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가족 덕에, 가족 탓에- 아기 대신 친족을!

조한 2021.05.30 09:55 조회수 : 382

 

가족 덕에, 가족 탓에

가족의 매력이 불러온 비극 <반사회적 가족>

제1364호
등록 : 2021-05-26 01:40 수정 : 2021-05-26 10:56
  • 페이스북
  • 트위터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외부인을 배제한 작은 가족집단에 몰입하는 것은 그것이 잘 돌아가고 구성원 각자의 요구를 만족시켜줄 동안은 매혹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작고 폐쇄적인 집단은 하나의 함정, 즉 가정의 사생활권과 자율성이라는 관념으로 만들어진 감옥일 수 있다.

 

 

-미셸 바렛·메리 맥킨토시 지음, <반사회적 가족>, 김혜경·배은경 옮김, 나름북스, 118쪽, 2019년

 

 

어릴 때 다리 밑에서 주워왔다는 어른들의 놀림이 사실이었으면 하고 바랐다. 텔레비전에서 본 하얀 앞치마를 두른 엄마, 통닭을 사 들고 퇴근하는 아빠, 친절한 언니 오빠들이 오순도순 사는 다정한 집을 꿈꿨다. 남들은 안 그런데 왜 우리 집만 추레하고 시끄러운지 속상하고 슬펐다. 머리가 굵어지면서 다른 집도 별다르지 않다는 걸 알았다. 다들 비슷하다니 위로가 되면서도 씁쓸했다. ‘가족이란 게 다 그렇지’ 하고 즐거운 나의 집에 대한 기대를 접었다. 그렇게 가족의 환상에서 벗어났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가족이 따스하고 편안한 안식처만은 아니란 사실을 알았다 해서 가족의 통념, 가족이란 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건 아니었다. 막내-딸 역할에 넌더리를 냈으면서도 기꺼이 아내-며느리 되기를 택했고, 이상적인 가족은 없는 줄 알면서도 TV에 나오는 잉꼬부부, 스위트홈을 질투했다. 누가 강요하지 않았는데도 착한 딸, 참한 아내-며느리가 되려 애썼고 그러지 못한 죄책감을 떨치지 못했다.

 

영국의 사회이론가 미셸 바렛과 메리 맥킨토시가 쓴 <반사회적 가족>을 만나지 않았다면 계속 자괴감에 시달리며 나와 가족을 원망했을 것이다. 1982년 처음 출간돼 여섯 차례나 재간행되며 가족 연구의 고전으로 평가받는 이 책에서 두 저자는 ‘가족은 근본적으로 반사회적 제도’라고 천명한다. 혹자는 가정폭력, 아동학대 같은 문제가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가족제도를 싸잡아 반사회적이라 할 수 있냐고 분개하리라. 가족을 부정해서 뭘 어쩌자는 거냐고 눈살을 찌푸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들은 가족을 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가족의 매력에 주목한다. 이상적 가족은 없다고 생각하면서도 가족에 기대는 나 같은 사람을 비웃는 대신, 그건 가족이 어디서도 얻기 힘든 “정서적·경험적 만족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우리 사회가 가족에 부여하는 물질적·이데올로기적 특권을 고려하면 가족에 투자하는 건 합리적인 선택”이라고도 말한다.

 

그럼 무엇이 문제냐? 문제는 다른 투자처가 없다는 것이다. 주식은 수백 수천의 선택지가 있지만, 가족을 유일한 보호처로 삼는 이 사회의 선택에는 다른 대안이 없다. 남(아버지-생계부양자)과 여(어머니-양육담당자)의 성별 분업과 혈연에 기초한 가족을 ‘자연적·평균적인 것’으로 절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이런 가족을 이루지 못한 사람은 달리 갈 데가 없다.

