, 자동차 구입 시 보험상품 가입은 필수이며 일상에서의 카드사용이 일반화되었듯이, 경제 자체가 금융 기법과 분리할 수 없을 정도로 얽혀 있다. 또한 금융화는, 복지 같은 공적 투자가 약해져 사채 시장이 활성화됨으로써, 금융의 핵심인 부채가 지배적인 사회 원리가 되는 현상을 포착한다. 이러한 부채경제로 인해 우리 모두는 신용 상태에 따라 분류된 삶을 살아가며, 점차 ‘신용불량자’와 빈민(‘푸어’)이 되어 간다.

 

다중은 '공통의 부'의 생산자이다!

『금융자본주의의 폭력』은 이런 현실을 전복하는 반대의 논리와, ‘투기 피라미드’에 올라탄 사람들에게 통찰을 제시한다. 금융자본주의 하에서 다중들의 부채가 자본에 포섭되어,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거대 재벌기업과 금융기업의 수익을 보장해주며, 전세계의 1% 부호들의 지갑을 부풀리고 있다. 이 부채로 인해 생긴 수익을 통해 자본과 국가가 위기에 빠진 기업들과 부자들에게 공적 구제라는 명목으로 자금을 지원해준다. 그렇다면 다중들은 ‘채무자’일 뿐만 아니라 이 시대 ‘공통의 부’의 생산자이다. 

마라찌는 인간이 인간의 행복을 만든다는 관점에서, 인류 보편적인 공동사회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아래로부터의 투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투쟁을 통해, 사회적 투자는 자본가가 아니라 인류 공동체 전체가 전유할 수 있는 인간 개발에 우선적으로 기여해야 한다. 마라찌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임금 삭감에 저항해야 한다. 공공 서비스의 축소에 반대해야 한다. 금융자본이 전유하는 부를 재분배해야 한다. 경제성장을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전환해야 한다. 유럽의 구제는 신자유주의적 유럽이 파괴될 때 비로소 가능해질 것이다.” 

 

 

지은이

 

크리스티안 마라찌 Christian Marazzi, 1951~

 

스위스 남부 루가노 출생. 독립적인 좌파 경제학자이자 열정적인 활동가로서, 1970년대 이후 이탈리아 노동자주의 운동에 참여해 왔으며 안또니오 네그리, 빠올로 비르노, 프랑코 베라르디[비포] 등과 함께 자율주의 핵심 사상가 중 한 명이다. 이탈리아 빠도바 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런던정경 대학에서 미국경제사로 석사를 마쳤으며, 런던시티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에서 화폐와 경제의 불균형 문제를 통해 정치경제학을 재검토했으며, 이후 포스트 포드주의 전환을 생명자본주의, 인지자본주의와 연결하고 가치의 실현과 화폐의 문제를 금융화 현상으로 확장하는 데 주력했다. 빠도바, 뉴욕, 로잔, 제네바 등지에 위치한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스비쩨라이딸리아나 대학(SUPSI) 경영사회과학부장을 맡고 있다. 이론적 영역뿐만 아니라 지역의 경제와 여성위원회 등 현실 문제에 참여하고 있다. 영어권에 소개된 저서로 『자본과 언어』(Capital and Language, 2008), 『자본과 정동』(Capital and Affect, 2011), 『금융자본주의의 폭력』(The Violence of Financial Capitalism, 2011) 등이 있고, 이탈리아 자율주의 문헌을 영어권에 소개한 『아우또미아』(Autonomia: Post -Political Politics, 2007)를 편집했다.

