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
[조한혜정의 마을에서]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을 찾아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연세대 명예교수요즘 암울한 생각을 하지 않는 훈련을 하고 있다. 강의 요청이 와도 잘 움직이지 않게 되는데 최근 광주의 한 교사 모임엔 갔다. 학생들이 선생님을 너무 좋아해 황송할 지경이라며 그 현상에 관해 이야기해보고 싶다는 교사들이 모이는 자리였다. 코로나19 사태로 우울해진 분위기를 바꿔보자고 매일 수업 전에 다 같이 부르기로 한 노래가 ‘걱정 말아요, 그대’였다며 교실 분위기가 너무 가라앉는 것을 걱정하는 선생님을 만난 것은 기쁨이었다. 선생님들과 이야기하다보니 교실 붕괴 후 바닥을 친 교실·학교가 팬데믹을 거치면서 새로운 의식이 움트는 시공간이 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둘러보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아이들도 적지 않다. 우리 동네 ‘소년 캠프’ 구성원인 유비는 최근 <동의보감>을 읽기 시작했다. 초등학교 2학년이지만 중학생 수준의 독서를 하는 아이다. 그는 어릴 때 자주 아프고 약골이었는데 그 힘든 시간을 책과 친하게 지내며 버텨냈다고 한다. 2학년 들어 <삼국지>와 <나니아 연대기>를 읽고 요즘은 어른용 <동의보감>을 읽고 있다고 했다. 학교 친구가 한 명도 없을 것 같아 걱정했더니 걱정하지 말라고 했다. 아프면 자기에게 와보라고 했더니 친구들이 많이 찾아온단다. 최근에는 약초 퀴즈를 내기 시작해서 더 인기가 높아졌다고 한다. 사실 유튜브에 들어가면 이런 ‘영재’들의 활약을 보게 된다. 이런 현상을 보고 있노라면 근대 교육이 바탕을 두고 있는 단계별 성장 같은 것은 과학이 아니라 교리였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근대 국가가 만들어낸 체제에 갇혀 우울해하기보다 우주로 통하는 기운을 느끼며 자신을 살리는 아이들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아이들을 살려주는 학교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이런 질문을 던지다 내 눈길이 멈춘 곳은 대만 교육개혁의 장이다. 2017년 말 대만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구축하면서 인공지능(AI) 시대를 살아갈 세대를 키우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 움직임을 주도하는 인물은 시빅 해커의 이력을 가진 디지털 장관 오드리 탕. 그는 8세 때 소프트웨어 개발을 시작했고 중학교를 중퇴했다. 16세에 프로그래밍 스타트업을 창업했고 이후 애플 등 국내외 정보기술(IT) 기업 자문을 맡아 활약했다. 24세에 성전환해서 남녀의 세계 모두를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다. 2016년 35세에 최연소 장관이 된 탕은 취임 후 사무실을 사회혁신 실험실로 꾸미고 삶의 현장 곳곳을 암행어사처럼 다니며 필요한 개혁을 이루어내는 동시에 정부 보고서 등을 공개하며 ‘열린 정부’ 운동을 시작했다. 탕 장관은 국가는 창의적 시민 없이는 새로운 정책을 세울 수 없는 체제임을 인식하자고 강조한다. 그래서 정부가 할 일은 국민의 집단지성이 세상을 바꾸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실제 엄청난 성공사례로 세계적 주목을 받은 실시간 마스크 공급지도 앱과 마스크 예약제 도입도 탕 장관이 시민의 활동을 연결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디지털 시대를 사는 아이들에게
팬데믹은 새 기회가 될 텐데…
어떤 방향으로 교실을 바꿀까
대만 ‘천재 장관’ 오드리 탕
그의 혁신성에 눈길이 멈춘다
IQ가 180인 탕 장관은 IQ라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한다. IQ라는 것이 패턴을 알아차리는 능력인데 그 일을 컴퓨터에 시키는 아이들은 이미 IQ 180이라는 것이다. 아이들이 배워야 할 것은 데이터를 직접 생산하고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 생산이라며 디지털 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을 위한 교육의 판을 새로 짜는 대만의 아이들은 얼마나 행운인가? 물론 탕 장관이 이런 개혁을 해낼 수 있었던 배경에는 그의 부처에 관료적 규제에 구속되지 않는 예외적 권한을 주기로 한 차이잉원 정부가 있다. 그 정부는 모든 부처에 서른다섯 살 이하의 젊은 멘토를 두어야 한다는 제도를 시행하는 청년 참여 정부이기도 하다. 한편 대만에서 태어난 탕이 미국의 실리콘밸리로 사라져버리지 않고 국민을 위해 일하게 된 배경에는 대만 시민들이 벌여온 끈질긴 성소수자 운동이 있다. ‘펑 탕’에서 ‘오드리 탕’이 된 그는 남자와 여자, 동성애와 이성애, 장애와 비장애, 사람과 AI 간의 엄격한 이분법을 허물고 개체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질서로 이동하는 시대를 몸으로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차별금지법은 지금 어디쯤에서 멈추어 있을까?
