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민들레 123호 오월은 푸르구나

조한 2019.06.18 11:52 조회수 : 619

대안교육 격월간지 민들레를 읽다보면 하자 이야기가 종종 나온다. 

청소년 카페 운영진이 되었다는 이 새해의 글,

<바뀌어야 할 것은 우리가 아니라 사회다>  

원주에서 매일 서울을 오가며 하자센터에서 10대 연구소 활동을 한다는 서한울의 글,

<나는 교문 밖에서 민주시민이 되었다>는 제목의 글.

곳곳에 하자 센터가 생기면 좋겠다. 이들이 바람을 잡아서 말이다.

요즘 공공공간이 많이 비어 있다는데 온라인 연결을 하면서 곳곳에 청소년 시민들의 이바쇼가 생겨나면 좋겠다.

 

오랫만에 하승우씨가 "청소년 참여가 정치 생태계'를 바꾼다"는 글을 썼다.

한국의 아동친화 도시는 무엇과 친화할까?

의지가 없지 방법이 없나?

권한이 없지 판단이 없나?

이런 재미난 질문을 던지며 현(미래) 시민을 위해 대표권을 주라고 말한다. 

이 찬승은 '학포자' 대신 '학포당자'라는 말을 쓰자고 한다.

학업 포기를 당한자라는 것이다. 

 

무엇보다 흥미로운 글은 <14년 대안 인생>을 쓴 유연우의 글이다. 

공동육아를 시작으로 비인가, 인가 대안학교를 내내 다닌 열아홉의 그.

마치 다른 길은 없었던 것처럼 살았던 그는 자신은 "말빨로 무장한 답정너"라고 표현한다. 

답정너: 답이 정해져 있으니 너는 대답만 하면 된다.

빈틈없는 학교 철학, 스스로 주관이 생기기 전에 '대안'이라는 길을 갔던 학습자의 자기 회의.

 

'다름'이 모든 것의 답이 되는 대안적인 삶에 갇힌 삶, 

다양성을 존중한다지만 공교육보다 다양하지 못한 사람들이 모여 있는 동네에서 살았다고 생각하는 그가

'대안 소굴'의 소굴인 민들레 출판사를 찾아나섰다.

역사를 기록하고 있는 민들레 출판사가 있어 참 다행이다.

 

민들레 출판사 역시 기울어가는 출판시장에서 힘든 모양이다.

정기 구독을 권하고 싶다.

 

 

목록 제목 날짜
472 Deserter Pursuit,‘D.P’ 네플릭스 드라마 -폭력 생존자의 세계 2021.09.15
471 또문의 새해, 부지런한 글쓰기 2023.01.14
470 confronting gender binary -젠더의 경계 넘기 2020.07.28
469 호모데우스 시대의 축복 2019.06.19
468 3/28 추천글 쓰기의 기쁨 2022.03.28
467 비판적 작가의 재발견- 오웰의 장미 2022.12.04
466 할머니들의 기후 행동- 동네 공원에서 놀기 2022.02.10
465 장자의 시 2019.05.27
464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society 20200208 2020.02.09
463 5/22 생애전환과 시대 전환 file 2019.11.26
462 fragility 연약함에 대해 file 2019.05.07
461 유발 하라리와 오드리 탕의 모험, 비상, 경계를 훌쩍 넘기 2020.07.28
460 A green reboot after the pandemic 2020.04.12
459 이바쇼 2019.10.07
458 < 활짝 웃어라!- 문화인류학자의 북한이야기> 추천사 2019.12.26
457 자기를 지키는 길은 글쓰기 밖에는 없다 2021.02.14
456 5/13일 대학은 COVID 19 국면에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나 file 2020.05.11
455 서울시 온종일 돌봄 실태분석과 정책방안 2020.09.26
454 이코노미스트 기자의 인터뷰 (꼰대) file 2019.05.27
453 정의연, 피해자와 지원자 사이의 갈등 (박노자) 2020.05.31
452 시원 채록희의 영 어덜트 소설! 2020.12.27
451 코로나 19 신인류 시대- 들을 만한 이야기들 2020.04.30
450 small schools big picture 2020.09.21
449 중국의 AI 교육 광풍 소식 2019.08.04
448 이 시대 생기발랄한 이들 2020.06.02
447 영도 지역 문화 도시 지역문화 기록자 과정 file 2020.12.03
446 봉감독, 열정어린 청년기를 보낸다는 것 2019.06.05
445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2021.01.01
444 하자야 고마워! 2019.05.07
443 심리학자 김경일 세대론 2020.04.30
442 장선생을 보내며 2021.01.07
441 아이들의 욕 2019.05.27
440 어딘의 글방- 제목의 중요성 2021.02.16
439 성평등 관련 인터뷰 (서울 신문) file 2019.08.04
438 제주 유네스크 잡지에 낸 글 2020.12.30
437 소년은 어떤 세상을 만나 어떤 어른이 되는가? 2020.07.14
436 최승호 시인의 <말놀이 동시집> 2019.05.27
435 기후 변화 산호의 상태로 보는. 2020.11.30
434 무엇이 우리를 살게 하는가 2020.12.29
433 3차 경기도 기본소득 국제 컨퍼런스 발제문 2021.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