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해러웨이 관련 좋은 글

haejoang@gmail.com 2022.07.13 21:14 조회수 : 202

http://naver.me/GbUkYU7O
취약하고 상처 입은 지구를 위한 SF 공생 가이드
출처 : 노대원

 

취약하고 상처 입은 지구를 위한 SF 공생 가이드

  •  노대원
  •  
  •  승인 2022.05.30 09:28
 
 

[BOOK世通, 제주 읽기] (239) 도나 해러웨이, 최유미 역, 『트러블과 함께하기』, 마농지, 2021.

 

지방선거를 앞두고 제주도민들은 제주의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환경과 쓰레기 문제를 꼽고 있다. 아름다운 자연 생태 환경은 제주도의 지역적 정체성이자 핵심적인 경제 자원이다. 그러나 그보다 자연 생태는 삶의 터전 그 자체라는 점에서 어떤 수단이 아니라 제주살이의 시작과 끝이라고 할 수 있다. 한반도에서 기후 위기, 기후 변화로 벌어지는 문제들이 가장 먼저, 가장 심각하게 펼쳐지는 지역이 제주도다. 지구적 생태 위기라는 사태 속에 한반도의 최전선에 제주가 위치한다.

이 ‘트러블’의 시대에 『트러블과 함께하기』는 진지하고 유쾌한 사유를 펼쳐내는 ‘과학-예술적’ 스토리텔링이다. 이 책의 저자 도나 해러웨이(Donna J. Harraway)는 대학에서 동물학, 철학, 문학을 전공하고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이후에 1985년 「사이보그 선언」으로 이른바 사이보그 페미니즘, 테크노 페미니즘을 출현시키며 세계적인 지식인으로 명성을 얻었다. 과학자이자 페미니즘 사상가, 문화비평가로서 다양하고 이질적인 지식과 사유를 종횡무진 융합하여 새로운 대안적 사유를 제시해왔다. 포스트휴먼 시대의 아이콘인 사이보그는 20세기 말보다는 오늘날 더 와닿는다. 그녀는 확실히 시대를 앞서 나가는 실천적 사상가인 것이다.

해러웨이는 우리 시대를 “어지럽고 불안한 시대, 뒤죽박죽인 시대, 문제 있고 혼란한 시대”(7쪽)으로 이해한다. 특히, 우리 시대는 인류세(Anthropocene)나 자본세(Capitalocene), 여섯 번째 대멸종으로 불리는 생태적 위기의 시대이기 때문이다. 인류세라는 용어는 인간이 방사능과 플라스틱, 닭뼈와 같은 것들이 지금의 지층적 특징이라고 할 만큼, 인류가 지구의 지질학적 힘으로 작용하는 시기를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것은 인간의 위대함이 아니라 인간의 파괴적 힘을 자성하기 위해 제안된 긴급한 용어이다.

나아가 생태적 위기는 근본적으로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에 기원한다는 점에서, 인류세가 아니라 자본세라고 불러야 마땅하다는 주장이 있다. 또한 “노예 플랜테이션 시스템이 종종 인류세를 만든 변곡점이라고 언급되는 탐욕스러운 탄소와 기계 기반 공장 시스템의 모델이자 원동력”(292쪽 미주 5.)이라는 점에서 해러웨이와 동료들은 플랜테이션세(Plantationocene)라는 이름을 제안하기도 했다....중략

인류세라는 용어는 생태 위기의 원인으로 보편적 인류를 상정한다. 그러나 생태 위기를 만들어낸 책임이 모든 인류에게 동일하지 않다는 문제의식도 있다. 실제로 미국, 중국, 한국과 같은 산업 국가들과 저개발 국가가 똑같은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인류세 담론은 점점 널리 알려지면서 다양한 의견과 주장이 쏟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계속 인류세에 대한 대안적인 명명법이 만들어지고 있다. 어떤 이름으로 생태 위기와 기후 위기의 시대를 호명하는가 하는 문제는 위기에 대한 인식과 원인 분석, 대안적 실천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러웨이는 인류세보다는 자본세나 플랜테이션세와 같은 명명을 선호한다. 게다가 이것도 부족했는지 하나의 이름을 또 제안한다. ‘쑬루세’(Chthulucene)라는 이상한 발음과 철자의 이름을. “이것은 그리스어 크톤khthôn과 카이노스kainos의 합성어로, 손상된 땅 위에서 응답-능력을 키워 살기와 죽기라는 트러블과 함께하기를 배우는 일종의 시공간을 가리킨다. 카이노스는 지금, 시작의 시간, 계속을 위한 시간, 새로움을 위한 시간을 의미한다.”(8쪽) 

