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를 지키는 길은 글쓰기 밖에는 없다
글쓰기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정신승리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
허무해지지 않으려면 글을 쓰라는 김초희의 글을 메모해두었다.
지금 시대 자기를 기키는 길은 명상,
아니면/ 그리고 환대의 장소에서 사는 것이다.
명상은 홀로 하는 것,
고양된 나를 만나는 것.
글 쓰기도 기본적으로 명상이다.
동시에 좋은 글 쓰기는 환대의 장소를 만드는 것과 통해 있다.
글쓰기 붐이 일고 있다.
일간 이슬아의 글부터 그의 글방 선생 어딘의 글까지
세상을 구하는 이들의 에너지를 느끼게 하는 동네다.
목록 | 제목 | 날짜 | 조회수 |
---|---|---|---|
12 | 봉감독, 열정어린 청년기를 보낸다는 것 | 2019.06.05 | 473 |
11 | 아이들에 의한 아이들의 욕 연구소 | 2019.05.30 | 252 |
10 | 또 한번의 인터뷰 (청와대 사건) | 2019.05.27 | 212 |
9 |
이코노미스트 기자의 인터뷰 (꼰대)
![]() | 2019.05.27 | 562 |
8 | 최승호 시인의 <말놀이 동시집> | 2019.05.27 | 373 |
7 | 아이들의 욕 | 2019.05.27 | 417 |
6 | 장자의 시 | 2019.05.27 | 274 |
5 | <멸종 저항> 단어가 주는 힘 | 2019.05.18 | 318 |
4 |
자유 평화의 생일
![]() | 2019.05.15 | 257 |
3 |
fragility 연약함에 대해
![]() | 2019.05.07 | 821 |
2 | 하자야 고마워! | 2019.05.07 | 396 |
1 | 어린이날의 다짐 | 2019.05.05 | 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