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기쁨의 실천 0228 나무 심고 수다 떨고

haejoang@gmail.com 2022.02.28 09:57 조회수 : 164

벌써 2월 말이다.

봄이 왔다.

어제는 오일장에 가서 매화, 금목서, 천리향, 열매 치자, 낑깡나무와 보리수 묘목을 구해서 데려왔다.

이웃들도 다와서 흙과 친하고 있었다.

 

밤에는 철학자 K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영상 카톡 수다를 떨었다.

책으로만 보다 실제로는 처음이다.

그런데 아주 오래된 관계인 듯 수다를 떨었다.

실은 책을 통해 이미 만난 관계.

 

 

헤겔 연구로 시작했는데 들뢰즈의 천개의 고원을 읽고

정신분석과 리좀 등 포스트 모던적 사유를 따라가다가

로지 브라이도티의 포스트 휴먼으로 학위를 하고 저서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요즘 코먼즈를 주제로 작업하고 있다고 한다.

영성, 촌스럽지만 수행 이런 것에 대해서도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오래전 내 책을 읽은 이를 만나면 약간 부담스럽다.

그러나 게의치 않는 편이다.

그는 만나서 정말 기쁘다고 했고

나는 후배를 만나서 정말 좋다고 했다.

 

그는 내가 왜 인류학을 했는지 오래전부터 묻고 싶었다고 했고

인류학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는데 왜 못하는지 답답해했다.

인류학이 한국에 학문으로 뿌리 내리는 과정에서의 문제도 있고

무엇보다 인류학의 핵심은 진화론인데

"인간도 멸종할 수 있는 존재"라는 생각을 받아들이는 것이 쉽지 않는 것 같다고 했다.

기후 위기와 코로나 사태를 겪으며 너무 자연스럽게 멸종의 감각으로 다시 삶의 장을 열어야 하는데 말이다.

진화의 논의를 나름 열심히 펼치는 분은 사회진화론자인 최재천 교수가 아닌가 싶다.

80년대 학생들은 힘들어했지만 90년대 친구들은 잘 알아들었었는데 2010년대 넘어서면서 또 좀 달라졌다.

멸종, 망한다는 것은 너무 자명해서 이야기 되는 것 자체가 싫어서 일 수도 있을 것이고 

그는 진보, 발전에 대한 믿음이 여전히 너무 뿌리 깊다고 했고

한국의 진보정치의 방식, 그 한계도 변증법적 사고방식을 넘어서지 못한 것 때문이 아니겠냐고 했다.

투표는 하기로 했다고 한다.

전쟁의 관점에서 생각한 결론인데 누가에게 할 지는 비밀이라고 했다.

투표로 국민이 된 자부심을 느낀 할머니 같다고 놀렸다.

 

제니 오델의 <아무 것도 하지 않는 법>, 자본주의와 절연하는 것에 대해,

그리고 세라 허디의 모성/상호 이해의 진화적 기원 <어머니,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 했다.

핵심 애증관계로 떠오르고 있는 모녀관계를 그린 김지윤의 <모녀의 세계> 이야기를 하니까 

<레이디 버드>라는 영화를 추천했다.

한국서는 <지랄발광 17세>라는 제목으로 나온 듯.

 

이 이야기는 실은 또문 동인지를 이 주제로 해볼까 해서 내가 떠본 것.

그런데 그녀는 사유할 때 명확히 거리를 두는 편인데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 분석은 그래서 지금은 하지 않을 거라고 했다.

철학하는 사람은 모든 것에 명료한 생각을 말해서 좋다. 

 

그는 내가 요즘 우울하다고 하니까 "그러면 안 돼요" 라고 소리쳤다. 

자신은 보이 그룹의 열렬한 팬이라고 했고 많이 웃는다고 했다.

"많이 웃으세요. 오늘 많이 웃었지요? 많이 웃었지요?"

몇번이나 다짐하는 그 모습을 보면서 영상통화를 마쳤다. 

 

오늘의 기쁨의 실천은 나무 심기와 영상 수다.

 

목록 제목 날짜
324 채혜원의 베를린 다이어리- 돌봄 간병 여성이 없다면 우리 사회는 멈춰 있을 것 2020.03.28
323 좋은 글-"바이러스와 인간, 그리고 권력 2020.04.07
322 저활성 사회 (정근식) 다산포럼 2020.04.07
321 KAIST, 중·고교 ‘온라인 개학’ 지원 나선다 2020.04.07
320 아이를 돌보는 마을살이 file 2020.04.07
319 장애가 장애가 아닌 삼달다방 file 2020.04.07
318 온라인 교육, 준비하지 않은 대학 2020.04.07
317 온라인 개학의 좋은 소식 2020.04.07
316 이슬아 편지 - 도통한 그녀들 2020.04.10
315 유럽이 한국으로부터 배울 수 없는 것- 흥미로운 글 2020.04.12
314 A green reboot after the pandemic 2020.04.12
313 이슬아의 상큼한 글 나눔 2020.04.18
312 좋은 글 채효정 사회 대협약 2020.04.26
311 Coronavirus Live Updates THE CORONAVIRUS CRISIS Pandemic Shutdown Is Speeding Up The Collapse Of Coal 2020.04.27
310 Donald Trump, American Idiot 2020.04.27
309 심리학자 김경일 세대론 2020.04.30
308 코로나 19 신인류 시대- 들을 만한 이야기들 2020.04.30
307 유발 하라리 코로나 통찰 2020.04.30
306 개교하면 온라인 학습과 실공간 학습을 잘 엮어내야 2020.05.08
305 video call fatigue- 실질적 논의들의 시작 2020.05.09
304 책 추천사 -< 월경 : 경계를 넘어 새로운 지도를 그리다> 2020.05.09
303 KBS 시사 기획창 질문지 2020.05.11
302 5/13일 대학은 COVID 19 국면에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나 file 2020.05.11
301 슬기로운 미래 교육 시즌 1 발제문 2020.05.11
300 대면 수업 시작, 혼란은 불가피함 2020.05.12
299 좋은 인터뷰 2020.05.20
298 토마 피케티 글 아주 좋음 2020.05.28
297 두려움의 문화야말로 지금 가장 거대한 바이러스 (반다나 시바) 2020.05.28
296 돌아온 피케티 "사회적 소유, 일시적 소유" 2020.05.28
295 정의연, 피해자와 지원자 사이의 갈등 (박노자) 2020.05.31
294 Bruno Latour도 의견: 생산자체를 전환 2020.05.31
293 원룸 이웃 - 새로운 공동체의 시작 2020.06.02
292 이 시대 생기발랄한 이들 2020.06.02
291 [경향의 눈]‘세대주’라는 낡은 기준 2020.06.04
290 미셸 오바마의 <Becoming> 2020.07.14
289 소년은 어떤 세상을 만나 어떤 어른이 되는가? 2020.07.14
288 책 읽어주는 여자 쨍쨍 2020.07.15
287 flashmob, 인간이 신이고자 했던 '근대'를 마무리 하는 몸짓 2020.07.22
286 confronting gender binary -젠더의 경계 넘기 2020.07.28
285 유발 하라리와 오드리 탕의 모험, 비상, 경계를 훌쩍 넘기 2020.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