 

 

옮긴이

 

심성보 Sim Sung Bo, 1976~

 

문화연구 시월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독립적으로 연구와 번역을 병행하고 있다. 주된 관심사는 노동자 문화와 문화연구에 있으며, 특히 노동자들의 작업장 생활과 일상생활, 정체성과 역사, 운동과 재현, 공간과 정치 등에 관심이 많다. 최근에는 안산 지역 노동자 운동과 공간 변화, 1960년대 이후 이주 간호사를 연구했다. 이론적 측면에서 문화연구와 주체성 문제에 탐구하고 있으며 푸코의 후기 통치성 연구를 소개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공저로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의 문화정치를 연구한 『사라진 정치의 장소들』이 있으며, 또한 「안산 노동운동의 형성과 전개」, 「노동자 미디어는 ‘새로운 정치’의 장소가 될 수 있는가?」 등의 논문을 썼다. 옮긴 책으로 토마스 렘케의 『생명정치란 무엇인가?』(그린비, 근간), 그래엄 터너 『셀러브리티의 이해』(이매진, 근간) 등이 있다.

 

 

책 속에서

 

이번 위기는 일련의 위기 가운데 있는 위기이다. 다시 말해, 오랫동안 지속되어왔고 십중팔구 앞으로도 지속될 위기이다. [2010년] 4월 2일 런던에서 개최된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에서 알 수 있듯이 이번 위기는 폭력적인 위기, 정확히는 폭력적인 금융의 위기이다. ―  「들어가며 : 폭력적인 금융」

 

우리는 적어도 당분간은 누구도 확실한 처방을 내릴 수 없는 체제적 위기, “근본적 변화”를 요구하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통화정책은 경기가 후퇴할 때 경제 촉진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지만, 오늘날 우리가 경험하고 있듯이 경제가 공황적 위기로 접어들면 전혀 쓸모없다. ―  「1장 위기의 탄생」

 

결국 금융자본주의는 전지구적 수준에서 자신을 확대재생산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단언할 수 있다. 오늘날 사회국가(social state)의 재분배 기능은 축소됨과 동시에 케인스주의식 적자 지출의 민영화를 통해 강화된다. 다시 말해, 추가 수요는 (개별 가계에 부를 차등적으로 이전하는) 민간 부채를 통해 창출된다. ―  「2장 금융의 논리」

 

금융화는 잉여가치와 집단저축의 성장에서 벗어난 비생산적/기생적 일탈이 아니라, 새로운 가치 생산 과정에 부합하는 자본축적의 형태이다. 그러므로 현재의 금융위기는 자본축적 없는 과정이 내파한 결과가 아니라 자본축적의 장애로 해석되어야 한다. ―  「3장 이윤의 지대되기」

 

위기의 폭력성은 이러한 자본의 파괴에 존재하는 것이다. 게다가 생명자본주의에 이르면, 자본의 파괴는 인간 존재의 총체, 인간의 감정(emotion)과 느낌(feeling), 정동(affect)까지, 다시 말해 자본이 가용하는 모든 “자원”을 타격한다. ―  「4장 전지구적 통치의 위기」

 

위기의 자본주의 “내부에서 이와 대결하는” 투쟁은 그 방식과 목표에 있어서 국지적인 동시에 전지구적이다. 이러한 투쟁의 목표는 명확하다. 아래로부터 집합적으로, 시장과 금융시스템을 통제하는 새로운 규칙을 부과해야 한다. ― 「6장 나오며」

 

복지국가는 적자 지출을 통해 추가 수요를 창출하는 장치였죠. 다음으로 이와 동시에, 이 복지 메커니즘을 민간 부채를 통해 민영화했습니다. 모든 가계, 모든 사람은 부채를 통해 추가 수요를 창출하는 센터가 되었죠. 이처럼 점증하는 민간 부채를 통해 잉여가치는 화폐로 전환될 수 있었고, 이 덕분에 이윤이 실현될 수 있었습니다. ― 「부록 : 부채와 정동, 그리고 자기 재생산하는 운동」

 

 

목차

 

감사의 글  8

 

들어가며 : 폭력적인 금융  10

 

1장 위기의 탄생  14

 

2장 금융의 논리  34

 

3장 이윤의 지대되기  59

 

