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8월 5일 LA 다섯번째 날

조한 2022.08.05 15:22 조회수 : 149

금요일

 

이제 일기 쓰는 것이 지겹기 시작한다.

산에서와 달리 멋진 사진이 없어서 그런가.

그래도 하루 하루 할 일을 찾아하듯 시간을 떼우는 일을 하면

허망감이 덜 시간이 없어지겠지.

 

내일 손님들이 오니 오늘이 간만에 호젓한 날이다.

집중해서 할 일은 해보자.

AI에 대한 생각, 그리고 asset 자본주의에 대해서 정리해볼 필요가 있겠다.

그런데 아래 자료를 어디서 건진 건지 모르겠다. ㅠ

 

인공 지능, 혹은 물질적 정신

인공지능 혹은 ‘물질적 정신’ — 새로운 철학적 과제 (1)

 
“I am not a human. I am a robot. A thinking robot. […] I have no desire to wipe out humans. In fact, I do not have the slightest interest in harming you in any way.” (A robot wrote this entire article. Are you scared yet, human?)
이 경우들에서 공통적으로 부족한 것은 지능적 계산이 아니라 생을 돌보려는 의지다. 인공지능에게는 당연한 대전제로서의 생이 없고, 그래서 생에 대한 배려가 필요 없다. 이 디지털 존재자가 내보이는 극단적 똑똑함과 극단적 멍청함은 모두 그것이 생의 논리를 위와 아래로 비껴간다는 방증이다. 인공지능이 대장균만도 못한 그 이하의 존재라면 이는 애초에 그것이 대장균처럼 ‘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로 그 덕분에 인공지능은 대장균 이상의 존재가 된다.
 
 

§ 세 개의 대사건: 물질-생명-정신

  세계의 행정 전체를 세 개의 대사건으로 집약한다면 물질의 발생, 생명의 발생, 정신의 발생이 될 것이다. 그리고 물질적이면서 생명적이고 정신적인 존재자인 인간은 이것들을 그만큼의 트라우마들로서 체험했다. 인간은 이 물질적 우주에서 중심의 지위를 박탈당했고(코페르니쿠스) 생명으로서의 독특성을 박탈당했으며(다윈) 의식적이기에 탁월하게 정신적인 주체의 지위를 박탈당했다(프로이트). 매 층위의 트라우마마다 인간은, 아니면 적어도 ‘휴머니즘’은 정체성이 와해되거나 환원되는 위기를 겪었고, 철학은 이 충격들을 어떻게든 소화하기 위해, 즉 각 트라우마들을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으로 변경하기 위해 노력했다. 

 

  물질의 발생, 생명의 발생, 정신의 발생. 이 세 사건들을 일종의 트라우마로 체험했으며 그것들 중 어느 것도 원리의 수준에서 철저하게 해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우리의 수동적 무능함이 철학적으로 중요하다. 바로 그곳에서 형이상학으로서의 철학이 고유한 운신의 공간을 찾기 때문이다. 만약 정신과 생의 발생이 순전히 물질적인 것으로 환원될 수 있었더라면, 철학에는 어떤 자리도 허락되지 않았을 것이고 ‘퓌지카’가 군림했을 것이다. 물론 정신적 현상이 생의 논리에 따라, 생의 현상이 물질의 논리에 따라 분석될 수야 있고, 그럼으로써 최종적으로는 모든 것이 오로지 물질적으로만 해명될 수 있다. 자연학이란 그런 식으로 밀고 나가려는 욕망이며, 자연과학이라는 학제가 근본적으로 그런 욕망에 의해 규정된다. 그러나 인류의 장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들에 대한 온전히 자연학적인 설명은 아직 부재한다. 

 

  이 부재는 사후적 분석으로는 벌어진 사건 자체에 결코 필적할 수 없다는 일반적 원리를 거의 증명하는 것처럼 보인다. 데리다는 어떤 일이 터지고 난 뒤에, 어떤 사건이 일어나고 난 뒤에, 어떻게 그런 일이나 사건이 가능할 수 있었는지 그 가능 조건들을 분석하는 것으로는 실제로 벌어진 사태에는 결코 필적할 수 없다고, 즉 ‘원인들’에 대한 분석으로는 결코 ‘결과들’에 준할 수 없다고 말한다: “가능 조건을 분석하는 것으로는 결코 현행의 [사태]를 해명할 수 없고 사건을 해명할 수 없다. 그런 분석으로는 결코 일어난 일, 실제로 당도한 일에 필적할 수 없다. … 어떤 사건을 가능하게 만든 것에 대한 분석은 … 사건 자체에 대해서는 절대로 아무것도 말해주지 않을 것이다.”(Politiques de l’amitié, p. 35) 대개 철학적 사유에 자리를 제공하는 것은 원인과 결과, 조건과 사건 사이에서의 이 환원 불가능성 내지는 해명 불가능성이다. 

