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 컨퍼런스 발표 초록과 ppt
[제3회 경기도 기본소득 국제컨퍼런스]
요 약 문
[특별연설] [Special Speech]
기본소득과 사회적 모성/영성 - 사냥꾼 세상 넘어 제2의 ‘축의 시대’를 열다
Basic Income and Social Caring & Spirituality
- Opening the Second 'Axial Age' After the Hunter’s Age
조(한)혜정 | Haejoang Cho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
Emeritus Professor,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Yonsei University, Korea
기본소득과 사회적 모성/영성 - 사냥꾼 세상 넘어 제2의 ‘축의 시대’를 열다 Basic Income and Social Caring & Spirituality - Opening the Second 'Axial Age' After the Hunter’s Age |
“일하지 않으면 먹지도 말라”는 명제는 근대를 이끌어온 정언이었다. 그런데 인공지능과 자동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일자리’는 사라지고 돈이 돈을 버는 시대가 왔다. 노동의 종말, 월가 파동, 기후 위기, 초미세먼지, 후쿠시마 핵 사고에 이은 팬데믹 사태 앞에서 인류는 지금 패닉 상태에 있다. 기본소득제는 이 난감한 상황을 풀어내려는 해결책이다. 나는 여기서 성평등의 실현 없이는 이 제도가 실현될 수 없음을 이야기하려고 한다. 철학자 칼 야스퍼스는 [역사의 기원과 목표](1949)에서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까지가 인간 문명 진화의 결정적 시간이라면서 이를 ‘축의 시대’라 불렀다. 농경과 목축 시대가 열리고 부의 축적이 가능해지면서 복잡한 정치체제와 신분제, 그리고 영혼불멸의 피라밋을 짓는 등 완벽한 관념 세계를 창조한 이른바 ‘문명의 시대’가 열렸던 것이다. 이 시기는 노예제와 정복 전쟁 등 인민의 고통과 비참이 극에 달한 시기로 이른바 4대 종교가 출현한 시기이기도 하다. 지금은 그 축의 시대를 거쳐 완성된 문명의 마지막 시간이자 새로운 문명의 시작점이다. 그 문명은 ‘남성인간’이 주도한 역사였다. 새 문명의 기틀이 될 기본소득제도는 따라서 ’탈근대적 post-modern‘ ’탈 남성휴먼적 post-male human‘ 과제이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축의 시대’ 이래 진행되어온 물적 축적과 상호 죽임의 시대에 대한 통찰에서 시작한다. ‘폭력’에 기반한 ‘사냥꾼 세계’를 너머 ‘상생‘에 기반한 ’살림의 세계‘를 회복하는 것, “만물은 서로 적대한다”는 상호 적대 원리가 아니라 ”만물은 서로 돕는다“는 상호 부조 원리가 살아있는 사회를 회복하는 일이다. "He who does not work, neither shall he eat," was a canon which moved the modern era forward. However, the em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tomation took ‘work’ away from us. The mankind went through a lot over the recent years such as the end of labor, the climate change and ultrafine dust level in the atmosphere,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and the Covid-19 pandemic in 2019. Now, the whole world is in panic. Under the circumstance the discussion over the basic income is an attempt to find a way to tackle very fundamental and multifaceted challenges facing us. What I want to suggest here is that the system of basic income could be realized only when gender equality is achieved. Karl Jaspers, a philosopher, wrote that the period between the 9th to 3rd century BC was very decisive for the evolution of civilization, calling it the ‘Axial Age’ in his book [The Origin and Goal of History](1949). The heroes during the period were all ‘male humans’ who built immortal pyramids and created the world of perfect idea