 

저자들에 따르면, 가족은 돌봄의 주된 행위자지만 가족이 돌봄을 독점하면서 다른 형태의 돌봄을 수행하기는 어려워졌고, 가족은 공유의 단위지만 그들만의 공유를 주장하면서 다른 관계는 돈만이 목적인 관계가 되었다. 또한 가족 간 친밀성에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면서 바깥세상은 차가운 것, 친구와 이웃은 믿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그리하여 우리는 외로움과 불안에 잠 못 들게 되었으니 이래도 가족이 반사회적 제도가 아니라 할 수 있을까?

 

저자들은 여기서 벗어날 길은 새로운 가족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라고 말한다. 우리는 이미 애정·안정감·친밀성·양육·돌봄 등 가족만이 제공한다고 여겼던 역할과 감정을 다른 장소와 관계에서 얻고 있다. 이런 장소, 이런 관계가 많아질수록 우리는 더 편안하고 사회는 더 안전할 것이다. 가족에 특권을 부여하는 것은 그래, 5월 한 달만 하자.

 

 

김이경 작가
<한겨레21>과 함께
목록 제목 날짜
379 무엇이 우리를 살게 하는가 2020.12.29
378 the prize winner 총명한 여장부 엄마에 대한 영화 2019.07.04
377 그들이 우리는 먹여 살리고 있다 (농촌 이주 노동자) 2020.08.10
376 유럽이 한국으로부터 배울 수 없는 것- 흥미로운 글 2020.04.12
375 일년전 사회학 대회 때 글을 다시 읽게 된다 file 2019.11.26
374 채혜원의 베를린 다이어리- 돌봄 간병 여성이 없다면 우리 사회는 멈춰 있을 것 2020.03.28
373 글을 고치다가 골병 들겠다- 민들레 글 file 2020.12.20
372 <멸종 저항> 단어가 주는 힘 2019.05.18
371 이슬아의 상큼한 글 나눔 2020.04.18
370 [AI가 가져올 미래] 전길남인터뷰와 제페토 할아버지 2019.07.26
369 어린이날의 다짐 2019.05.05
368 오드리 탕 미래 교육 인터뷰 (여시재) 2020.11.18
367 [경향의 눈]‘세대주’라는 낡은 기준 2020.06.04
366 유발 하라리 코로나 통찰 2020.04.30
365 기내 영화 다섯편 2019.08.18
364 confronting gender binary -젠더의 경계 넘기 2020.07.28
363 하와이 알로하 2020.02.05
362 재미난 제주, 파상의 시대의 실험 2019.07.04
361 책 읽어주는 여자 쨍쨍 2020.07.15
360 라이프 3.0 인문학 사라봉의 실험 2019.06.05
359 좋은 직장은 공부하는 직원들이 많은 곳 2019.08.06
358 실기가 아니라 관점과 언어 2020.12.30
357 원룸 이웃 - 새로운 공동체의 시작 2020.06.02
356 사람이 사람에게 무릎 꿇는 세상은 (고정희) 2021.05.12
355 페미니스트 비평 -때론 시원하고 때론 불편한 2021.11.04
354 추석 연후에 보려는 영화 2020.09.28
» 가족 덕에, 가족 탓에- 아기 대신 친족을! 2021.05.30
352 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 2020.11.30
351 좋은 글 채효정 사회 대협약 2020.04.26
350 남자도 대단히 달라지고 있다. 2019.08.18
349 2019실패박람회 '지성인과의 대화-강연' 요청의 건 file 2019.07.24
348 찬미 받으소서 2020.10.13
347 <나의 해방일지> 수다 모임 2022.05.31
346 동영상 몇개 2019.09.20
345 방과후 교사의 자리 2020.11.30
344 혼자보기 아까운 풍광 멤모스 레이크 file 2019.07.28
343 자유 평화의 생일 file 2019.05.15
342 Bruno Latour도 의견: 생산자체를 전환 2020.05.31
341 활, 탐구하는 사람 2019.08.18
340 민들레 123호 오월은 푸르구나 2019.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