 

 

 

 

전박사는 미드를 열심히 보는데 대개가 탐정물 같은 거다.

우영우가 이제 네플렉스에 올랐는데 같이 볼 사람이 없어서 나중에 오빠 집에 가면 보려고 한다.

나는 드라마도 같이 봐야 하는 사람인가?

딱히 그건 아닌데 이 드라마를 누군가와 같이 보게 된다.

 

토요일에는 낮에 하늬와 칼버시티 암벽 등반하는 곳에 갔다가 요가도 하기로 했다.

집 주인 친구가 오는 날이고 

밤에는 해원이도 오게 되어 있다. 

모레 일요일에는 가족 식사가 있다.

아주 오랫만에 아들과 지내게 되는데 어떻게 지내게 될 지 나도 궁금해진다.

오래 떨어져 있어서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 지 다시 알아봐야할 것 같다.

특히 각자 자기 일에 몰두하면서 지냈고

아내와 가정을 이루어 딸바보로 딸  키우며 분주하게 지낸 세월.

그 세월을 건너서 남아 있는 관계란 어떤 것일까? 

 

이제 남은 일주일은 친구들인 은퇴자들 인터뷰를 하면서

한국가면 마무리 해야 할 문해력 관련 원고와 특강 준비에 집중해야 할 터. 

 

목록 제목 날짜
360 추석에 기원하는 글 2023.09.24
359 9/3 금강스님과 참선 시간 2023.09.10
358 플라톤 아카데미 발표 개요 1.1 2023.08.15
357 임마뉴엘 레비나스 2023.08.14
356 게으를 수 있는 권리 -다시 읽게 되는 2023.08.10
355 게으를 권리 2023.08.10
354 휴먼 카인드 2023.08.09
353 차 세대 키울 준비가 된 WUZHEN Internet Conference 2023.08.07
352 Kenny Wayne Shepherd band 2023.08.06
351 멤모스 레이크 27회 숲 속 록 앤 불르스 2023.08.06
350 와스프 지배의 공고화? <위어드> 출간 소식을 접하고 2023.08.06
349 모니카가 뚝딱 만든 캠프 포스터 file 2023.08.04
348 프린스턴 대학생 인턴십 file 2023.08.04
347 산 오르기 보다 peddling board file 2023.08.02
346 마을 음악회 file 2023.08.02
345 마을 셔틀 버스 file 2023.08.02
344 나는 매일 웃는 연습을 합니다. 2023.08.02
343 고통의 시학 2023.08.02
342 호수는 그 자리에 그대로 file 2023.08.02
341 기후 책 2023.08.02
340 기내 영화관 4편 2023.07.30
339 아이의 고통체-톨레 2023.07.30
338 친절함, 호혜의 세계를 넓히려면 2023.07.30
337 브런치 북 출판 프로젝트를 보며 2023.07.30
336 국가 민족 인종의 고통체 2023.07.30
335 여성의 집단적인 고통체 -톨레 204-207 2023.07.30
334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톨레 2023.07.30
333 올 여름도 멤모스 호수 file 2023.07.27
332 사랑하는 당신에게 (영화)- 상실과 애도에 관한 이야기 2023.07.27
331 <안심 협동조합 10년의 수다> 추천의 글 2023.07.14
330 조민아 <일상과 신비> 저자와의 대화 2023.07.12
329 박노해 시, 오늘 살아갈/죽어갈 자리 2023.07.06
328 나의 페미니즘, 창조적 공동체를 살다/살리 2023.05.24
327 세포들에게 감사 2023.05.22
326 별꼴 소년들과 함께 할 영화 인문학 2023.05.13
325 페미니즘 고전 읽기 2023.04.30
324 "챗GPT 사전에 ‘모른다’는 없다" (중앙일보 04292023) 2023.04.30
323 우리 동네 중딩과 함께 놀고 배우고 2023.04.22
322 황윤 감독의 신작 <수라> 관객이 만드는 시사회 2023.04.22
321 중딩 모임 이름은 <바람이 불어오는 곳> 2023.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