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

haejoang@gmail.com 2020.11.30 22:43 조회수 : 329

[조한혜정의 마을에서]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을 찾아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연세대 명예교수

요즘 암울한 생각을 하지 않는 훈련을 하고 있다. 강의 요청이 와도 잘 움직이지 않게 되는데 최근 광주의 한 교사 모임엔 갔다. 학생들이 선생님을 너무 좋아해 황송할 지경이라며 그 현상에 관해 이야기해보고 싶다는 교사들이 모이는 자리였다. 코로나19 사태로 우울해진 분위기를 바꿔보자고 매일 수업 전에 다 같이 부르기로 한 노래가 ‘걱정 말아요, 그대’였다며 교실 분위기가 너무 가라앉는 것을 걱정하는 선생님을 만난 것은 기쁨이었다. 선생님들과 이야기하다보니 교실 붕괴 후 바닥을 친 교실·학교가 팬데믹을 거치면서 새로운 의식이 움트는 시공간이 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연세대 명예교수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연세대 명예교수

둘러보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아이들도 적지 않다. 우리 동네 ‘소년 캠프’ 구성원인 유비는 최근 <동의보감>을 읽기 시작했다. 초등학교 2학년이지만 중학생 수준의 독서를 하는 아이다. 그는 어릴 때 자주 아프고 약골이었는데 그 힘든 시간을 책과 친하게 지내며 버텨냈다고 한다. 2학년 들어 <삼국지>와 <나니아 연대기>를 읽고 요즘은 어른용 <동의보감>을 읽고 있다고 했다. 학교 친구가 한 명도 없을 것 같아 걱정했더니 걱정하지 말라고 했다. 아프면 자기에게 와보라고 했더니 친구들이 많이 찾아온단다. 최근에는 약초 퀴즈를 내기 시작해서 더 인기가 높아졌다고 한다. 사실 유튜브에 들어가면 이런 ‘영재’들의 활약을 보게 된다. 이런 현상을 보고 있노라면 근대 교육이 바탕을 두고 있는 단계별 성장 같은 것은 과학이 아니라 교리였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근대 국가가 만들어낸 체제에 갇혀 우울해하기보다 우주로 통하는 기운을 느끼며 자신을 살리는 아이들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아이들을 살려주는 학교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이런 질문을 던지다 내 눈길이 멈춘 곳은 대만 교육개혁의 장이다. 2017년 말 대만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구축하면서 인공지능(AI) 시대를 살아갈 세대를 키우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 움직임을 주도하는 인물은 시빅 해커의 이력을 가진 디지털 장관 오드리 탕. 그는 8세 때 소프트웨어 개발을 시작했고 중학교를 중퇴했다. 16세에 프로그래밍 스타트업을 창업했고 이후 애플 등 국내외 정보기술(IT) 기업 자문을 맡아 활약했다. 24세에 성전환해서 남녀의 세계 모두를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다. 2016년 35세에 최연소 장관이 된 탕은 취임 후 사무실을 사회혁신 실험실로 꾸미고 삶의 현장 곳곳을 암행어사처럼 다니며 필요한 개혁을 이루어내는 동시에 정부 보고서 등을 공개하며 ‘열린 정부’ 운동을 시작했다. 탕 장관은 국가는 창의적 시민 없이는 새로운 정책을 세울 수 없는 체제임을 인식하자고 강조한다. 그래서 정부가 할 일은 국민의 집단지성이 세상을 바꾸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실제 엄청난 성공사례로 세계적 주목을 받은 실시간 마스크 공급지도 앱과 마스크 예약제 도입도 탕 장관이 시민의 활동을 연결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디지털 시대를 사는 아이들에게
팬데믹은 새 기회가 될 텐데…
어떤 방향으로 교실을 바꿀까
대만 ‘천재 장관’ 오드리 탕
그의 혁신성에 눈길이 멈춘다

