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오드리 탕 미래 교육 인터뷰 (여시재)

조한 2020.11.18 10:23 조회수 : 387

  •  
  •  
  •  
  •  
  •  
  • 인사이트
  •  
  • |
  •  
  • 디지털 사회
  •  
  •  
  • [포스트 COVID-19: 글로벌 미래대화 ⑦] 모두가 주연이 되는 디지털 사회 혁신 - 오드리 탕 대만 디지털 정리: 박설믜(SD)

2020.11.11장관https://www.yeosijae.org/research/1048?fbclid=IwAR1XRS_8TlW-H7GdW6sJPmtKQGCOklLH6MxU8ZTw8T_ARVTtZy2gG5bK06g

사회 혁신은 ‘공동 창작(co-creation)’ /신속, 공정, 재미의 세 가지 원칙이 이끌어/유머가 분노보다 빨라

 

“디지털은 사회 영역의 다원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AI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아닌, 보조지능(Assistive Intelligence)”“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교육은 디지털 리터러시 아닌

데이터 역량(data competency) 교육”

COVID-19로 디지털 시대가 성큼 다가오면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 정보를 읽고 분석하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문해력을 길러야 한다는 이야기가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탕 장관은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것은 데이터를 단순히 읽고 분석하는 것을 넘어서서, 데이터를 직접 생산하여 기여하고, 이를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와 정보 생산자로서의 능력, 즉 ‘데이터 역량(data competency)’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 시대에 시민들은 더 이상 중앙에서 만들어져 보급되는 데이터의 소비자가 아니다. 대만이 공공데이터 구축에 시민의 적극적인 기여와 참여를 강조하며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대기오염, 수질오염 데이터를 구축해오고, 마스크 앱 제작 시에도 시민사회가 기여한 데이터를 활용했던 것처럼, 시민은 이미 데이터를 공동생산하는 생산자이자, 주체이기도 하다. 따라서 단순히 소비자로서 데이터를 읽고 활용하는 능력을 가르치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데이터를 직접 생산하고 공공데이터 구축에 기여하며 활용의 주체가 되는 디지털 정보 생산자로서의 능력을 가르치는 데이터 역량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만은 작년부터 12년간의 기초교육 과정을 개편하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데이터 역량 교육으로 전환했다. 이는 단순히 데이터가 무엇인지, 어떻게 측정하는지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넘어, 디지털 시대에 데이터 생산자로서의 사고를 가르치기 위한 변화였다. 기존 교육 과정은 정해진 답을 구하기 위해 개별 학생들 간의 경쟁이 중심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학급의 학생들이 팀으로서 함께 사회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고민하며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했다. 작년에 도입됐지만 그 변화는 벌써부터 감지되고 있다. 2019년, 대만의 16살 학생들이 대만의 국민 음료인 버블티에 플라스틱 빨대를 무료로 주는 것을 금지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는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며 법안으로 발의되었고, 대만에서 플라스틱 빨대 사용이 금지되는 시발점이 되었다.

 

 

목록 제목 날짜
281 플라톤 아카데미 발표 개요 1.1 2023.08.15
280 5/13일 대학은 COVID 19 국면에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나 file 2020.05.11
279 김영옥 흰머리 휘날리며 2022.03.05
278 역시 해러웨이 2021.07.30
277 공정한 입시가 아니라 교육을 바꾸어야 할 때 2019.10.03
276 8년이 지난 세월호 이야기 file 2022.11.18
275 명필름의 <당신의 부탁> file 2019.07.05
274 기후 위기 비상행동 2019년 9월 21일 file 2019.09.22
273 경향 컬럼 여가부 관련 2020.08.09
272 모두가 신이 된 호모데우스의 시대 2019.08.01
271 장자의 마음 "나를 믿기로 했다." 빈둥빈둥 2022.02.17
270 기본소득 컨퍼런스 발표 초록과 ppt file 2021.04.20
269 다시 서울로 2019.08.18
268 오늘의 메모: 듣기를 명상처럼 -잘 듣기 2021.08.29
267 20대 남자와 여자의 거리 2021.08.12
266 재난의 시대, 교육의 방향을 다시 묻다. 2022.03.19
265 개교하면 온라인 학습과 실공간 학습을 잘 엮어내야 2020.05.08
264 기본소득과 기초자산 (사회적 경제연구소) 2020.01.28
263 좋은 인터뷰 2020.05.20
262 장애가 장애가 아닌 삼달다방 file 2020.04.07
261 또문 리부팅 2021.11.02
260 3월 20일 동인지 모임 : '모녀/모성' 또는 '나를 살게 하는 것' file 2022.03.21
259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society 20200208 2020.02.09
258 시편 정경일 선생의 글 중 file 2020.12.09
257 대한민국 살기좋은 나라.... 2020.09.25
256 11/21 서울 지식이음 포럼 축제 기조강연 file 2019.11.25
255 다섯편의 영화를 보고 LA에 왔다 2019.07.26
254 라이프 3.0 인문학 file 2019.11.26
253 아감벤 <내가 보고 듣고 깨달은 것> 중에서 2024.02.15
252 오름의 여왕 따라비에서 file 2019.07.07
251 어떤 ‘코로나 서사’를 쓸 것인가 (황정아) 2020.03.07
250 다시 칼럼 쓰기로 2020.01.20
249 기후 변화 학교 (표선) file 2020.11.16
248 큰 위기, 작은 소동, 그리고 재난 학교 file 2020.02.28
247 강릉 <2021 모두를 위한 기후정치> file 2021.11.03
246 어린이 선흘 마을 예술 학교 4/17-5/3 월수금 2023.03.31
245 대면 수업 시작, 혼란은 불가피함 2020.05.12
244 THE GREAT HACK, 더 이상 공정한 선거는 없다 2019.07.27
243 왜 지금 마을과 작은 학교를 이야기하는가? (춘천 마을 이야기) 2022.05.16
242 제주시 양성평등 주간 강연 자료 file 2019.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