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다시 칼럼 쓰기로

조한 2020.01.20 11:58 조회수 : 237

다시 글을 쓰기로 했다.

숨어버리기에는 손주 세대를 볼 면목이 없고  

평생 한 일이 일상을 관찰하고 글을 쓰는 행위 였던지라........

나는 상식적이라고 하기에는 엉뚱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다.

다들 안 된다고 해도 "왜  안 되는가?" 를 물으며 주변을 둘러보고 상황을 관찰하면서

그 일을 하는 방향으로 생각을 시작한다. 

지금과 같이 변화에 대해 너그럽지 못한 방향으로 갈 때 그런 일은 그리 즐겁지 않다.

많은 위험을 감수해야 하기도 하다.

가만히 숨어들 있는 이유가 거기에 있을 것이다.

다른 이유로도 글쓰기는 점점 어렵다.   

젊을 때  나는 생각한 것을 바로 글로 옮겼던 것 같은데 (그 래서 한 두달 안에 초벌책 원고를 쓰기도 했는데)

어느 때부터인가 글을 쓰고 너무나 많이 고치고 있는 나를 발견했다. 

그래서 글을 그만 써야 될 때가 왔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하루끼가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에서 이런 말을 하고 있었다. (185쪽)

"나는 쓰면서 사물을 생각한다. 생각한 것을 문장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고, 문장을 지어 나가면서 사물을 생각한다. 쓴다고 하는 작업을 통해서 사고를 형성해간다. 다시 고쳐 씀으로써 사색을 깊게 해나간다.  그러나 아무리 문장을 늘어놓아도 결론이 나오지 않고, 아무리 고쳐 써도 목적지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도 물론 있다.  그럴 때에는 그저 가설을 몇 가지 제시할 수 밖에 없다.  혹은 의문 그 자체를 차례차례 부연해갈 수 밖에 없다. 혹은 그 의문이 지닌 구조를 뭔가 다른 것과 구조적으로 맞대어 비교 하든지."

문장을 지어 나가면서 현상을 파악하기. 현상이 너무 복잡하고  너무 많은 사람들의 반응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서 그렇게 하는 것이 맞는 일일 것이다.

그래서 글을 다시 쓰기로 했다. 

단어를  줍는,  주변을 부지런히 관찰하고 질문하는  노동으로서의 글쓰기.

 

 

[조한혜정의 마을에서]어찌할까, 이 깊은 우울을!

다시 칼럼을 쓰기로 하면서 상큼한 글만 쓰자고 다짐했는데 쉽지 않다. 오늘도 우울한 기분으로 아침을 맞는다. 스마트폰을 켜지 말았어야 했는데…. 호주 산불은 여전히 번지고 있고 미국은 호르무즈 파병 카드를 꺼내 들었다. 전쟁터에 가고 싶다는 청년의 댓글이 올라와 있다.

[조한혜정의 마을에서]어찌할까, 이 깊은 우울을!

모든 비극에 참여하려 했다간 손가락 하나 움직이지 못하게 될 테니 한 가지에만 관여하라던 사사키 아타루의 조언을 떠올려보지만 무력감은 이미 내 몸에 들어와 버렸다. 세상은 너무 많이 변해 버렸다.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글처럼 “나는 그것을 물속에서 느끼고, 대지에서도 느낄 수 있고, 공기 속에서 냄새로 느낀다. 그 모든 것은 이제 사라졌다. 그 모든 걸 기억하는 사람도 사라졌다”.

2016년 말 광화문광장에서 콜드플레이의 노래 ‘Viva La Vida’가 울려 퍼질 때 잠시 희망을 걸어보기도 했다. 이제는 그때 신나게 불렀던 그 노래가 왕이 되고자 했던 우리 모두의 마지막을 노래한 것임을 인정해야 할 것 같다. “이제 난 홀로 잠을 자고 내가 한때 지배했던 거리를 배회하지. 난 알아차렸네. 나의 성은 소금 기둥, 그리고 모래 기둥 위에 서 있었다는 걸. 오 누가 왕이 되고 싶어 하겠나? 절대로 진실한 말 따위는 없다네.” 자신에게 닥친 비극적 사건을 두고 신에게 울부짖을 수 있었던 고대인들이 부럽다. 인간에 의해 자행된 “설명할 수 있는 비극”을 견뎌야 하는 현대인은 얼마나 우울한가?

나는 이런 시대에 우울하지 않은 사람은 위험한 존재라 생각한다. 크레이그 리슨 감독의 다큐 <플라스틱 바다>에 나오는 죽은 새의 위장에는 플라스틱과 비닐이 빼곡하게 들어가 있었다. 이런 불편한 장면을 줄기차게 보게 만드는 넷플릭스는 전 지구 시민을 위한 대학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앨 고어의 <불편한 진실> 속편을 보면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이 의외의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정상회의 직전에 일어난 파리 테러 사건 때문이었다고 한다. 잠시 세계 정치인들이 평상심을 잃고 죽음 앞에서 마음이 흔들렸기에 가능했다는 것이다.

나는 끔찍한 뉴스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꼬박꼬박 챙겨 보는 사람들을 보면 화가 난다. 코에 낀 빨대로 괴로워하는 거북이 동영상을 보고 아이는 더 이상 빨대를 찾지 않는데 어른들은 무감각하다. 언젠가 친구에게 왜 이런 현실을 보면서 흥분하거나 우울해하지 않느냐고 따져 물었다. 그는 자기 전문분야가 아니라서 나서지 않는다고 했다. 지금이 바로 그 편협한 전문가주의를 벗어나야 할 때 아닌가? 그간의 전문성이 지금의 현상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는 걸 인정하고 새로운 눈으로 현상을 보기 시작해야 하지 않는가?

