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영화가 던져주는 화두 -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haejoang@gmail.com 2021.06.18 09:57 조회수 : 485

부부중심 핵가족에서 아이가 잘 자랄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일까?

프랑스 부르고뉴에서 와이너리를 하는 두 부부는 근대가 제시한 완벽한 가정을 이룬다.

세 아이를 낳고 그 아이들은 서로 돕고 근면한 어른으로 성장시킨다.

동생을 잘 돌보라며 과하게 무섭게 하는 아버지에 대한 반감을 갖게 되는 것은 큰 아들,

외디푸스 컴플렉스는 여기서 나온 것.

그 아들은 결국 집을 나가고 세계를 떠다니다 사랑하는 여성과 만나 호주에서 와이너르를 연다.

그리고 그 여성과 별거 상태다. 그 여성이 남자를 부담스럽게 생각하기 때문.

실은 때문이라고 할 뚜렷한 이유가 있다기보다 이렇게 근대 부부중심 핵가족은 떨어지게 되어 있다.

 

둘째 딸은 아버지의 극진한 돌봄과 와인 메이커로서의 훈련, 농부로서의 훈련을 기억하고 농장을 이어간다.

셋째 아들은 거부의 딸과 결혼해서 데릴사위가 받는 간섭을 견디다 못해 폭발한다.

 

물려받은 농장, 상속세만 해도 엄청하다.

상속을 받아 지킬 것인가?

그곳에서 자란 농장을 판다니!

 

셋째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들 생각한다.

둘째는 농장을 혼자 경영하는 것이 버겁다. 여자 혼자.

첫째의 아내가 둘째 (시누이) 의 전화를 받고 아들을 데리고 프랑스로 온다.

재결합의 가능성을 보이고 떠난다.

첫째는 호주로 돌아가고 아내는 자신들의 농장 일부를 팔아서 상속세 내는데 보태라고 한다.

해피 엔딩, 

 

그 힘은 포도주를 사랑하는 것 때문?

농장에서의 노동, 그리고 탁월해지는 것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전문성, excellence, 숙련과 점점 향상되는 능력

포도알을 먹어보고 딸 때를 제대로 알아내는 숙련

비가 올 지 안 올 지 점치는 초능력

 

축제, 거의 기도에 가까운 유포리아

영화에 나오는 축제는 유포릭 하다,

청년 노동자들은 마시고 놀기 위해 사는 것 같다.

 

그리고 무엇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많은 어릴 때의 기억들에 대한 미련,

그것들이 사라지면 아무 것도 없는 허망한 인생임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이다.

 

'신'의 자리, 서로 돕는 사람들, collectivity, 그 마을, 그 질서 안에 내가 있음을 확인하는 영화.

 

아담과 이브가 세상을 창조하였다는 신화/교리가 생겨날 즈음부터,

이른바 축의 시대에부터 근대의 씨앗이 심어졌고

지금 그 구약에 나오는 절대 복종의 가족, 노예제가 생겨난 이후

빠르게 발전해온 문명의 붕괴, 해체가 본격화되면서

그 아름다운 포도밭에 사는 이들도 각자 나름의 결핍과 불행에, 외로움에 몸을 떤다. 

 

스스로가 신이 된 존재들이 위태위태하게 이어가는 연결고리를 섬세하게 포착하고 있다. 

 

그리고 상속에 관해

이런 상속자들. 사실상 제 1 세계에는 그나마 있지만 3 세계에는

졸부만 있지 이런 일반 노동자 계급에서 상속자들이 거의 없다.

엥겔스가 생각지 못한 사유재산과 가족의 일면.

프로이트도 잡아내지 못한. 그러나 이제는 분명히 보이는.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상속자임을 알게 되는 사회가 좋은 사회다. 

물적 영적 육체적 상속.

나/우리는 무엇을 누구에게 상속할 것인가?

 

노동과 탁월함, 기도와 축제

 

인류학 개론 시간에 중세의 붕괴와 근대의 태동 관련해서 <빠드로 빠드로네>를 보았는데

지금 다시 한다면 이 영화를 보여보는 것이 좋겠음.

 

목록 제목 날짜
123 그들이 우리는 먹여 살리고 있다 (농촌 이주 노동자) 2020.08.10
122 <위기 시대, 사회적 돌봄과 공간 변화> (DDP 포럼) 2020.08.10
121 경향 컬럼 여가부 관련 2020.08.09
120 유발 하라리와 오드리 탕의 모험, 비상, 경계를 훌쩍 넘기 2020.07.28
119 confronting gender binary -젠더의 경계 넘기 2020.07.28
118 flashmob, 인간이 신이고자 했던 '근대'를 마무리 하는 몸짓 2020.07.22
117 책 읽어주는 여자 쨍쨍 2020.07.15
116 소년은 어떤 세상을 만나 어떤 어른이 되는가? 2020.07.14
115 미셸 오바마의 <Becoming> 2020.07.14
114 [경향의 눈]‘세대주’라는 낡은 기준 2020.06.04
113 이 시대 생기발랄한 이들 2020.06.02
112 원룸 이웃 - 새로운 공동체의 시작 2020.06.02
111 Bruno Latour도 의견: 생산자체를 전환 2020.05.31
110 정의연, 피해자와 지원자 사이의 갈등 (박노자) 2020.05.31
109 돌아온 피케티 "사회적 소유, 일시적 소유" 2020.05.28
108 두려움의 문화야말로 지금 가장 거대한 바이러스 (반다나 시바) 2020.05.28
107 토마 피케티 글 아주 좋음 2020.05.28
106 좋은 인터뷰 2020.05.20
105 대면 수업 시작, 혼란은 불가피함 2020.05.12
104 슬기로운 미래 교육 시즌 1 발제문 2020.05.11
103 5/13일 대학은 COVID 19 국면에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나 file 2020.05.11
102 KBS 시사 기획창 질문지 2020.05.11
101 책 추천사 -< 월경 : 경계를 넘어 새로운 지도를 그리다> 2020.05.09
100 video call fatigue- 실질적 논의들의 시작 2020.05.09
99 개교하면 온라인 학습과 실공간 학습을 잘 엮어내야 2020.05.08
98 유발 하라리 코로나 통찰 2020.04.30
97 코로나 19 신인류 시대- 들을 만한 이야기들 2020.04.30
96 심리학자 김경일 세대론 2020.04.30
95 Donald Trump, American Idiot 2020.04.27
94 Coronavirus Live Updates THE CORONAVIRUS CRISIS Pandemic Shutdown Is Speeding Up The Collapse Of Coal 2020.04.27
93 좋은 글 채효정 사회 대협약 2020.04.26
92 이슬아의 상큼한 글 나눔 2020.04.18
91 A green reboot after the pandemic 2020.04.12
90 유럽이 한국으로부터 배울 수 없는 것- 흥미로운 글 2020.04.12
89 이슬아 편지 - 도통한 그녀들 2020.04.10
88 온라인 개학의 좋은 소식 2020.04.07
87 온라인 교육, 준비하지 않은 대학 2020.04.07
86 장애가 장애가 아닌 삼달다방 file 2020.04.07
85 아이를 돌보는 마을살이 file 2020.04.07
84 KAIST, 중·고교 ‘온라인 개학’ 지원 나선다 2020.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