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나의 해방일지> 수다 모임

조한 2022.05.31 17:04 조회수 : 610

 

유튜버들의 세계가 펼쳐지고 있다. 

인류학 현장을 구태여 찾아나갈 이유가 없는 시대.

시공간을 넘어서 다양한 생각들을 접하며 배운다. 

 

철학적이고 영적인 삶의 차원을 담아낸 주말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가 주변을 술렁이게 하였다.

또 하나의 문화에서는 19일 수다모임을 하기로 했고

묵상 모임에서도 해방일지 중 기억나는 대사나 장면으로 렉시오 디비나를 하기로 했다.

세상이 '해방일지'를 본 사람과 아닌 사람으로 갈리는 것 같다. ㅎ

 

내 기억에 남는 것들: 

 

주인공 염미정이 어릴 때 신에게 기도할 때 

친구들이 "공부 잘 하게 해달라, 입시 붙게 해달라"는 것이 이해할 수 없었다며

자기는 "왜 내가 여기에 있는가?" 그 질문만 하게 되더라는 장면.

성취, becoming이 아니라 존재 being에 대한 질문하기

 

구씨가 돈 먹고 튄 애인으로부터 돈 받아주겠다고 하자 

"내가 아무리 바보 멍청이 같아도 그냥 두라고.

도와 달라고 하면 그 떄 도와달라고.

얼굴 붉히는 것도 힘든 사람한데 

왜 죽기로 덤비래?"라고 화내는 장면.

죽기로 덤비는데 익숙한 시대를 살아온 사람으로 얼굴 붉히게 된다.

 

헤어지자는 말을 한 구씨가 화 안 나냐고 묻자

"나는 화는 안나. 서운해." 화 안 나냐고 다그치자 

"그런데 화는 안 나. 모르지 나중에 화가 날지"

(상추, 전시장에서 시대 이야기를 하다가

"나는 우울하지는 않아. 그런데 막 화가 나")
 

7초 지속되는 기쁨,

하루 오분간의 설레임이면 살아갈 만 하다는 미정 말.

 

하루에 5분 5분만 숨통 틔어도 살만 하잖아

편의점에 갔을 때 내가 문을 열어주면 "고맙습니다." 하는 학생 때문에 7초 설레고  

아침에 눈 떴을 때 "아 오늘 토요일" 10초 설레고 

그렇게 하루 5분만 채워요.

그게 내가 죽지 않고 사는 법.

 

신회장 

"이 바닥에 있는 놈들 같지 않게 

도박도 안 하고 기집질도 안 하고 딴지도(?) 안 하고 

혼자 조용히 술만 마시는 게 마음에 들어서 여기까지 같이 왔는데 

이제 그 술이 문제야."

 

결국 주인공은 창희가 아닌가 싶다.

부산스럽고 철이 덜 든 것 같지만 한 순간에 영혼의 소리를 듣는다는 본능이 살아 있는 듯한 창희

지금 시대에 필요한, 죽어가는 존재를 위로하는 세계로 들어가는 창희라는 인물이 이쁘다. 

 

"막막해서 어디가서 기도라도 하고 싶은데 갈 곳은 편의점 밖에 없더라. 

내가 그런 놈이야 

내가 있을 자리 귀신같이 알아보는.

할아버지가 갈 때 보내드리고 

엄마 갈 때 보내드리고..."

 

불치병에 걸린 친구의 애인 혁수의 병실에 들러게 된 창희 

불현듯 깨닫게 되는, 자신이 이 자리에 있는 이유  

 

"형, 미안해 괜히 불안하게 해서.

형 나랑 둘이 있자 내가 있어줄게

나 이거 팔자 같다. 근데 난 내가 나은 것 같애

보내드릴 때마다 여기 내가 있어 다행이다 싶었거든

귀신 같이 또 발길이 이리오네 

...

그러니까 형 겁 먹지 말고 편안하게 가

나 여기 있어."

 

삼시 세끼 밥에 참 준비하고

밭일도, 목공일도 돕던 어머니.

죽음으로 해방된 그녀는 대사도 별로 없다. 

서춘희 시인은 기정이라는 인물이 가장 매력적이라고 하던데

그런 낯선 모습과 좀 친해볼까?

이번ㄴ 기회에...

 

각자의 생명력의 원천,

우울하지 않고 화가 난다는 이들과 우울한 이들이,

고정희 시인의 표현처럼 따뜻함이 쓸쓸함과 같이 삶을 이어간다.

목록 제목 날짜
432 Bruno Latour도 의견: 생산자체를 전환 2020.05.31
431 영화가 던져주는 화두 -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2021.06.18
430 초딩 소년들을 위한 영화 2020.11.30
429 [세상 읽기] 희망은 없다 / 신영전(한대 의대) 2020.02.06
428 돌아온 피케티 "사회적 소유, 일시적 소유" 2020.05.28
427 유럽이 한국으로부터 배울 수 없는 것- 흥미로운 글 2020.04.12
426 하와이 알로하 2020.02.05
425 코로나 시대 여성으로 사는 법 (이원진-해러웨이) 2021.05.09
424 그들이 우리는 먹여 살리고 있다 (농촌 이주 노동자) 2020.08.10
423 the prize winner 총명한 여장부 엄마에 대한 영화 2019.07.04
422 채혜원의 베를린 다이어리- 돌봄 간병 여성이 없다면 우리 사회는 멈춰 있을 것 2020.03.28
421 일년전 사회학 대회 때 글을 다시 읽게 된다 file 2019.11.26
420 <멸종 저항> 단어가 주는 힘 2019.05.18
419 이슬아의 상큼한 글 나눔 2020.04.18
418 오드리 탕 미래 교육 인터뷰 (여시재) 2020.11.18
417 [AI가 가져올 미래] 전길남인터뷰와 제페토 할아버지 2019.07.26
416 글을 고치다가 골병 들겠다- 민들레 글 file 2020.12.20
415 어린이날의 다짐 2019.05.05
414 [경향의 눈]‘세대주’라는 낡은 기준 2020.06.04
413 원룸 이웃 - 새로운 공동체의 시작 2020.06.02
412 사람이 사람에게 무릎 꿇는 세상은 (고정희) 2021.05.12
411 유발 하라리 코로나 통찰 2020.04.30
410 AI 관련 책 추천 2020.02.21
409 재미난 제주, 파상의 시대의 실험 2019.07.04
408 추석 연후에 보려는 영화 2020.09.28
407 기내 영화 다섯편 2019.08.18
406 책 읽어주는 여자 쨍쨍 2020.07.15
405 2019실패박람회 '지성인과의 대화-강연' 요청의 건 file 2019.07.24
404 가족 덕에, 가족 탓에- 아기 대신 친족을! 2021.05.30
403 라이프 3.0 인문학 사라봉의 실험 2019.06.05
402 실기가 아니라 관점과 언어 2020.12.30
401 이슬아 편지 - 도통한 그녀들 2020.04.10
400 8월 5일 LA 다섯번째 날 2022.08.05
399 video call fatigue- 실질적 논의들의 시작 2020.05.09
398 좋은 직장은 공부하는 직원들이 많은 곳 2019.08.06
397 방과후 교사의 자리 2020.11.30
396 좋은 글 채효정 사회 대협약 2020.04.26
395 홀가분의 편지-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2020.09.01
394 페미니스트 비평 -때론 시원하고 때론 불편한 2021.11.04
393 혼자보기 아까운 풍광 멤모스 레이크 file 2019.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