현대 문명은 인간에게 신이 되라고 부추겼다. 모든 것을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신과 같은 존재가 되어야 했던 현대인, 엄격한 신과 고루한 가부장과 가난한 마을을 떠나 자수성가한 청년들은 이제 자기 확신에 가득 찬 노인이 되었다. 수시로 시시비비를 가리며 국가 권력의 분신인 듯, 영원불멸의 신인 듯 행동하는 그들·나·우리는 지금 강박증과 분열증을 앓고 있다. 치유가 가능할까? 추운 광화문광장에 시위하러 어김없이 나가는 부모와의 반목을 정치 이야기를 하면 벌금을 내는 것으로 해결했다며 자랑하는 후배가 있다. 가족은 왜 이 지경이 되었을까? 서로 마주하기 때문에 ‘현생인류’가 탄생했는데 7만년이 지난 지금, 신이 된 호모데우스는 더 이상 서로를 마주하려 들지 않는다.

조건의 변화 없이 의식을 바꾸기는 어렵지만, 지금은 현상을 바라보는 의식을 바꿀 때가 아닌가 싶다. 유일신의 이름 아래 구축된 근대를 해체하는 것. “타 종교에도 진리의 빛이 있다”며 종교 간 대화를 시작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그런 면에서 탁월한 이 시대의 선각자이다. 우리 모두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그 다양한 신과 정령 중 하나로 살아가는 세계를 상상해보자. 그 신들의 세계에서는 개와 고양이와 나무와 정령들도 의식을 가지고 살아간다. 배안에 비닐과 플라스틱이 들어차 있는 새와 거북이와 고래도 아프다고 소리친다. 나는 ‘사회’를 살려내기 위해서 기본소득이 필요하다고 말해왔지만 타자와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적 존재로서의 회복을 해내지 못하면 기본소득 제도도 효과를 내지 못할 것임을 알고 있다. 신들과 인간, 다종 다기한 생명체와 인공지능의 존재가 어우러지는 새로운 지구의 시간이 열리고 있다. 저마다의 아름다움을 뽐내는 신들과 아침마다 지구인에게 우울의 화살을 쏘아대는 정령들과도 친해져야 할 시간.

목록 제목 날짜
196 십개월의 미래, 카오스 코스모스 그리고 모계사회 2022.01.01
195 폭군 아버지, 히스테리 엄마 책소개 2022.03.05
194 협동 번식과 모계사회 2022.01.01
193 3/28 아침 독서 한겨레 21 창간 28돌 기념 특별본 2022.03.28
192 고래가 지나가는 곳에서 file 2020.01.27
191 80,75,71세 노인들의 음악 세션 file 2019.07.28
190 AI 시대 문해력 ppt 수정 file 2022.10.04
189 In this life-Israel Kamakawiwo'ole 2020.02.05
188 한나 아렌트 정치와 법의 관계 2021.08.06
187 팬데믹 3년이 남긴 질문: 교육공간 (작은 것이 아름답다 원고) file 2022.05.16
186 고나 그림 -캠브릿지 걷던 길 2021.11.02
185 트럼프지지자들이 리버럴을 미워하는 이유 2020.02.18
184 황윤 감독의 신작 <수라> 관객이 만드는 시사회 2023.04.22
183 도서관 연합회 길위의 인문학 마무리 특강 file 2022.12.01
182 기운 나는 30분- 장자의 줌 영어 공부 2022.03.28
181 우리 할머니는 예술가 2022.04.17
180 할머니들의 기후 행동- 동네 공원에서 놀기 2022.02.10
179 맘모스 3일째 타운 트롤리 그리고 오래된 관계 file 2022.07.19
178 영화 세편 2022.06.11
177 [왜냐면] 나! ‘코로나19 바이러스’ / 김정헌 2020.03.17
176 문학이라는 사나운 팔자와의 동거 2022.12.04
175 좋은 글-"바이러스와 인간, 그리고 권력 2020.04.07
174 돌봄- 영 케어러 2021.09.13
173 사티쉬 쿠마르- 세상은 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것 2021.09.15
172 댓글 지면, 어떤 순기능을 하는걸까 2022.02.10
171 드라마 작가의 노고 2022.05.30
170 해러웨이 관련 좋은 글 2022.07.13
169 KAIST, 중·고교 ‘온라인 개학’ 지원 나선다 2020.04.07
168 오늘의 사자 소학 2022.02.28
167 존엄사에 관한 영화- 잘 죽는다는 것 2022.12.01
166 정체성의 정치에 대한 논의 2021.08.25
165 3/28 추천글 쓰기의 기쁨 2022.03.28
164 다 함께 폭력을 몰아내는 춤을 2020.01.25
163 남성 중심 문명 그 이후 (슬기로운 좌파 생활 서평) 2022.02.01
162 우리 동네 중딩과 함께 놀고 배우고 2023.04.22
161 엄기호 애도는 사회의 크기를 결정한다 2022.11.15
160 박노해 괘종시계 2021.10.25
159 저활성 사회 (정근식) 다산포럼 2020.04.07
158 8월 3일 LA 브렌트우드 집의 정원수와 풀들 file 2022.08.05
157 사피엔스 번식의 에이스 카드는 외할머니 2022.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