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은 어떤 세상을 만나 어떤 어른이 되는가?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2007130300055
신문사에 보내기 전에 두어명에게 이메일을 보낸다.
이런 피드백을 받는 것이 습관이기도 하지만 특히 요즘은 조심스럽다.
막 박원순 시장이 세상을 떠난 소식을 들은 터라 착찹해진 마음이었지만 어찌어찌 마무리를 했다.
마무리 한 뒤에 온 청년/남자의 피드백이다.
"늦게 보내드려요. 황망한 세상인지라 정신이 없네요
결국 마을의 “남자 아이”의
사실 이번 손정우 사건은 사내 아이들에겐 재수 없게 걸려
저는 사내 아이가 어떻게 마을에서 살아갈 수 있을지 잘 모르겠어요. 여자 아이들은
마을이 사라진 건지? 아니면 마을의 남성들이 이미 떠났
권력이 없어도 노동의 가치를 알며 성실히 살아가는 남자
맞는 말이다. 다음 번에 이를 중심으로 보충을 해야 겠다.
2011년에도 소년에 대한 글을 썼었다.
소년을 위하여
http://naver.me/GomtPfUD
세상은 정말 어떻게 가려고 이러나?
목록 | 제목 | 날짜 | 조회수 |
---|---|---|---|
149 | 자기를 지키는 길은 글쓰기 밖에는 없다 | 2021.02.14 | 645 |
148 | 장선생을 보내며 | 2021.01.07 | 428 |
147 |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 2021.01.01 | 425 |
146 | 제주 유네스크 잡지에 낸 글 | 2020.12.30 | 407 |
145 | 실기가 아니라 관점과 언어 | 2020.12.30 | 308 |
144 | 무엇이 우리를 살게 하는가 | 2020.12.29 | 350 |
143 | 시원 채록희의 영 어덜트 소설! | 2020.12.27 | 504 |
142 |
글을 고치다가 골병 들겠다- 민들레 글
![]() | 2020.12.20 | 309 |
141 |
시편 정경일 선생의 글 중
![]() | 2020.12.09 | 178 |
140 |
영도 지역 문화 도시 지역문화 기록자 과정
![]() | 2020.12.03 | 455 |
139 | 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 | 2020.11.30 | 272 |
138 | 방과후 교사의 자리 | 2020.11.30 | 264 |
137 | 기후 변화 산호의 상태로 보는. | 2020.11.30 | 382 |
136 | 초딩 소년들을 위한 영화 | 2020.11.30 | 331 |
135 | 오드리 탕 미래 교육 인터뷰 (여시재) | 2020.11.18 | 329 |
134 |
기후 변화 학교 (표선)
![]() | 2020.11.16 | 173 |
133 | 찬미 받으소서 | 2020.10.13 | 276 |
132 | Ready For More Sherlockian Adventures? | 2020.10.03 | 218 |
131 |
광명 자치 대학 개강 특강
![]() | 2020.09.28 | 229 |
130 | 추석 연후에 보려는 영화 | 2020.09.28 | 271 |
129 | 서울시 온종일 돌봄 실태분석과 정책방안 | 2020.09.26 | 607 |
128 | 대한민국 살기좋은 나라.... | 2020.09.25 | 180 |
127 | small schools big picture | 2020.09.21 | 145 |
126 | 2020 하자 창의 서밋에 | 2020.09.08 | 203 |
125 | 홀가분의 편지-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 2020.09.01 | 218 |
124 |
DDP 디자인 박물관 기념 강의 발표자료
![]() | 2020.08.15 | 191 |
123 | 그들이 우리는 먹여 살리고 있다 (농촌 이주 노동자) | 2020.08.10 | 353 |
122 | <위기 시대, 사회적 돌봄과 공간 변화> (DDP 포럼) | 2020.08.10 | 190 |
121 | 경향 컬럼 여가부 관련 | 2020.08.09 | 180 |
120 | 유발 하라리와 오드리 탕의 모험, 비상, 경계를 훌쩍 넘기 | 2020.07.28 | 733 |
119 | confronting gender binary -젠더의 경계 넘기 | 2020.07.28 | 210 |
118 | flashmob, 인간이 신이고자 했던 '근대'를 마무리 하는 몸짓 | 2020.07.22 | 210 |
117 | 책 읽어주는 여자 쨍쨍 | 2020.07.15 | 308 |
» | 소년은 어떤 세상을 만나 어떤 어른이 되는가? | 2020.07.14 | 421 |
115 | 미셸 오바마의 <Becoming> | 2020.07.14 | 217 |
114 | [경향의 눈]‘세대주’라는 낡은 기준 | 2020.06.04 | 321 |
113 | 이 시대 생기발랄한 이들 | 2020.06.02 | 468 |
112 | 원룸 이웃 - 새로운 공동체의 시작 | 2020.06.02 | 278 |
111 | Bruno Latour도 의견: 생산자체를 전환 | 2020.05.31 | 233 |
110 | 정의연, 피해자와 지원자 사이의 갈등 (박노자) | 2020.05.31 | 5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