IQ가 180인 탕 장관은 IQ라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한다. IQ라는 것이 패턴을 알아차리는 능력인데 그 일을 컴퓨터에 시키는 아이들은 이미 IQ 180이라는 것이다. 아이들이 배워야 할 것은 데이터를 직접 생산하고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 생산이라며 디지털 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을 위한 교육의 판을 새로 짜는 대만의 아이들은 얼마나 행운인가? 물론 탕 장관이 이런 개혁을 해낼 수 있었던 배경에는 그의 부처에 관료적 규제에 구속되지 않는 예외적 권한을 주기로 한 차이잉원 정부가 있다. 그 정부는 모든 부처에 서른다섯 살 이하의 젊은 멘토를 두어야 한다는 제도를 시행하는 청년 참여 정부이기도 하다. 한편 대만에서 태어난 탕이 미국의 실리콘밸리로 사라져버리지 않고 국민을 위해 일하게 된 배경에는 대만 시민들이 벌여온 끈질긴 성소수자 운동이 있다. ‘펑 탕’에서 ‘오드리 탕’이 된 그는 남자와 여자, 동성애와 이성애, 장애와 비장애, 사람과 AI 간의 엄격한 이분법을 허물고 개체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질서로 이동하는 시대를 몸으로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차별금지법은 지금 어디쯤에서 멈추어 있을까?

탕 장관의 혁신성은 국경을 넘어 쉽게 공유될 성격의 것이다. 그를 중심으로 교육개혁을 위한 아시아 교육혁신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안 될까? 선행학습 입시 연옥에서 벗어나 생기가 가득한 교실, 소년 유비가 교실의 명의가 되어 ‘21세기 동의보감’을 쓰는 날을 상상하며 오늘 하루 좋은 기운으로 보내보려 한다.

목록 제목 날짜
276 마을 체육관에서 벌어진 방학 주말 학교 file 2020.01.27
275 김영옥 흰머리 휘날리며 2022.03.05
274 플라톤 아카데미 발표 개요 1.1 2023.08.15
273 역시 해러웨이 2021.07.30
272 명필름의 <당신의 부탁> file 2019.07.05
271 공정한 입시가 아니라 교육을 바꾸어야 할 때 2019.10.03
270 기후 위기 비상행동 2019년 9월 21일 file 2019.09.22
269 8년이 지난 세월호 이야기 file 2022.11.18
268 경향 컬럼 여가부 관련 2020.08.09
267 모두가 신이 된 호모데우스의 시대 2019.08.01
266 다시 서울로 2019.08.18
265 장자의 마음 "나를 믿기로 했다." 빈둥빈둥 2022.02.17
264 기본소득 컨퍼런스 발표 초록과 ppt file 2021.04.20
263 20대 남자와 여자의 거리 2021.08.12
262 재난의 시대, 교육의 방향을 다시 묻다. 2022.03.19
261 개교하면 온라인 학습과 실공간 학습을 잘 엮어내야 2020.05.08
260 기본소득과 기초자산 (사회적 경제연구소) 2020.01.28
259 좋은 인터뷰 2020.05.20
258 장애가 장애가 아닌 삼달다방 file 2020.04.07
257 또문 리부팅 2021.11.02
256 시편 정경일 선생의 글 중 file 2020.12.09
255 대한민국 살기좋은 나라.... 2020.09.25
254 3월 20일 동인지 모임 : '모녀/모성' 또는 '나를 살게 하는 것' file 2022.03.21
253 11/21 서울 지식이음 포럼 축제 기조강연 file 2019.11.25
252 다섯편의 영화를 보고 LA에 왔다 2019.07.26
251 라이프 3.0 인문학 file 2019.11.26
250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society 20200208 2020.02.09
249 오름의 여왕 따라비에서 file 2019.07.07
248 다시 칼럼 쓰기로 2020.01.20
247 기후 변화 학교 (표선) file 2020.11.16
246 어떤 ‘코로나 서사’를 쓸 것인가 (황정아) 2020.03.07
245 아감벤 <내가 보고 듣고 깨달은 것> 중에서 2024.02.15
244 큰 위기, 작은 소동, 그리고 재난 학교 file 2020.02.28
243 강릉 <2021 모두를 위한 기후정치> file 2021.11.03
242 어린이 선흘 마을 예술 학교 4/17-5/3 월수금 2023.03.31
241 대면 수업 시작, 혼란은 불가피함 2020.05.12
240 THE GREAT HACK, 더 이상 공정한 선거는 없다 2019.07.27
239 10만년 전 사건, 공감능력의 출현과 협동 번식 (허디) 2022.01.05
238 마르켈 총리의 코로나 사태 관련 담화 2020.03.20
237 온라인 교육, 준비하지 않은 대학 2020.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