탕 장관의 혁신성은 국경을 넘어 쉽게 공유될 성격의 것이다. 그를 중심으로 교육개혁을 위한 아시아 교육혁신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안 될까? 선행학습 입시 연옥에서 벗어나 생기가 가득한 교실, 소년 유비가 교실의 명의가 되어 ‘21세기 동의보감’을 쓰는 날을 상상하며 오늘 하루 좋은 기운으로 보내보려 한다.
목록 | 제목 | 날짜 | 조회수 |
---|---|---|---|
291 | 오드리 탕 미래 교육 인터뷰 (여시재) | 2020.11.18 | 333 |
290 | [경향의 눈]‘세대주’라는 낡은 기준 | 2020.06.04 | 330 |
289 |
글을 고치다가 골병 들겠다- 민들레 글
![]() | 2020.12.20 | 323 |
288 | 재미난 제주, 파상의 시대의 실험 | 2019.07.04 | 323 |
287 | 유발 하라리 코로나 통찰 | 2020.04.30 | 320 |
286 | 책 읽어주는 여자 쨍쨍 | 2020.07.15 | 320 |
285 | <멸종 저항> 단어가 주는 힘 | 2019.05.18 | 318 |
284 | 어린이날의 다짐 | 2019.05.05 | 318 |
283 | 실기가 아니라 관점과 언어 | 2020.12.30 | 315 |
282 | 초딩 3학년이 음악 시간에 부르려고 준비하는 노래(과나) | 2021.11.12 | 314 |
281 | 라이프 3.0 인문학 사라봉의 실험 | 2019.06.05 | 312 |
280 | 페미니스트 비평 -때론 시원하고 때론 불편한 | 2021.11.04 | 310 |
279 | 하와이 알로하 | 2020.02.05 | 308 |
278 | 기내 영화 다섯편 | 2019.08.18 | 303 |
277 | 좋은 직장은 공부하는 직원들이 많은 곳 | 2019.08.06 | 301 |
276 | 가족 덕에, 가족 탓에- 아기 대신 친족을! | 2021.05.30 | 290 |
275 | 원룸 이웃 - 새로운 공동체의 시작 | 2020.06.02 | 288 |
274 | 추석 연후에 보려는 영화 | 2020.09.28 | 286 |
273 | 찬미 받으소서 | 2020.10.13 | 285 |
» | 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 | 2020.11.30 | 280 |
271 | 좋은 글 채효정 사회 대협약 | 2020.04.26 | 276 |
270 | 장자의 시 | 2019.05.27 | 274 |
269 | confronting gender binary -젠더의 경계 넘기 | 2020.07.28 | 273 |
268 | 동영상 몇개 | 2019.09.20 | 273 |
267 |
2019실패박람회 '지성인과의 대화-강연' 요청의 건
![]() | 2019.07.24 | 273 |
266 | 사람이 사람에게 무릎 꿇는 세상은 (고정희) | 2021.05.12 | 271 |
265 | 방과후 교사의 자리 | 2020.11.30 | 271 |
264 | A green reboot after the pandemic | 2020.04.12 | 262 |
263 |
혼자보기 아까운 풍광 멤모스 레이크
![]() | 2019.07.28 | 258 |
262 | 활, 탐구하는 사람 | 2019.08.18 | 258 |
261 | 남자도 대단히 달라지고 있다. | 2019.08.18 | 258 |
260 |
자유 평화의 생일
![]() | 2019.05.15 | 257 |
259 |
요즘 활과 자주 만난다
![]() | 2019.09.22 | 256 |
258 | 재신론 (리차드 카니) 이방인에 대한 환대와 적대 사이 | 2021.07.30 | 256 |
257 | 중국의 AI 교육 광풍 소식 | 2019.08.04 | 255 |
256 | 아이들에 의한 아이들의 욕 연구소 | 2019.05.30 | 252 |
255 |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좋은 기사 | 2020.02.22 | 252 |
254 | 좋은 소식~ 기후 변화 정부 책임 세계 첫 판결 | 2020.02.21 | 251 |
253 | 신인류 전이수 소년의 일기 | 2021.06.02 | 250 |
252 | Bruno Latour도 의견: 생산자체를 전환 | 2020.05.31 | 2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