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Bruno Latour도 의견: 생산자체를 전환

조한 2020.05.31 17:59 조회수 : 768

http://www.bruno-latour.fr/sites/default/files/P-202-AOC-ENGLISH.pdf

 

튤립 상인은 거래가 없어서 장사를 망쳤다고 TV에 나와서 울먹였다. 물론 우리는 그를 아픔에 공감가고 보상을 해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TV 화면이 보여준 그가 키우는 튤립을 보면 좀 다른 생각을 하게 된다. 흙없는 곳에서 인공적 불빛 아래 자라는 튤립들을 스키폴 공항에서 비행기로 보내는 상품, 그런 경제 체제를  유지해야 하는 걸까?

 

..... It is at this point that we have to act. If opportunities are arising for them, the same is true for us. If everything has stopped, and all cards can be put on the table, they can be turned, selected, triaged, rejected for ever, or indeed, accelerated forwards. Now is the time for the annual stock-take. When common sense asks us to ‘start production up again as quickly as possible’, we have to shout back, ‘Absolutely not!’ The last thing to do is repeat the exact same thing we were doing before.

 

For example, a Dutch florist was on television the other day, weeping because he had to trash tonnes of tulips that we ready for shipping. Without customers, he couldn’t air-freight them around the world. Of course, we cannot but feel for him; and it is right he is recompensed. But then the camera tracked back onto the tulips that he was growing without soil under artificial light before sending them off from Schiphol airport, on air-freighters with kerosene raining down, which makes one wonder: ‘Is it really useful to prolong this way of producing and selling these types of flowers?’ One thing leads to another, and if we all began on a personal basis to ask such questions on all aspects of our production system, we would become efficient globalisation interrupters, just as effective, in our millions, as the infamous coronavirus as it goes about globalising the planet in its own way. What the virus gets from banal droplets from coughing going from one mouth to another—the halting of the world economy—we can also begin to imagine via our little  insignificant gestures put end to end, that is, the halting of the system of production. As we ask these kinds of questions, each of us is onto the task of thinking up protective measures, but not just against the virus, but against every element of the mode of production that we don’t want to see coming back.

 

So, it is no longer a matter of a system of production picking up again or being curbed, but one of getting away from production as the overriding principle of our relationship to the world. More than revolution, this is dissolution....

목록 제목 날짜
432 오지랍의 정치학 2024.11.16
431 강원네트워크 2024.11.08
430 새로운 학교, 교사들의 즐거운 시작 file 2024.11.08
429 새로운 학교 강원 네트워크 플레이리스트 2024.11.08
428 김진호 안병무 오클로스론의 현재성 2024.10.05
427 안병무론 현존 2024.10.05
426 선악의 기원 2024.09.13
425 정경일의 글을 읽다 요약해본 것 2024.09.11
424 세계 민주주의의 날 톡 콘서트 티저 그리고 발표ppt file 2024.09.11
423 세계 민주주의의 날 발표문 file 2024.09.11
422 할머니 교회 창립 95주년 기념하는 글 2024.09.11
421 9/2-9/9 바쁜 서울 일정 중 영화 2024.09.11
420 퍼펙트 데이즈와 빔 벤더스 2024.09.11
419 낸시 프레이저 좌파의 길 식인 자본주의 2024.08.11
418 르 귄 SF와 미래 (세상 끝에서 춤추다) 2024.07.25
417 세상의 끝에서 춤추다. (어슐러 르 귄) 2024.07.25
416 <지금 여기 함께 있다는 것> 조문명 해제 중 2024.07.18
415 <지금 여기 함께 있다는 것> 퍼거슨 2024.07.18
414 <인류학으로 보는 SF> 추천의 글 2024.07.12
413 인류세 관련 정리가 잘 된 글 2024.07.10
412 조한의 말 구체성 상황적 진리, 푹 쉬고 소동 2024.07.03
411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2024.07.03
410 정성숙 모내기 하는 날 창비 주간 논평에서 2024.07.03
409 여성학회 40주년 기념 축하 글 file 2024.06.10
408 소크라테스와 제자들, 예수, 그리고 축의 시대 2024.05.20
407 스승의 날, 훈훈한 하자 동네 이야기 2024.05.09
406 쓰지는 않고 읽기만 한다 2024.05.05
405 4월 말에 본 영화들 2024.04.29
404 손희정 <손상된 행성 에서 더 나은 파국을 상상하기> 2024.04.29
403 신윤경 컬럼 20231101 2024.04.25
402 신윤경 컬럼 한라일보 4/24 2024.04.25
401 추천의 글 <기후 돌봄> 석 줄 2024.04.20
400 조민아 바이러스와 한국교회 file 2024.04.18
399 기후 돌봄 Climate Care 2024.04.15
398 윤석남 86세, 여전히 씩씩한 화백 2024.04.15
397 지관서가 세번째 정희진 소개 2024.03.30
396 이번 주 상경해서 본 영화 - 근대, 영화 감독, 그리고 희생자들 2024.03.24
395 인권축제 축하글 2024.03.24
394 4회 인권 축제 축사를 쓰다 말았다. 2024.03.24
393 지관서가 김남규 님이 보낸 삽화 202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