쑬루세는 해러웨이가 캘리포니아 삼나무숲에서 만난 피모아 크툴루(Pimoa cthulhu)라는 거미에서 이름을 따 왔다. 이 이름에 ‘땅’(크톤)이라는 의미도 들어가 있고, chthonic(땅에 사는, 지하 신들의)이란 단어의 발음[θɑ́nik]을 따른다. 피모아 크툴루의 이름이 호러와 SF 작가인 H. P. 러브크래프트의 신적인 괴물 크툴루에서 왔지만, 이 작가의 여성 혐오와 인종주의를 꺼려 살짝 철자를 바꿨다. 

쑬루세라는 단어로 해러웨이는 무슨 이야기를 하려는 걸까? 그녀는 인류세(Anthropocene)와 자본세(Capitalocene) 문제에 대한 두 가지 방식의 반응에 대해 비판한다. 첫 번째는 기술적 해법에 대한 믿음이고, 두 번째 반응은 이미 ‘게임 종료’라는 식의 비관주의이다. 그녀는 이 두 가지 모두 올바른 해법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쑬루세는 인류세의 대안으로서 새로운 실천이자 희망을 담은 용어이다. 

쑬루세의 주인공들은 이 땅 밑에 살아가는 존재, 땅에 뿌리박은 것들이다. 땅과 흙은 지구와 자연을 떠올리게 한다. 그래서 해러웨이는 포스트휴머니즘이란 기호 아래 학문적 실천을 해왔지만, 다른 용어를 유희적으로 제안한다. 포스트휴먼(posthuman)이 아니라 퇴비(compost)를, 인문학(humanities) 대신에 부식토학(humusities)이다. 이 책의 사상을 요약하면 ‘쑬루세의 퇴비주의’가 되겠다. 

목록 제목 날짜
323 우리 동네 중딩과 함께 놀고 배우고 2023.04.22
322 황윤 감독의 신작 <수라> 관객이 만드는 시사회 2023.04.22
321 중딩 모임 이름은 <바람이 불어오는 곳> 2023.04.22
320 무문관을 지나며 -강신주 강의 2023.03.31
319 어린이 선흘 마을 예술 학교 4/17-5/3 월수금 2023.03.31
318 AI 실험을 잠시 멈추자는 공개서한 2023.03.31
317 탐라 도서관 강의 file 2023.03.24
316 연대 치대 강의 ppt file 2023.03.14
315 부산 건강마을센터 강의 ppt file 2023.03.14
314 정경일 선생의 사회적 영성 탐구 2023.03.02
313 discontent of democracy 추천의 글 file 2023.03.01
312 정당성 위기에서 재정 위기로 2023.02.24
311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는 동행 가능한가 -슈트렉 서평 2023.02.24
310 책소개 금융자본주의의 폭력 2023.02.24
309 수주 박형규 목사 탈춤 예수전 file 2023.02.11
308 2월 번개 영화관 <안녕, 소중한 사람> 2023.02.11
307 상큼한 컬럼 하나 <상냥함에 물들기> 2023.02.10
306 탐라도서관 3월 강의 주제 2023.02.01
305 10세 두명을 위한 인문학 실험 교실 file 2023.02.01
304 3주간 그린 그림 정리 file 2023.02.01
303 작심 3일로 끝난 일기, M의 일기로 대체 2023.02.01
302 1월 23일 2023.01.24
301 1월 21 토, 22 일 2023.01.24
300 16일에서 20일 2023.01.24
299 사피엔스 캠프 2- 소년의 성년 file 2023.01.20
298 한강의 <작별> 2023.01.19
297 권력과 사랑에 대하여 -조민아 책에서 2023.01.18
296 코올리나 13에서 15일 2023.01.16
295 코올리나 일지 둘쨋날 2023.01.15
294 글방 전성시대 (어딘 김현아) file 2023.01.14
293 또문의 새해, 부지런한 글쓰기 2023.01.14
292 답신 조한 2023.01.14
291 또문 1월 편지 2023.01.14
290 Dall-e가 그린 시니어 페미니스트 그림 2023.01.14
289 오랫만에 여행 일지를 쓰다 2023.01.13
288 사피엔스 캠프 1 :마음을 찾아 file 2022.12.22
287 부산건강 마을센터 성과공유회 file 2022.12.12
286 문학이라는 사나운 팔자와의 동거 2022.12.04
285 비판적 작가의 재발견- 오웰의 장미 2022.12.04
284 존엄사에 관한 영화- 잘 죽는다는 것 2022.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