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톨레

haejoang@gmail.com 2023.07.30 00:14 조회수 : 14

에고로부터 자유로와지는 순간,

그 순간 속에서 삶에 살아갈 가치를 주는 평화와 기쁨, 생명력을 길어올리는 사람들,

하나의 종 species, 한 생명체로서 존재함을 느끼게 하는 톨레의 책, 특히 '고통체'에 관한 부분.

 

인간은 오래된 기억을 지속시키기 때문에거의 모든 사람이 오래된감정적 고통의 축적물을 지니고 있다.나는 이것을 '고통체'라고 부른다.이미 가지고 있는 그 고통체에새로운 고통을 추가하는 것은 멈출 수 있다. 이 행성의 악의 가해자는 오직 하나이다. 바로 인간의 무의식이다. 

 

"수천 년 동안 인류는 점점 더 마음에 소유당하게 되었고, 자신을 소유한 그것이 '자아가 아님을 알아차리는 데 실패해 왔다. 마음과 완전히 동일화됨으로써 허구의 자아의식, 즉 에고가 존재하게 되었다. 에고의 단단함은 당신, 즉 의식이 마음, 즉 생각과 어느정도 동일화되어 있는가에 달려 있다. 그러나 생각은 의식, 즉 당신이라는 전체의 극히 작은 측면에 지나지 않는다.

 

 

마음과 동일화되는 정도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매우 짧은 시간일지라도 에고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순간이 있으며, 그 순간 속에서 삶에 살아갈 가치를 주는 평화와 기쁨, 생명력을 체험하는 사람들도 있다. 창조성과 사랑, 자비의 마음이 일어나는 것도 그런순간이다. 반면에 늘 에고가 지배하는 상태에 갇혀 있는 사람도있다. 그런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 주변 세계뿐 아니라 자기 자신으로부터도 멀어져 있다. 그런 사람을 보면 얼굴에 긴장감이 있고, 아마도 찡그린 이마일 것이며, 시선이 공허하거나 노려보는 눈빛일 것이다. 모든 관심이 생각에 흡수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당신을 보고 있지 않으며 당신의 말을 듣고 있지도 않다. 그 사람들은 어떤 상황에서도 현재의 순간에 있지 않는다. 과거나 미래에 관심이 가 있다. 물론 과거나 미래라는 것도 그들의 마음속에 생각 형태로만 존재할 뿐이다. 아니면 그들은 실제의 자신으로서 관계 맺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연기하는 어떤 종류의 역할을 통해 당신과 관계 맺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정한 자기 자신으로부터 멀어져 있으며, 그중에는 행동과 상호작용이 거의 모든 사람이 '가짜'임을 알아차릴 수 있는 정도로 멀어진 사람들도 있다. 다만 똑같이 가짜이고 똑같이 자기 자신으로부터 멀어진 사람들은 알아차리지 못할 뿐이다. 자기 자신으로부터 멀어진다는 것은 어떤 상황, 어떤 장소, 또는 어떤 사람과도, 심지어는 자신에 대해서조차 편안함을 느끼지 못함을 의미한다. 언제나 ''에 돌아가고 싶어 하지만 그 어디도 집이 아니다. 20세기의 위대한 작가들 중에는 프란츠 카프카, 알베르 카뮈, T. S. 엘리엇, 제임스 조이스처럼 이 소외라는 것이 인간 존재의 보편적인 딜레마임을 알아차린 사람들이 있다. 아마도 그들은 자신들 내면에서도 깊은 소외감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훌륭하게 작품 속에 표현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그들의 업적은 우리가 더 분명히 알 수 있도록 인간이 처한 곤경을 묘사해 보인 것이다. 자신이 처한 곤경을 분명하게 보는 것이 그것을 뛰어넘는 첫걸음이다."

 

 

5장 고통체 최고의 예술은 과거를 내려놓는 것, 중에서 

에크하르트 톨레 Eckhart Tolle: A New Earth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류시화 옮김) 177-179

 

 

 

 

목록 제목 날짜
322 어린이 선흘 마을 예술 학교 4/17-5/3 월수금 2023.03.31
321 AI 실험을 잠시 멈추자는 공개서한 2023.03.31
320 탐라 도서관 강의 file 2023.03.24
319 연대 치대 강의 ppt file 2023.03.14
318 부산 건강마을센터 강의 ppt file 2023.03.14
317 정경일 선생의 사회적 영성 탐구 2023.03.02
316 discontent of democracy 추천의 글 file 2023.03.01
315 정당성 위기에서 재정 위기로 2023.02.24
314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는 동행 가능한가 -슈트렉 서평 2023.02.24
313 책소개 금융자본주의의 폭력 2023.02.24
312 수주 박형규 목사 탈춤 예수전 file 2023.02.11
311 2월 번개 영화관 <안녕, 소중한 사람> 2023.02.11
310 상큼한 컬럼 하나 <상냥함에 물들기> 2023.02.10
309 탐라도서관 3월 강의 주제 2023.02.01
308 10세 두명을 위한 인문학 실험 교실 file 2023.02.01
307 3주간 그린 그림 정리 file 2023.02.01
306 작심 3일로 끝난 일기, M의 일기로 대체 2023.02.01
305 1월 23일 2023.01.24
304 1월 21 토, 22 일 2023.01.24
303 16일에서 20일 2023.01.24
302 사피엔스 캠프 2- 소년의 성년 file 2023.01.20
301 한강의 <작별> 2023.01.19
300 권력과 사랑에 대하여 -조민아 책에서 2023.01.18
299 코올리나 13에서 15일 2023.01.16
298 코올리나 일지 둘쨋날 2023.01.15
297 글방 전성시대 (어딘 김현아) file 2023.01.14
296 또문의 새해, 부지런한 글쓰기 2023.01.14
295 답신 조한 2023.01.14
294 또문 1월 편지 2023.01.14
293 Dall-e가 그린 시니어 페미니스트 그림 2023.01.14
292 오랫만에 여행 일지를 쓰다 2023.01.13
291 사피엔스 캠프 1 :마음을 찾아 file 2022.12.22
290 부산건강 마을센터 성과공유회 file 2022.12.12
289 문학이라는 사나운 팔자와의 동거 2022.12.04
288 비판적 작가의 재발견- 오웰의 장미 2022.12.04
287 존엄사에 관한 영화- 잘 죽는다는 것 2022.12.01
286 도서관 연합회 길위의 인문학 마무리 특강 file 2022.12.01
285 부산 마을건강센터 file 2022.11.23
284 11월 번개 영화관 2022.11.19
283 8년이 지난 세월호 이야기 file 2022.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