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신윤경 컬럼 20231101

조한 2024.04.25 07:47 조회수 : 1

"생각이 너무 많고 무기력해요.", "다른 사람이 어떤지는 관심 없고 자기주장만 해요. 그러면서 억울하대요." 이는 진료실을 찾는 당사자 혹은 그 가족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고통 중 하나이다.

삶의 허무는 성경에도 기록된 오래된 인간의 화두이며, 개인주의 역시 근현대 문명의 흐름에서 자연스레 강화된 이념이자 생활양식이다. 하지만 이는 갈수록 매우 병리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알베르 까뮈는 <시지프 신화>의 첫 장에서 인간의 유일한 철학적 주제가 자살이라고 했다. 우리는 왜 자살하지 않을까? 인생은 살 가치가 있는 것인가?

 

 

안타깝게도 그리고 다행히도 이의 해답은 타인에게서 주어질 수 없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이 본질적 질문의 막막함과 무게에 짓눌려 생각의 늪이나 허무주의에 빠져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노동하지 않는 시간이 가장 많아진 현대인이 이 질문에 가장 크게 압도된다. 그리고 정신의학은 이들을 제대로 돕고 있지 못하며, 가정, 학교, 종교 단체 역시 마찬가지이다. 왜 이럴까?

 

어쩌면 이유는 '나는 누구이며,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우리의 일상이 너무나 괴리되었기 때문인지 모른다. 많은 이들이 그저 남들 하는 대로 따라 살며 공허하고 불안해한다. 우리에게 만남, 공부, 일은 일상과는 동떨어진 꾸밈이요, 기술이 되었다. 아름답게 가꾸거나 높은 수준의 능력을 갖출 필요가 없다는 말이 아니다. 다만 그것만으로는 저 근본적인 질문이 전혀 채워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삶의 공허와 우울, 쓰라린 자괴감과 무가치감은 약으로 치유될 수 없다. 약은 그 괴로움을 잠시 둔화시켜서 시간을 버는 데 의미가 있다. 그리고 부모, 교사, 정신과 의사, 상담가, 종교 지도자의 어떤 멋진 말도, 이 글도 당신을 치유할 수 없다.

인간 존재와 삶에 대한 해답을 가장 오래도록 제시해온 것은 종교이다.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동학 등의 고등 종교들은 신의 형상으로 지어진 인간, 내 안의 부처, 참나, 사람이 곧 하늘로 인간을 묘사한다. 즉, 인간은 본래 선하고 아름다우며 지혜롭고 존귀한, 그 무엇에도 손상되지 않는 온전한 존재라는 것이다. 그러니 치유란 본래의 나로 돌아가는 것, 다시 말해 신·부처·하늘과 접속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 얼마나 멋지고 뭉클한 이야기인가. 그런데 왜 이런 훌륭한 종교 역시 인간의 구원에 제대로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일까?

치유는 언어를 포함한 특정 능력이나 물질의 차원이 아닌 존재 전체의 차원에서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이다. 예수와 석가모니는 이 근원적 질문을 자신의 일상에 적용하며 살았고, 부분이 아닌 전 존재로 진실하게 자신과 타자를 만났다. 본연의 존귀하고 온전한 자기를 산 것이다. 그래서 그분들의 말과 삶은 생명력이 있고 여전히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많은 현대인들은 자신의 가치 입증과 성취를 위해 스스로를 도구화하고 소외시킨다. 당연히 일상은 귀찮아지고 타자 역시 소외된다. 하지만 전 존재가 실리지 않은 말, 글, 행위, 능력은 자신을 치유하지도 타인의 치유를 돕지도 못한다.

부모, 교사, 정신과 의사, 상담가, 종교 지도자, 정치인, 우리 각자가 스스로의 일상에서 이 질문에 답하지 않는다면 과연 무엇을 가르치고 어떻게 도울 것인가? <신윤경 봄정신건강의학과의원장>

목록 제목 날짜
456 지구와 사람 라투르 찬미 받으소서 2025.01.19
455 유물론에서 끌어낸 낯선 신학 2025.01.19
454 ‘죽은 물질 되살리는’ 신유물론 고명섭기자 2025.01.19
453 라투르 존재양식의 탐구 - 근대인의 인류학 2025.01.19
452 할망 미술관, 희망은 변방에서, 엄기호 2025.01.19
451 손희정- 그래서 시시했다/너무 고상한 죽음? room next door 2025.01.12
450 AI가 인간에게 보내는 편지 - 얼르는 버전 2025.01.12
449 AI가 인간에게 보내는 편지 2025.01.12
448 인간의 두려움 달래는 시 + 인간인척 하는 AI 2025.01.12
447 male frame female pictures 2025.01.05
446 감기 2024.12.30
445 걱정 드로잉과 재난 유토피아 file 2024.12.30
444 긴박했던 6시간, 내가 총구 앞에 2024.12.23
443 여가부 폐지에 맞서 싸우는 한국 여성들 2024.12.23
442 bbc 뉴스 상식적 사회면 좋겠다 2024.12.23
441 탄핵 투표 가장 먼저 국힘 김예지 2024.12.23
440 '탄핵안이 통과된 순간' 시민들의 반응은? 2024.12.23
439 BBC가 2024년 가장 눈길을 끈 12장의 이미지 2024.12.23
438 수력 문명, 그리고 플라넷 아쿠아 (리프킨) 2024.11.25
437 4. 3 영화제 2024.11.25
436 도덕적 우월감은 독약 (강준만) 2024.11.25
435 시 하나, 주문 하나 2024.11.25
434 돌봄이 이끄는 자리 추천의 글 2024.11.20
433 평창 예술마을 컨퍼런스 발표문 file 2024.11.16
432 오지랍의 정치학 2024.11.16
431 강원네트워크 2024.11.08
430 새로운 학교, 교사들의 즐거운 시작 file 2024.11.08
429 새로운 학교 강원 네트워크 플레이리스트 2024.11.08
428 김진호 안병무 오클로스론의 현재성 2024.10.05
427 안병무론 현존 2024.10.05
426 선악의 기원 2024.09.13
425 정경일의 글을 읽다 요약해본 것 2024.09.11
424 세계 민주주의의 날 톡 콘서트 티저 그리고 발표ppt file 2024.09.11
423 세계 민주주의의 날 발표문 file 2024.09.11
422 할머니 교회 창립 95주년 기념하는 글 2024.09.11
421 9/2-9/9 바쁜 서울 일정 중 영화 2024.09.11
420 퍼펙트 데이즈와 빔 벤더스 2024.09.11
419 낸시 프레이저 좌파의 길 식인 자본주의 2024.08.11
418 르 귄 SF와 미래 (세상 끝에서 춤추다) 2024.07.25
417 세상의 끝에서 춤추다. (어슐러 르 귄) 2024.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