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모둠 강좌: 지속가능한 발전> 강의계획서
<관악모둠 강좌: 지속가능한 발전> 강의계획서
교과목 번호 | 강좌 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강의시간 | 강의실 | 담당교수 | |
직명 | 성명 | ||||||
009.005 | 004 | 지속가능한 발전 | 3 | 금요일 2.3.4교시 | 환경대학원 103호실 | 교수 부교수 | 윤순진(환경대학원) |
1.수업목표 | 이 강좌는 21세기 최대 화두인 지속가능한 발전의 기본 개념을 역사적 형성 과정을 통해 이해하고 사회 각 영역에 걸쳐 지속가능한 발전 이념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2. 교재 및 참고서 | 문태훈 외. 2008. 『지속가능한 사회이야기』 법문사 에코포럼. 2006. 『지속가능발전』 동국대학교 생태적연구센터 생태학 총서 3. 정대연 외 편. 2003. 『환경과 지속가능한 발전』 제주대학교 출판부. 강의 교수들이 제공하는 읽을거리 | ||||||
3. 강의일정과 내용
I. 도입부 (introduction)
1주(9/7): 성장의 한계와 지속가능발전(환경대학원 윤순진 교수) - 왜 지속가능한 발전인가? 녹색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은 어떤 관계인가?
2주(9/14): 한국의 지속불가능성과 지속가능한 발전(환경대학원 김정욱 명예교수) - 한국사회, 지속가능한가?
II. 지속가능한 발전의 실재와 실천과제
3주(9/21): 기후변화와 에너지, 지속가능한 발전(환경대학원 윤순진 교수) - 기후변화와 고유가 시대,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무엇인가?
4주(9/28): 지속가능한 도시(환경대학원 양병이 교수) - 도시는 지속가능한가? 도시는 어떻게 지속가능할 수 있을까?
5주(10/5): 서울의 지속가능한 미래 만들기(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창현 원장) - 서울의 미래는 어떻게 지속가능해질 수 있을까?
6주(10/12): 지속가능한 농업?농촌(고려대학교 김철규 교수) - 농촌?농업?농민의 지속가능한 미래는 어떻게 이룰 수 있을까?
7주(10/19): 지속가능경영과 사회적 책임투자(서스틴베스트 류영재 대표) - 지속가능경영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가능한가? 지속가능경영 사례는? 사회적 책임투자는 무엇이며 어떻게 확장될 수 있을까? |
8주(10/26): 지속가능한 경제발전과 지속가능한 행복(인천발전연구원 조승헌 연구위원) - 우리는 행복한가? 행복을 가져다주는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무엇인가?
9주(11/2): 지속가능한 발전과 창의적 공유지, 사회적 기업(연세대학교 조한혜정 교수) - 사회적 기업이란 무엇인가? 사회적 기업 확대로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할까? 사회적 기업이 확대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하자센터 견학과 현장 강연
10주(11/9): 지속가능한 사회와 폐기물 및 화학물질(환경대학원 이동수 교수) - 늘어나는 폐기물과 화학물질, 어떻게 지속가능하게 관리할 수 있을까?
11주(11/16): 지속가능한 발전과 법, 법률가의 역할(민변 김영희 변호사) - 지속가능한 발전을 법과 법률가의 역할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사회갈등은 어떻게 해결되어야 할까?
12주(11/23): 지속가능한 발전과 언론의 역할(박수택 SBS 논설위원)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언론의 역할은 무엇일까?
13주(11/30): 지속가능한 거래와 소비(한국공정무역연합 박창순 대표) - 공정무역과 착한 소비란 무엇인가? 어떤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가?
14주(12/7):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시민의 역할(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소장) -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시민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15주(12/14): 지속가능한 발전을 소재로 한 조별 프로젝트 결과 발표 |
4. 수강자 참고사항: 모든 단과대의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강의는 서울대내 교수들만이 아니라 타대학 교수 및 각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과 기량을 가진 분들, 시민단체 지도자들, 기업체 근무자들 등 외부 강사진들까지 참여하여 릴레이 형식으로 담당하게 된다. |
5. 성적평가방법: 1) S/U: 출석과 과제물 제출을 바탕으로 A, B 등 등급부여 없이 S(satisfactory)와 U(unsatisfactory)만을 부여한다. 2) 출석이 총 수업일의 3/4이 되지 않을 경우 S를 부여하지 않는다. 3) 13개의 주제 중 최소 4개의 주제에 대해 에세이를 작성하여 제출하고 나머지 강좌에 대해서는 강의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짧게 요약하여 15주차에 제출한다.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S를 부여하지 않는다. 4) 5명 이상의 인원으로 구성한 조를 정하여 지속가능한 SNU를 포함해서 사회나 세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무엇인지 쟁점을 발굴하여 현황을 조사하고 해결방안을 제안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15주차에 발표한다. |
목록 | 제목 | 날짜 | 조회수 |
---|---|---|---|
교실 공동체 프롤로그 | 2010.11.11 | 39932 | |
이론과 실천 프롤로그 | 2010.11.11 | 15537 | |
3314 | 중국 개미족 | 2010.12.10 | 4232 |
3313 | 2003년 2학기 <문화기술지> | 2010.05.13 | 4222 |
3312 |
가족 사회학 (유계숙)
![]() | 2010.05.13 | 4213 |
3311 | globish | 2010.05.14 | 4209 |
3310 | Tamara Draut 빈털털이 세대 | 2011.11.12 | 4203 |
3309 | school in and out (Sobo) | 2012.08.08 | 4182 |
» | <관악모둠 강좌: 지속가능한 발전> 강의계획서 | 2012.08.26 | 4172 |
3307 |
영어 이야기로 자기 소개(1절)
![]() | 2010.05.13 | 4143 |
3306 | 리아의 나라 몽족, 월북 출판사 소개 | 2010.11.04 | 4111 |
3305 | 네안데르탈인과 크로마뇽인 | 2011.09.22 | 4094 |
3304 |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 그 이후>
![]() | 2011.04.07 | 4086 |
3303 | 2001년 2학기 <문화와 성 연구 워크샵> | 2010.05.13 | 4075 |
3302 | 사회적으로 태어나 본 적이 없는 존재 (최은주) | 2010.05.14 | 4074 |
3301 | 2002년 2학기 <대중문화연구> | 2010.05.13 | 4045 |
3300 |
2 다문화 시대 바이링귀얼 bilingual 되기
![]() | 2010.05.14 | 4039 |
3299 | 김현경, 피로 사회 서평 | 2012.04.20 | 4037 |
3298 |
뉴멕시코 탐방 1
![]() | 2010.11.04 | 4028 |
3297 | 2013 youtube | 2012.09.20 | 4025 |
3296 | 일상적 삶의 상징, 그 문화적 각본은 바뀌고 있는가? | 2010.05.14 | 4022 |
3295 |
교실이 돌아왔다 서평 (엄기호)
![]() | 2010.05.14 | 4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