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와스프 지배의 공고화? <위어드> 출간 소식을 접하고

haejoang@gmail.com 2023.08.06 04:42 조회수 : 254

WASP  미국의 앵글로ㆍ색슨계 백인 프로테스탄트를 지칭하는 단어.

다문화 운동이 일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에는 성찰적이지 못한 백인들을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되어왔다.

여기에 근대사를 이끌어간 주역이 남성이었으므로 male이 마지막에 들어가기도 한다. 

최근 사회생물진화론자인 조지프 헨릭이 WEIRD 라는 제목의 책으로 이 집단을 다시 부각시키고 있다.

유럽 근대 문명의 출현을 분석하면서 그들이 독자적 문화를 형성한 진화과정을 살펴보고 있는 책이다. 

1884년에 출간된 엥겔스의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1905년에 출간된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부터

1970년대 영국 캠브릿지 대 인류학자 알렌 맥퍼런의 <영국 개인주의의 기원>을 비롯한 진화론적, 역사적 논의들,

그리고 아날 학파의 역사 계보학적 연구 등에서 다루어온 주제들을 좀 더 거시적 진화와 생물학적 진화를 포함한 논의로 정리한 것인데 

남성 중심성과 몰역사성의 한계를 고스란히 안은 채 잡다한 이야기로 흘러간 것 아닌가 싶다. 

 

그간 와스프, 곧 유럽 백인 엘리트들과 그 이후 미국으로 이주한 와스프들은 

브레이크 없이 달리는 현대 문명, 곧  도구적 합리성에 지나치게 의존함으로

삶의 영역, 소통과 돌봄의 영역을 지워버리고 과학기술주의가 지배하는 사회를 만든 주역들이다.

현재 모든 것을 숫자화 하고 논리적이고  체계적이어야 직성이 풀리는 엘리트들

AI 시대를 주도하는 테크노크랫 TECHNOCRAT 계급이라 할 수 있다.

일선에 있지 않더라도 주식을 하면서 나름 편하게 살아가는 지금 시대의 리더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런 이들을 하나의 단어로 흥미로운 단어로 묶어낸 것을 나는 높이 사고 싶다.

그러나 이 들이 인류사에서 차지하는 의미에 대해서 이  책은 함구한다. 

역사의 방향성에 대한 가치 판단을 유보/간과한 채 방대한 지식을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엮어낸 몰역사성이 나를 불편하게 만든다.

책 광고에서  이 책을 유발 하라리나 제래미 다이아몬드의 책과 견주는 것이 불편한 이유이다.  

최근에 불거진 <이기적 유전자> 읽기 붐과 이른바  '벽돌 책' 현상에 대해 불편하던 차에

이 책을 보니 더욱 마음이 불편해졌다. 

   

그래서 다음에 이 책 홍보에 앞장 선 최재천 교수를 만나면 물어볼 생각이다.

인류의 진화에 대해 좀 더 체계적인 작업을 본격적으로 해보실 생각은 없으시냐고.

나는 최재천 선생님의 놀라운 탐구력과 부지런함, 그리고 대중친화적 '헐렁함'을 아주 좋아하지만

진화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의 제자로 회귀하는 듯한 이 행보는, 글쎄다.

나는 그가 윌슨 보다는 제인 구달의 제자로 남기를 바라고 있다.

때마침 한국 독자들이 거시 진화적 논의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 터라 

인류가 거친 사회 진화를  제대로 이해하는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좋겠다. 

 

 

 

위어드 : 인류의 역사와 뇌 구조까지 바꿔놓은 문화적 진화의 힘 


조지프 헨릭 지음 2020 /한국판 2022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14864015

 

최재천 교수 특별 추천사 수록!

조슈아 그린, 캐스 선스타인, 프랜시스 후쿠야마 강력 추천!

“서구 사회의 독특한 심리, 문화, 제도는 어떻게 세상의 주류가 되었을까?”


서구의(Western), 교육 수준이 높고(Educated), 산업화된(Industrialized), 부유하고(Rich), 민주적인(Democratic) 사람들. 세상은 이들을 ‘WEIRD(위어드)’라고 부른다. 오늘날 국제 사회의 주류라고 여겨지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가진 이 집단은 역사 속에서 등장한 세계의 많은 지역, 그리고 지금까지 살았던 대다수 사람과 달리 대단히 개인주의적이고, 자기에 집착하고, 통제 지향적이며, 남들 하는 대로 따라 하지 않고, 분석적인 동시에 낯선 사람을 신뢰한다. 이들은 관계와 사회적 역할보다 자기 자신, 즉 자신의 특성과 성취, 열망 등에 초점을 맞춘다. 과연 이 집단은 어떻게 이렇게 독특한 심리를 갖게 된 걸까? 또 이런 심리적 차이는 지난 몇 세기에 걸친 산업혁명과 유럽의 전 지구적 팽창에서 어떤 역할을 했을까?

