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문학이라는 사나운 팔자와의 동거

조한 2022.12.04 20:41 조회수 : 110

'발전하는 근대'에 문학을 하는 사람은 주홍글씨를 단 사람들이었다. 

스스로 시대와 불화하는, 시대를 잘못 태어난 불운한 존재로 감지하는 사람들이 시인이 되고 소설가가 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어떤까? 모두가 문학을 하고 싶어한다. 모두가 시대를 잘못 태어났다고 느끼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신(神)이 아픈 날 태어”나 이상 감각을 타고난 존재. 전쟁중에 안네 프랑크는 책을 읽었기에 살아남았다. 피난 버스 속의 우크라이나 소녀도 책을 읽는다.

(한겨레 신문 11월 28일 <피난 버스 소녀 책 읽으면 딴 세상" 도서가 위로를 건넸다.임인택 기자)   한국도서관 사서들도 지금 아이들처럼 아이들이 그리고 쓰기에 집중한 적이 없다고 한다. 아이들이 어른 위로하며 평화의 간절함 키우고 있다 

 

“문학이라는 사나운 팔자”와의 동거

입력
갈수록 자연이 되어가는 여자
갈수록 자연이 되어가는 여자
김상미 지음
문학동네

팔자타령을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이 인생의 비관론자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신세 한탄의 힘으로 스트레스를 방출한 다음 힘겨운 인생길 또 한고비를 넘으려는 사람 아닐까. 다섯 번째 시집 『갈수록 자연이 되어가는 여자』 를 낸 시인 김상미는 “문학이라는 그 사나운 팔자”와 어떻게든 사이 좋게 동거해보려는 사람이다.

시집에 따르면 김상미씨는 “더럽게 춥고, 어둡고, 외롭고, 고달파도”(‘문학이라는 팔자’) “설사 시가 아니라 해도/ 삐뚤삐뚤, 비틀비틀, 넘어지고, 엎어지면서도” (‘시인의 말’) 계속해서 시를 써왔다. 마치 그것만이 문학 하는 팔자, 그 지독한 불운과 화해하는 유일한 방법이 되기라도 하는 것처럼 말이다. 랭보·윤동주 같은 시인들의 문학이 결국 죽음까지 뛰어넘어 지금까지 반짝반짝 빛나지 않느냐는 것이다.

오늘의 김상미 시편이 훗날 문학사에 살아남을지는 누구도 모른다. 다만 “신(神)이 아픈 날 태어”나 어딘가 이상 감각을 타고난(혹은 체득한) 시인의 눈에 비친 우리가 사는 세상 역시 병든 시인, 병든 신 이상으로 병들어 있는 듯하다. ‘살아 있는 시체들의 나라’ 같은 시는 세태 비판시다. ‘제발 잡히지만 말고’ 같은 작품은 속도감이 돋보인다.
 
목록 제목 날짜 조회수
280 애도를 추방하려는 사회- 4.16 재난 인문학 심포지움 (8년전) 2022.11.14 96
279 조민아 컬럼 ghost dance 2022.11.02 93
278 AI 시대 문해력 ppt 수정 file 2022.10.04 126
277 9월 17일 순자 삼춘 한글 공부 file 2022.09.22 101
276 우연성에 몸을 맡기는 것 2022.09.22 113
275 9/18 아침 단상 <신들과 함께 AI와 함께 만물과 함께> 2022.09.18 167
274 AI 시대 아이들 긴 원고 file 2022.09.12 101
273 8월 6일 LA 엿새째 file 2022.08.07 117
272 8월 5일 LA 다섯번째 날 2022.08.05 78
271 8월 4일 LA 네번째날 한국 소식 2022.08.05 84
270 8월 3일 LA 브렌트우드 집의 정원수와 풀들 file 2022.08.05 97
269 8월 2일 천사의 도시 둘쨋날 file 2022.08.05 60
268 8월 1일 LA 둘쨋날 월요일 file 2022.08.04 72
267 다시 천사의 도시 LA 첫쨋날 file 2022.08.04 68
266 맘모스 마지막 날 죄수들의 호수 file 2022.08.04 60
265 ageism '플랜 75' 여고 카톡에 오른 글 2022.08.04 77
264 맘모스 14일째 금요일 록 크릭 대신 루비 레이크 file 2022.08.03 53
263 맘모스 13일째 스키 대신 자전거 file 2022.08.03 51
262 맘모스 12일째 요세미티 행 file 2022.07.29 72
261 맘모스 11일째 트롤리 일주, 그리고 잼 세션 file 2022.07.29 69
260 맘모스 10일째 크리스탈 레이크 file 2022.07.26 77
259 맘모스 9일째 레게 파티 file 2022.07.25 71
258 맘모스 7일째 file 2022.07.23 66
257 맘모스 6일째 file 2022.07.22 85
256 맘모스 5일째 file 2022.07.21 71
255 맘모스 4일째 file 2022.07.21 66
254 맘모스 3일째 타운 트롤리 그리고 오래된 관계 file 2022.07.19 110
253 오늘의 주기도문 2022.07.19 81
252 맘모스 레이크 둘쨋날 file 2022.07.19 70
251 노희경의 기술, 겪어낸 것을 쓰는 삶의 기술 2022.07.19 107
250 맘모스 레이크 첫쨋날 2022.07.18 84
249 아랫목에 버려졌다는 탄생신화 2022.07.18 58
248 오랫만의 기내 극장에서 본 영화 세편 2022.07.13 84
247 발제 제목은 <망가진 행성에서 AI와 같이 살아가기> 정도로 2022.07.13 82
246 제주는 잘 진화해갈까? 제주 출신 지식인의 글 2022.07.13 68
245 해러웨이 관련 좋은 글 2022.07.13 84
244 세옹의 선물 2022.07.06 90
243 영화 세편 2022.06.11 146
242 오늘 아침에 듣는 노래 2022.06.07 115
241 416 시민 대학 2022.06.07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