in itself. Basic income is a ‘post-modern’ and ‘post- human’ project that could break down this nature- exploitative hunter’s civilization. Scrutinize the ‘Axial Age’ will provide insights for the new beginning of post human civilization. That is to recover a world of compassion and caring which has been cultivated by women of nurture in contrast to a world based on hunters’ violence. How to recover a society where principle of reciprocity where ‘all things in the world helps one another’ is challenge for us who want to realize the basic income system. |
목록 | 제목 | 날짜 | 조회수 |
---|---|---|---|
172 | 호혜의 감각을 키우지 못한 남자의 노년 | 2021.09.13 | 167 |
171 | 돌봄- 영 케어러 | 2021.09.13 | 147 |
170 | 오늘의 메모: 듣기를 명상처럼 -잘 듣기 | 2021.08.29 | 151 |
169 | 정체성의 정치에 대한 논의 | 2021.08.25 | 145 |
168 | 20대 남자와 여자의 거리 | 2021.08.12 | 206 |
167 | 한나 아렌트 정치와 법의 관계 | 2021.08.06 | 159 |
166 | 재신론 (리차드 카니) 이방인에 대한 환대와 적대 사이 | 2021.07.30 | 255 |
165 | 역시 해러웨이 | 2021.07.30 | 205 |
164 | 걸어가는 늑대 갤러리를 다녀오다 | 2021.07.30 | 170 |
163 | 영화가 던져주는 화두 -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 2021.06.18 | 429 |
162 |
후광 학술상 기조 강연 발표 자료
![]() | 2021.06.15 | 235 |
161 | 사랑한다면 이제 바꿔야 할 때다 피케티 | 2021.06.04 | 226 |
160 | 신인류 전이수 소년의 일기 | 2021.06.02 | 248 |
159 | 가족 덕에, 가족 탓에- 아기 대신 친족을! | 2021.05.30 | 289 |
158 | 아파서 살았다 (오창희) | 2021.05.16 | 246 |
157 | 스승의 날, 기쁨의 만남 | 2021.05.16 | 241 |
156 | 사람이 사람에게 무릎 꿇는 세상은 (고정희) | 2021.05.12 | 271 |
155 |
마을 큐레이터 양성 사업 (성북구)
![]() | 2021.05.09 | 207 |
154 | 코로나 시대 여성으로 사는 법 (이원진-해러웨이) | 2021.05.09 | 389 |
» |
기본소득 컨퍼런스 발표 초록과 ppt
![]() | 2021.04.20 | 198 |
152 | 3차 경기도 기본소득 국제 컨퍼런스 발제문 | 2021.04.06 | 415 |
151 | 박노해 반가운 아침 편지 | 2021.04.06 | 246 |
150 | 어딘의 글방- 제목의 중요성 | 2021.02.16 | 449 |
149 | 자기를 지키는 길은 글쓰기 밖에는 없다 | 2021.02.14 | 652 |
148 | 장선생을 보내며 | 2021.01.07 | 437 |
147 |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 2021.01.01 | 440 |
146 | 제주 유네스크 잡지에 낸 글 | 2020.12.30 | 416 |
145 | 실기가 아니라 관점과 언어 | 2020.12.30 | 315 |
144 | 무엇이 우리를 살게 하는가 | 2020.12.29 | 359 |
143 | 시원 채록희의 영 어덜트 소설! | 2020.12.27 | 516 |
142 |
글을 고치다가 골병 들겠다- 민들레 글
![]() | 2020.12.20 | 323 |
141 |
시편 정경일 선생의 글 중
![]() | 2020.12.09 | 185 |
140 |
영도 지역 문화 도시 지역문화 기록자 과정
![]() | 2020.12.03 | 466 |
139 | 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 | 2020.11.30 | 280 |
138 | 방과후 교사의 자리 | 2020.11.30 | 271 |
137 | 기후 변화 산호의 상태로 보는. | 2020.11.30 | 398 |
136 | 초딩 소년들을 위한 영화 | 2020.11.30 | 354 |
135 | 오드리 탕 미래 교육 인터뷰 (여시재) | 2020.11.18 | 333 |
134 |
기후 변화 학교 (표선)
![]() | 2020.11.16 | 179 |
133 | 찬미 받으소서 | 2020.10.13 | 2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