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나의 해방일지> 수다 모임

조한 2022.05.31 17:04 조회수 : 609

 

유튜버들의 세계가 펼쳐지고 있다. 

인류학 현장을 구태여 찾아나갈 이유가 없는 시대.

시공간을 넘어서 다양한 생각들을 접하며 배운다. 

 

철학적이고 영적인 삶의 차원을 담아낸 주말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가 주변을 술렁이게 하였다.

또 하나의 문화에서는 19일 수다모임을 하기로 했고

묵상 모임에서도 해방일지 중 기억나는 대사나 장면으로 렉시오 디비나를 하기로 했다.

세상이 '해방일지'를 본 사람과 아닌 사람으로 갈리는 것 같다. ㅎ

 

내 기억에 남는 것들: 

 

주인공 염미정이 어릴 때 신에게 기도할 때 

친구들이 "공부 잘 하게 해달라, 입시 붙게 해달라"는 것이 이해할 수 없었다며

자기는 "왜 내가 여기에 있는가?" 그 질문만 하게 되더라는 장면.

성취, becoming이 아니라 존재 being에 대한 질문하기

 

구씨가 돈 먹고 튄 애인으로부터 돈 받아주겠다고 하자 

"내가 아무리 바보 멍청이 같아도 그냥 두라고.

도와 달라고 하면 그 떄 도와달라고.

얼굴 붉히는 것도 힘든 사람한데 

왜 죽기로 덤비래?"라고 화내는 장면.

죽기로 덤비는데 익숙한 시대를 살아온 사람으로 얼굴 붉히게 된다.

 

헤어지자는 말을 한 구씨가 화 안 나냐고 묻자

"나는 화는 안나. 서운해." 화 안 나냐고 다그치자 

"그런데 화는 안 나. 모르지 나중에 화가 날지"

(상추, 전시장에서 시대 이야기를 하다가

"나는 우울하지는 않아. 그런데 막 화가 나")
 

7초 지속되는 기쁨,

하루 오분간의 설레임이면 살아갈 만 하다는 미정 말.

 

하루에 5분 5분만 숨통 틔어도 살만 하잖아

편의점에 갔을 때 내가 문을 열어주면 "고맙습니다." 하는 학생 때문에 7초 설레고  

아침에 눈 떴을 때 "아 오늘 토요일" 10초 설레고 

그렇게 하루 5분만 채워요.

그게 내가 죽지 않고 사는 법.

 

신회장 

"이 바닥에 있는 놈들 같지 않게 

도박도 안 하고 기집질도 안 하고 딴지도(?) 안 하고 

혼자 조용히 술만 마시는 게 마음에 들어서 여기까지 같이 왔는데 

이제 그 술이 문제야."

 

결국 주인공은 창희가 아닌가 싶다.

부산스럽고 철이 덜 든 것 같지만 한 순간에 영혼의 소리를 듣는다는 본능이 살아 있는 듯한 창희

지금 시대에 필요한, 죽어가는 존재를 위로하는 세계로 들어가는 창희라는 인물이 이쁘다. 

 

"막막해서 어디가서 기도라도 하고 싶은데 갈 곳은 편의점 밖에 없더라. 

내가 그런 놈이야 

내가 있을 자리 귀신같이 알아보는.

할아버지가 갈 때 보내드리고 

엄마 갈 때 보내드리고..."

 

불치병에 걸린 친구의 애인 혁수의 병실에 들러게 된 창희 

불현듯 깨닫게 되는, 자신이 이 자리에 있는 이유  

 

"형, 미안해 괜히 불안하게 해서.

형 나랑 둘이 있자 내가 있어줄게

나 이거 팔자 같다. 근데 난 내가 나은 것 같애

보내드릴 때마다 여기 내가 있어 다행이다 싶었거든

귀신 같이 또 발길이 이리오네 

...

그러니까 형 겁 먹지 말고 편안하게 가

나 여기 있어."

 

삼시 세끼 밥에 참 준비하고

밭일도, 목공일도 돕던 어머니.

죽음으로 해방된 그녀는 대사도 별로 없다. 

서춘희 시인은 기정이라는 인물이 가장 매력적이라고 하던데

그런 낯선 모습과 좀 친해볼까?

이번ㄴ 기회에...

 

각자의 생명력의 원천,

우울하지 않고 화가 난다는 이들과 우울한 이들이,

고정희 시인의 표현처럼 따뜻함이 쓸쓸함과 같이 삶을 이어간다.

목록 제목 날짜
432 오지랍의 정치학 2024.11.16
431 강원네트워크 2024.11.08
430 새로운 학교, 교사들의 즐거운 시작 file 2024.11.08
429 새로운 학교 강원 네트워크 플레이리스트 2024.11.08
428 김진호 안병무 오클로스론의 현재성 2024.10.05
427 안병무론 현존 2024.10.05
426 선악의 기원 2024.09.13
425 정경일의 글을 읽다 요약해본 것 2024.09.11
424 세계 민주주의의 날 톡 콘서트 티저 그리고 발표ppt file 2024.09.11
423 세계 민주주의의 날 발표문 file 2024.09.11
422 할머니 교회 창립 95주년 기념하는 글 2024.09.11
421 9/2-9/9 바쁜 서울 일정 중 영화 2024.09.11
420 퍼펙트 데이즈와 빔 벤더스 2024.09.11
419 낸시 프레이저 좌파의 길 식인 자본주의 2024.08.11
418 르 귄 SF와 미래 (세상 끝에서 춤추다) 2024.07.25
417 세상의 끝에서 춤추다. (어슐러 르 귄) 2024.07.25
416 <지금 여기 함께 있다는 것> 조문명 해제 중 2024.07.18
415 <지금 여기 함께 있다는 것> 퍼거슨 2024.07.18
414 <인류학으로 보는 SF> 추천의 글 2024.07.12
413 인류세 관련 정리가 잘 된 글 2024.07.10
412 조한의 말 구체성 상황적 진리, 푹 쉬고 소동 2024.07.03
411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2024.07.03
410 정성숙 모내기 하는 날 창비 주간 논평에서 2024.07.03
409 여성학회 40주년 기념 축하 글 file 2024.06.10
408 소크라테스와 제자들, 예수, 그리고 축의 시대 2024.05.20
407 스승의 날, 훈훈한 하자 동네 이야기 2024.05.09
406 쓰지는 않고 읽기만 한다 2024.05.05
405 4월 말에 본 영화들 2024.04.29
404 손희정 <손상된 행성 에서 더 나은 파국을 상상하기> 2024.04.29
403 신윤경 컬럼 20231101 2024.04.25
402 신윤경 컬럼 한라일보 4/24 2024.04.25
401 추천의 글 <기후 돌봄> 석 줄 2024.04.20
400 조민아 바이러스와 한국교회 file 2024.04.18
399 기후 돌봄 Climate Care 2024.04.15
398 윤석남 86세, 여전히 씩씩한 화백 2024.04.15
397 지관서가 세번째 정희진 소개 2024.03.30
396 이번 주 상경해서 본 영화 - 근대, 영화 감독, 그리고 희생자들 2024.03.24
395 인권축제 축하글 2024.03.24
394 4회 인권 축제 축사를 쓰다 말았다. 2024.03.24
393 지관서가 김남규 님이 보낸 삽화 202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