4장 전지구적 통치의 위기  87

 

5장 지리통화적 시나리오  109

 

6장 나오며  127

 

부록

      유럽을 파괴하는 신자유주의  157

      노쇠하는 자본주의? 전지구적 협치라는 키메라  161

      부채의 국가, 죄책감의 윤리  171

      부채와 정동, 그리고 자기 재생산하는 운동  188

      위기 관련 용어 해설  207

 

옮긴이 후기  239

크리스티안 마라찌의 저작 목록  247

찾아보기  250

 

 

책 정보

 

2013.4.14 출간 l 127×188mm, 양장제본 l 아우또노미아총서41, Potentia

정가 17,000원 | 쪽수 252쪽 | ISBN 9788961950657

 

 

구입처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  인터파크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미디어 기사

 

[대구신문] 개인부채 100조 시대…새 패러다임 제시

[서울신문] 책꽂이 / 금융자본주의의 폭력

[참세상] 부채를 권리로, 금융 논리를 새롭게 전유하기

[문화빵] 금융자본주의의 폭력에 맞서 자본의 사회화로

목록 제목 날짜
358 플라톤 아카데미 발표 개요 1.1 2023.08.15
357 임마뉴엘 레비나스 2023.08.14
356 게으를 수 있는 권리 -다시 읽게 되는 2023.08.10
355 게으를 권리 2023.08.10
354 휴먼 카인드 2023.08.09
353 차 세대 키울 준비가 된 WUZHEN Internet Conference 2023.08.07
352 Kenny Wayne Shepherd band 2023.08.06
351 멤모스 레이크 27회 숲 속 록 앤 불르스 2023.08.06
350 와스프 지배의 공고화? <위어드> 출간 소식을 접하고 2023.08.06
349 모니카가 뚝딱 만든 캠프 포스터 file 2023.08.04
348 프린스턴 대학생 인턴십 file 2023.08.04
347 산 오르기 보다 peddling board file 2023.08.02
346 마을 음악회 file 2023.08.02
345 마을 셔틀 버스 file 2023.08.02
344 나는 매일 웃는 연습을 합니다. 2023.08.02
343 고통의 시학 2023.08.02
342 호수는 그 자리에 그대로 file 2023.08.02
341 기후 책 2023.08.02
340 기내 영화관 4편 2023.07.30
339 아이의 고통체-톨레 2023.07.30
338 친절함, 호혜의 세계를 넓히려면 2023.07.30
337 브런치 북 출판 프로젝트를 보며 2023.07.30
336 국가 민족 인종의 고통체 2023.07.30
335 여성의 집단적인 고통체 -톨레 204-207 2023.07.30
334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톨레 2023.07.30
333 올 여름도 멤모스 호수 file 2023.07.27
332 사랑하는 당신에게 (영화)- 상실과 애도에 관한 이야기 2023.07.27
331 <안심 협동조합 10년의 수다> 추천의 글 2023.07.14
330 조민아 <일상과 신비> 저자와의 대화 2023.07.12
329 박노해 시, 오늘 살아갈/죽어갈 자리 2023.07.06
328 나의 페미니즘, 창조적 공동체를 살다/살리 2023.05.24
327 세포들에게 감사 2023.05.22
326 별꼴 소년들과 함께 할 영화 인문학 2023.05.13
325 페미니즘 고전 읽기 2023.04.30
324 "챗GPT 사전에 ‘모른다’는 없다" (중앙일보 04292023) 2023.04.30
323 우리 동네 중딩과 함께 놀고 배우고 2023.04.22
322 황윤 감독의 신작 <수라> 관객이 만드는 시사회 2023.04.22
321 중딩 모임 이름은 <바람이 불어오는 곳> 2023.04.22
320 무문관을 지나며 -강신주 강의 2023.03.31
319 어린이 선흘 마을 예술 학교 4/17-5/3 월수금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