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ragility 연약함에 대해

조한 2019.05.07 20:11 조회수 : 1082

다운로드.jpg

 

학부 때 음악을 한다며 주변을 어쩍거리던 얼굴 하얀 학생이 있었다.

화가가 되고 싶었지만 가정주부가 된 어머니는 늘 아프셨다고 한다.

자상한 아빠가 돈도 벌어오면서 집안일도 하셨는데

둘째 아들이자 막내인 그는

딸 노릇을 하려고 애를 썼다고 한다.

사춘기 때 우울한 히키고모리로 살았다고 했다.

기타에 심취했던 히키고모리여서 다행이었다고 했다.

마냥 즐겁고 기쁘기 만한 어린 시절을 보낸 나와는 물론 많이 다르다.

 

하자 센터를 시작할 즈음 대학원생이었던 아키는

지금 하자 센터 기획부장이다.

그는 대학원생부터 내가 하려는 일에 자주 브레이크를 걸었다.

내가 사람의 잠재력 (potential, 뭔가를 해낼 가능성)만 본다며 못 마땅해 했다.

연약함 fragility를 보자고 말했다.

우리 둘의 차이를 적절하게 표현한 말이다.

 

나는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고 싶어 하는 사람을 대번 알아본다.

그리고 그런 사람에게 끌린다.

자율적인 존재로 자신의 가능성을 한껏 발휘하여 좋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그런 사람들 사이에서 나는 살고 싶다.

그런 여성들이 들불처럼 일어난 1980년대에 페미니스트 운동을 했고

그런 청소년들이 거리로 나온 1990년대에 청소년 운동에 참여했다.

 

청소년들에게

기성세대 눈치를 그렇게 살피지 않아도 된다고,

서태지처럼 하고 싶은 것 하면 된다고,

자신의 잠재력을 한껏 발휘할 곳에 만들어 행복하게 살라고 부추겼다.

급기야 하자 센터까지 만들었고

자신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한껏 살리고자 한 청소년들은 새로운 세상을 열어갔다.

 

이십년 세월이 흐른 지금은 어떤가?

아키 말대로 잠재력과 가능성을 말하는 자들은 위험해 보인다.

먹히느냐 먹느냐의 게임을 하는 세상이 왔기 때문이다.

돈을 만드는 거대한 체제에서 살아남기 위해 남의 기를 빨아먹는 흡혈귀.

아니면 기가 빨리는 좀비.

흡혈귀도 좀비도 되지 않고 살아가는 것이 쉽지 않은 세상이다.

 

잠재력이 아니라 연약함을 보면서 갈 때가 온 것 같다.

연약함에서 시작하는 사회를 만들어내는 것.

상상의 나래를 펴는 것이 아니라

파상의 시대를 직시하고 버티는 것,

오래 버티다가 비상하는 것.

 

아키가 가까이 있어 다행이다. 

목록 제목 날짜
466 Deserter Pursuit,‘D.P’ 네플릭스 드라마 -폭력 생존자의 세계 2021.09.15
465 또문의 새해, 부지런한 글쓰기 2023.01.14
464 confronting gender binary -젠더의 경계 넘기 2020.07.28
463 호모데우스 시대의 축복 2019.06.19
462 3/28 추천글 쓰기의 기쁨 2022.03.28
461 비판적 작가의 재발견- 오웰의 장미 2022.12.04
460 할머니들의 기후 행동- 동네 공원에서 놀기 2022.02.10
459 장자의 시 2019.05.27
458 5/22 생애전환과 시대 전환 file 2019.11.26
» fragility 연약함에 대해 file 2019.05.07
456 유발 하라리와 오드리 탕의 모험, 비상, 경계를 훌쩍 넘기 2020.07.28
455 < 활짝 웃어라!- 문화인류학자의 북한이야기> 추천사 2019.12.26
454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society 20200208 2020.02.09
453 A green reboot after the pandemic 2020.04.12
452 이바쇼 2019.10.07
451 자기를 지키는 길은 글쓰기 밖에는 없다 2021.02.14
450 5/13일 대학은 COVID 19 국면에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나 file 2020.05.11
449 서울시 온종일 돌봄 실태분석과 정책방안 2020.09.26
448 이코노미스트 기자의 인터뷰 (꼰대) file 2019.05.27
447 정의연, 피해자와 지원자 사이의 갈등 (박노자) 2020.05.31
446 시원 채록희의 영 어덜트 소설! 2020.12.27
445 코로나 19 신인류 시대- 들을 만한 이야기들 2020.04.30
444 영도 지역 문화 도시 지역문화 기록자 과정 file 2020.12.03
443 봉감독, 열정어린 청년기를 보낸다는 것 2019.06.05
442 이 시대 생기발랄한 이들 2020.06.02
441 아이들의 욕 2019.05.27
440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2021.01.01
439 심리학자 김경일 세대론 2020.04.30
438 어딘의 글방- 제목의 중요성 2021.02.16
437 small schools big picture 2020.09.21
436 장선생을 보내며 2021.01.07
435 하자야 고마워! 2019.05.07
434 성평등 관련 인터뷰 (서울 신문) file 2019.08.04
433 소년은 어떤 세상을 만나 어떤 어른이 되는가? 2020.07.14
432 중국의 AI 교육 광풍 소식 2019.08.04
431 제주 유네스크 잡지에 낸 글 2020.12.30
430 최승호 시인의 <말놀이 동시집> 2019.05.27
429 기후 변화 산호의 상태로 보는. 2020.11.30
428 무엇이 우리를 살게 하는가 2020.12.29
427 [세상 읽기] 희망은 없다 / 신영전(한대 의대) 2020.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