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별꼴 소년들과 함께 할 영화 인문학

haejoang@gmail.com 2023.05.13 21:03 조회수 : 106

별꼴 학교 토론을 위한 메모

-512<캡틴 판타스틱> 보고 토론

 

 

2016드라마/코미디 드라마 1시간 59. 15

맷 로스 감독은 부모들이 아이들을 위해 어떤 선택을 하는가에 대한 탐구이자 남들과 다른 삶은 '미친 일일까? 훌륭한 선택일까?'에 대한 탐구 작업의 산물이라 함.

 

 

미국 배경: 미국이라는 나라의 특성: 모든 것이 로부터 시작, 첨단 자본주의, 부부 중심 핵가족, 연애지상주의, 강한 가족주의, 개인의 자유 vs 사회적 자유, 총기 소유가 합법화된 국가, 내가 시작이자 끝, 대안학교와 차터 스쿨, 기독교계 홈스쿨링 전통: 기존 학교 안 보내고 자기들이 키운다. (버스 안에서 경찰에게 극단적 맹신자처럼 행동한 이유)

 

 

당시 배경: 미국 1960, 70년대, 히피, anti-establishment, 반전, 평화운동, 반 체제 운동,

flower children (California Dreaming), feminism, 반자본주의, 유럽의 68 혁명

#관련해서 포레스트 검프,

 

 

장면들: , 보 장남, 렐리안 차남, 네 딸들의 로드 무비 (미스 리틀 선샤인)

성인식 장면: 용맹하기, 생존능력 (동물을 죽이는 능력)- 암벽 등반, 프랭크,

반자본주의 : 가능한 한 자급자족, 불량식품 안 먹기, 슈퍼 털기 쇼

참교육 : 지덕체를 겸비한 인간. 자생 가능한 인간, 자기 주도, 협동

필요한 지식 : 철학, 인문학, 예술/악기와 합주, 도덕, 자기 방어, 음악

정치적 식견 : 좌파적 입장, 모택동, 노암 촘스키,

첨단 과학에 대한 식견 : 우주의 구조

죽기 전에 곡 읽어야 할 고전 1001 ; 까마라조프의 형제들, 롤리타, bill of rights,

모든 명문대에서 원하는 인재인 청년 장남 보

그 가족이 보이는 아집, 소수 집단의 위치에서의 방어, 공격술

 

 

왜 좋은 영화? 무엇을 느끼고 무엇을 배웠나?

미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기 좋은 영화

대안 교육과 변화에 대해 이해하기 좋은 영화

개인과 집단의 관계, 문화 변동에 대해 이야기 하기 좋은 영화

익힐 기본 개념들: mainstream culture vs subculture, revitalization movement, 대안학교와 홈스쿨링, 기득권 establishment 제도권 보수 vs 반체제, 변혁, 주류 vs 비주류, 개인과 집단, 획일성의 복제 vs 다양성의 조직화

 

 

 

 

목록 제목 날짜
362 9/3 금강스님과 참선 시간 2023.09.10
361 플라톤 아카데미 발표 개요 1.1 2023.08.15
360 임마뉴엘 레비나스 2023.08.14
359 게으를 수 있는 권리 -다시 읽게 되는 2023.08.10
358 게으를 권리 2023.08.10
357 휴먼 카인드 2023.08.09
356 차 세대 키울 준비가 된 WUZHEN Internet Conference 2023.08.07
355 Kenny Wayne Shepherd band 2023.08.06
354 멤모스 레이크 27회 숲 속 록 앤 불르스 2023.08.06
353 와스프 지배의 공고화? <위어드> 출간 소식을 접하고 2023.08.06
352 모니카가 뚝딱 만든 캠프 포스터 file 2023.08.04
351 프린스턴 대학생 인턴십 file 2023.08.04
350 산 오르기 보다 peddling board file 2023.08.02
349 마을 음악회 file 2023.08.02
348 마을 셔틀 버스 file 2023.08.02
347 나는 매일 웃는 연습을 합니다. 2023.08.02
346 고통의 시학 2023.08.02
345 호수는 그 자리에 그대로 file 2023.08.02
344 기후 책 2023.08.02
343 기내 영화관 4편 2023.07.30
342 아이의 고통체-톨레 2023.07.30
341 친절함, 호혜의 세계를 넓히려면 2023.07.30
340 브런치 북 출판 프로젝트를 보며 2023.07.30
339 국가 민족 인종의 고통체 2023.07.30
338 여성의 집단적인 고통체 -톨레 204-207 2023.07.30
337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톨레 2023.07.30
336 올 여름도 멤모스 호수 file 2023.07.27
335 사랑하는 당신에게 (영화)- 상실과 애도에 관한 이야기 2023.07.27
334 <안심 협동조합 10년의 수다> 추천의 글 2023.07.14
333 조민아 <일상과 신비> 저자와의 대화 2023.07.12
332 박노해 시, 오늘 살아갈/죽어갈 자리 2023.07.06
331 나의 페미니즘, 창조적 공동체를 살다/살리 2023.05.24
330 세포들에게 감사 2023.05.22
» 별꼴 소년들과 함께 할 영화 인문학 2023.05.13
328 페미니즘 고전 읽기 2023.04.30
327 "챗GPT 사전에 ‘모른다’는 없다" (중앙일보 04292023) 2023.04.30
326 우리 동네 중딩과 함께 놀고 배우고 2023.04.22
325 황윤 감독의 신작 <수라> 관객이 만드는 시사회 2023.04.22
324 중딩 모임 이름은 <바람이 불어오는 곳> 2023.04.22
323 무문관을 지나며 -강신주 강의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