『위어드』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다루며 인류학과 심리학, 경제학과 진화생물학의 첨단 연구를 하나로 엮는다. 가족 구조, 결혼, 종교의 기원과 진화를 탐구한 끝에, 저자는 이 제도들이 인간이 생각하고, 느끼고, 세계를 지각하는 방식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담아냈다. 또한 일부일처 핵가족의 기원을 고대 후기까지 추적하며 로마가톨릭교회가 가장 기본적인 인간 제도(결혼과 친족 제도)를 변형시킴으로써 어떻게 의도치 않게 사람들의 심리를 변화시키고 서구 문명의 궤적을 이동시켰는지를 보여준다.

광대한 범위에 걸쳐 놀랍도록 세부적인 사실을 파고든다는 점에서 도발적이고 매력적인 이 책은 문화와 제도와 심리가 어떻게 서로를 모양 짓는지를 탐구하고, 이런 사실이 우리 인간의 가장 개인적인 자아 인식과 인류 역사를 움직이는 대규모 사회·정치·경제적 힘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설명하는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목록 제목 날짜
470 The Story of A Colonial Subject Who Remembers Through the Body 2025.05.08
469 언세대 문과대 110주년에 2025.05.01
468 공생적 상상력을 키우기-작아 인터뷰 글 2025.04.30
467 < 마르셀 모스의 『선물론』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2025.03.27
466 스마트폰 소송을 검토하다 2025.03.27
465 트럼프가 부정한 성별, 자연은 답을 알고 있다 2025.03.10
464 그들은 어떻게 세상의 중심이 되었는가? 2025.03.07
463 내편, 네편은 없다···‘거래’만 있을 뿐 2025.03.06
462 흑표범, 알 수 없는 것을 포용하게 해주세요 2025.03.02
461 _클레어 키건, 『이처럼 사소한 것들- 묵상 2025.03.02
460 책 사람과 북극 곰을 잇다- 지구의 날 기도문 2025.03.02
459 citizen, rebel, change agent & reformer 2025.02.15
458 하자 곁불 2025.02.04
457 yin MENT 인터뷰 질문 2025.02.04
456 지구와 사람 라투르 찬미 받으소서 2025.01.19
455 유물론에서 끌어낸 낯선 신학 2025.01.19
454 ‘죽은 물질 되살리는’ 신유물론 고명섭기자 2025.01.19
453 라투르 존재양식의 탐구 - 근대인의 인류학 2025.01.19
452 할망 미술관, 희망은 변방에서, 엄기호 2025.01.19
451 손희정- 그래서 시시했다/너무 고상한 죽음? room next door 2025.01.12
450 AI가 인간에게 보내는 편지 - 얼르는 버전 2025.01.12
449 AI가 인간에게 보내는 편지 2025.01.12
448 인간의 두려움 달래는 시 + 인간인척 하는 AI 2025.01.12
447 male frame female pictures 2025.01.05
446 감기 2024.12.30
445 걱정 드로잉과 재난 유토피아 file 2024.12.30
444 긴박했던 6시간, 내가 총구 앞에 2024.12.23
443 여가부 폐지에 맞서 싸우는 한국 여성들 2024.12.23
442 bbc 뉴스 상식적 사회면 좋겠다 2024.12.23
441 탄핵 투표 가장 먼저 국힘 김예지 2024.12.23
440 '탄핵안이 통과된 순간' 시민들의 반응은? 2024.12.23
439 BBC가 2024년 가장 눈길을 끈 12장의 이미지 2024.12.23
438 수력 문명, 그리고 플라넷 아쿠아 (리프킨) 2024.11.25
437 4. 3 영화제 2024.11.25
436 도덕적 우월감은 독약 (강준만) 2024.11.25
435 시 하나, 주문 하나 2024.11.25
434 돌봄이 이끄는 자리 추천의 글 2024.11.20
433 평창 예술마을 컨퍼런스 발표문 file 2024.11.16
432 오지랍의 정치학 2024.11.16
431 강원네트워크 2024.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