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Deserter Pursuit,‘D.P’ 네플릭스 드라마 -폭력 생존자의 세계

조한 2021.09.15 08:04 조회수 : 61249

넷플릭스 드라마 ‘D.P.’ 여러사람들이 추천을 해서  이틀동안 전편을 몰아서 보았다.

폭력이 기초인 사회, '국가는 폭력의 조직화된 기구'라고 말하던 안소니 기든스의 말이 새삼 떠오른다.

서로를 사냥감으로 만들며 굴러가는 폭력사회,

모두를 폭력 생존자로 만드는 군대, 폭력사회의 민낯을 본다.

돌봄 사회의 회복이 시급하다.

사랑과 돌봄, 우정과 환대, 자율과 공생을 배우고 경험하는 사회복무제로 균형을 잡아가야 한다.   

넷플릭스 ‘D.P.’ 시즌2 만들어질까?

2021.09.06W HOT ISSUE|

군대 부조리, 가혹행위 등 싱크로율 높아 공감

프리랜스 에디터 박한빛누리

  • 사진
    넷플릭스
  • 출처
    W website

D.P.는 육군 헌병대 근무 이탈 체포조라는 뜻이다. 영어로는 Deserter Pursuit의 약자다. ‘D.P’는 이들의 탈영병 추격기를 다룬 드라마다. 2014년 육군 헌병대 부대를 배경으로 안준호 이병(배우 정해인)과 한호열 상병(배우 구교환)의 군 생활과 D.P. 활동을 다룬다.

탈영병들이 부대를 이탈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여러 사연이 있지만 부대 내의 폭력과 가혹행위 등 부조리가 주된 이유다. 넷플릭스에서 지난달 27일 공개된 직후 20대 사이에서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다.

‘D.P.’는 김보통 작가의 웹툰 ‘D.P 개의 날’이 원작이다. 2015 웹툰 플랫폼 레진코믹스에 연재됐던 이 만화는 헌병대의 군무이탈체포조(D.P.)에서 복무한 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만든 작품이다. 김 작가는 이번 드라마의 공동각본가로 참여했다. 여기에 영화 ‘차이나타운’ ‘뺑반’의 한준희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이 작품은 공개 사흘 만인 8월 30일 국내 넷플릭스 인기 순위 1위에 올랐다. 징병제 국가인 태국, 베트남에서도 1위를 기록했고 일본,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화제다. 군 폭력 문제를 수면 위로 드러내준 제작진에게 감사를 표하며 많은 이들이 시즌2도 만들어달라는 반응이다. 과연 시즌2 제작 가능성은 있을까? 주연배우 정해인은 한 인터뷰에서 “작가님과 감독님이 대본을 쓰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귀띔했다.

 
https://www.wkorea.com/2021/09/06/%EB%84%B7%ED%94%8C%EB%A6%AD%EC%8A%A4-d-p-%EC%8B%9C%EC%A6%8C2-%EB%A7%8C%EB%93%A4%EC%96%B4%EC%A7%88%EA%B9%8C/
목록 제목 날짜
» Deserter Pursuit,‘D.P’ 네플릭스 드라마 -폭력 생존자의 세계 2021.09.15
465 또문의 새해, 부지런한 글쓰기 2023.01.14
464 confronting gender binary -젠더의 경계 넘기 2020.07.28
463 호모데우스 시대의 축복 2019.06.19
462 3/28 추천글 쓰기의 기쁨 2022.03.28
461 비판적 작가의 재발견- 오웰의 장미 2022.12.04
460 할머니들의 기후 행동- 동네 공원에서 놀기 2022.02.10
459 장자의 시 2019.05.27
458 5/22 생애전환과 시대 전환 file 2019.11.26
457 fragility 연약함에 대해 file 2019.05.07
456 유발 하라리와 오드리 탕의 모험, 비상, 경계를 훌쩍 넘기 2020.07.28
455 < 활짝 웃어라!- 문화인류학자의 북한이야기> 추천사 2019.12.26
454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society 20200208 2020.02.09
453 A green reboot after the pandemic 2020.04.12
452 이바쇼 2019.10.07
451 자기를 지키는 길은 글쓰기 밖에는 없다 2021.02.14
450 5/13일 대학은 COVID 19 국면에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나 file 2020.05.11
449 서울시 온종일 돌봄 실태분석과 정책방안 2020.09.26
448 이코노미스트 기자의 인터뷰 (꼰대) file 2019.05.27
447 정의연, 피해자와 지원자 사이의 갈등 (박노자) 2020.05.31
446 시원 채록희의 영 어덜트 소설! 2020.12.27
445 코로나 19 신인류 시대- 들을 만한 이야기들 2020.04.30
444 영도 지역 문화 도시 지역문화 기록자 과정 file 2020.12.03
443 봉감독, 열정어린 청년기를 보낸다는 것 2019.06.05
442 이 시대 생기발랄한 이들 2020.06.02
441 아이들의 욕 2019.05.27
440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2021.01.01
439 심리학자 김경일 세대론 2020.04.30
438 어딘의 글방- 제목의 중요성 2021.02.16
437 small schools big picture 2020.09.21
436 장선생을 보내며 2021.01.07
435 하자야 고마워! 2019.05.07
434 성평등 관련 인터뷰 (서울 신문) file 2019.08.04
433 소년은 어떤 세상을 만나 어떤 어른이 되는가? 2020.07.14
432 중국의 AI 교육 광풍 소식 2019.08.04
431 제주 유네스크 잡지에 낸 글 2020.12.30
430 최승호 시인의 <말놀이 동시집> 2019.05.27
429 기후 변화 산호의 상태로 보는. 2020.11.30
428 무엇이 우리를 살게 하는가 2020.12.29
427 [세상 읽기] 희망은 없다 / 신영전(한대 의대) 2020.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