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여성의 집단적인 고통체 -톨레 204-207

조한 2023.07.30 00:32 조회수 : 92

여성의 집단적인 고통체

 

집단 차원의 고통체에는 여러 갈래가 있다. 민족, 국가, 인종 모두가 자신들만의 집단 고통체를 가지고 있다. 어떤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더 무거운 고통체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민족, 국가, 인종의 구성원 대부분은 많은 여성이 강렬한 부정적인 감정에 압도당한다.

 

특히 여성 원리에 대한 2천 년 넘게 진행된 억압을 통해 에고는인류의 집단 심리 속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얻는 일이 가능해졌다. 물론 여성에게도 에고가 있지만, 에고는 여성 형태보다는 남성 형태 속에서 더 깊이 뿌리내리고 더 쉽게 성장한다. 여성은 남성보다 생각과 동일화되는 것이 덜하기 때문이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직감력이 생겨나는 생체 지성과 내면의 몸에 더 많이 연결된다. 여성은 남성보다 덜 단단한 껍질에 싸여 있기 때문에 다른 생명 형태들에 대해 더 많이 열려 있고, 더 민감하며, 자연계에 더 많이 맞춰져 있다.

 

지구 행성의 남성 에너지와 여성 에너지의 균형이 깨지지 않았다면 에고의 성장은 훨씬 억제되었을 것이다. 우리는 자연에 전쟁을 선언하지도 않았을 것이고, 자신의 '순수한 있음'으로부터 이토록 완전히 멀어지지도 않았을 것이다.

 

기록이 보존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숫자는 알 수 없지만로마 가톨릭 교회의 '이단 심문'에 의해 약 3백 년 동안 3백만 명내지 5백만 명의 여성이 고문당하고 살해당한 것은 거의 확실하다. 이것은 홀로코스트와 더불어 인류사의 암흑의 장을 채우고있는 사건 중 하나이다. 여성들은 다만 동물을 귀여워하거나, 혼자서 들판과 숲속을 걷거나 약초를 모은 것만으로도 마녀의 낙인이 찍히고, 고문당하고, 화형에 처해졌다. 성스러운 여성성은 악마로 선고받았으며, 인류의 경험으로부터 한 차원 전체가 거의 지위졌다. 이 정도로 폭력적이지는 않지만 그 밖의 문명과 종교에도 이를테면 유대교와 이슬람교, 불교조차 여성적 측면을 억압한 역사가 있다.

 

여성의 지위는 아이 낳는 도구, 남성의 소유물로까지 전락했다. 자기 자신 속의 여성성조차 부정하는 남성들이 세계를 지배했으며 세상은 완전히 균형을 잃었다. 그 후의 것은 인류의 역사가 보여 준다. 이것은 인류의 역사라기보다는 정신이상의 병적 기록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심한 집단적 피해망상증이라고밖에 설명할 수 없는, 여성성에 대한 이러한 두려움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물론 남성일 것이다. 그렇다면 수메르 문명, 이집트 문명, 켈트 문명 등 기독교 이전의 많은 고대 문명들에서는 왜 여성이 존경받고 여성 원리가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존경의 대상이었는가? 갑자기 남성으로 하여금 여성에 대한 위협을 느끼게 만든 것은 무엇인가? 남성 안에서 발전한 에고이다. 에고는 남성이라는 형태를 통해서만 이 행성을 지배할 수 있음을 알고 있었고, 그것을 위해서는 여성을 무력화시켜야만 했다.

 

시간이 가면서 에고는 대부분의 여성까지 점령해 버렸지만 남성의 경우만큼 뿌리 깊은 정도는 아니었다. 현재 우리는 여성성의 억압이 내면에서 진행되는 시대에 살고있다. 많은 여성들도 그 예외는 아니다. 억압된 성스러운 여성성을많은 여성이 감정적 고통으로 느끼고 있다. 그 고통은 출산, 강간,노예화, 고문, 폭력적인 죽음을 통해 수만 년 동안 쌓여 온 고통과 함께 여성들의 고통체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지금 상황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의식의 깨어남을 경험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고, 에고는 인간 마음에 대한 장악력을 잃어 가고 있다. 여성의 경우 에고는 깊이 뿌리내린 적이 결코 없기 때문에 남성보다도 여성에 대한 에고의 장악력이 더 빨리 약해져 가고 있다.

 

 

목록 제목 날짜
83 중딩 모임 이름은 <바람이 불어오는 곳> 2023.04.22
82 황윤 감독의 신작 <수라> 관객이 만드는 시사회 2023.04.22
81 우리 동네 중딩과 함께 놀고 배우고 2023.04.22
80 "챗GPT 사전에 ‘모른다’는 없다" (중앙일보 04292023) 2023.04.30
79 페미니즘 고전 읽기 2023.04.30
78 별꼴 소년들과 함께 할 영화 인문학 2023.05.13
77 세포들에게 감사 2023.05.22
76 나의 페미니즘, 창조적 공동체를 살다/살리 2023.05.24
75 박노해 시, 오늘 살아갈/죽어갈 자리 2023.07.06
74 조민아 <일상과 신비> 저자와의 대화 2023.07.12
73 <안심 협동조합 10년의 수다> 추천의 글 2023.07.14
72 사랑하는 당신에게 (영화)- 상실과 애도에 관한 이야기 2023.07.27
71 올 여름도 멤모스 호수 file 2023.07.27
70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톨레 2023.07.30
» 여성의 집단적인 고통체 -톨레 204-207 2023.07.30
68 국가 민족 인종의 고통체 2023.07.30
67 브런치 북 출판 프로젝트를 보며 2023.07.30
66 친절함, 호혜의 세계를 넓히려면 2023.07.30
65 아이의 고통체-톨레 2023.07.30
64 기내 영화관 4편 2023.07.30
63 기후 책 2023.08.02
62 호수는 그 자리에 그대로 file 2023.08.02
61 고통의 시학 2023.08.02
60 나는 매일 웃는 연습을 합니다. 2023.08.02
59 마을 셔틀 버스 file 2023.08.02
58 마을 음악회 file 2023.08.02
57 산 오르기 보다 peddling board file 2023.08.02
56 프린스턴 대학생 인턴십 file 2023.08.04
55 모니카가 뚝딱 만든 캠프 포스터 file 2023.08.04
54 와스프 지배의 공고화? <위어드> 출간 소식을 접하고 2023.08.06
53 멤모스 레이크 27회 숲 속 록 앤 불르스 2023.08.06
52 Kenny Wayne Shepherd band 2023.08.06
51 차 세대 키울 준비가 된 WUZHEN Internet Conference 2023.08.07
50 휴먼 카인드 2023.08.09
49 게으를 권리 2023.08.10
48 게으를 수 있는 권리 -다시 읽게 되는 2023.08.10
47 임마뉴엘 레비나스 2023.08.14
46 플라톤 아카데미 발표 개요 1.1 2023.08.15
45 9/3 금강스님과 참선 시간 2023.09.10
44 추석에 기원하는 글 2023.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