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톨레

haejoang@gmail.com 2023.07.30 00:14 조회수 : 220

에고로부터 자유로와지는 순간,

그 순간 속에서 삶에 살아갈 가치를 주는 평화와 기쁨, 생명력을 길어올리는 사람들,

하나의 종 species, 한 생명체로서 존재함을 느끼게 하는 톨레의 책, 특히 '고통체'에 관한 부분.

 

인간은 오래된 기억을 지속시키기 때문에거의 모든 사람이 오래된감정적 고통의 축적물을 지니고 있다.나는 이것을 '고통체'라고 부른다.이미 가지고 있는 그 고통체에새로운 고통을 추가하는 것은 멈출 수 있다. 이 행성의 악의 가해자는 오직 하나이다. 바로 인간의 무의식이다. 

 

"수천 년 동안 인류는 점점 더 마음에 소유당하게 되었고, 자신을 소유한 그것이 '자아가 아님을 알아차리는 데 실패해 왔다. 마음과 완전히 동일화됨으로써 허구의 자아의식, 즉 에고가 존재하게 되었다. 에고의 단단함은 당신, 즉 의식이 마음, 즉 생각과 어느정도 동일화되어 있는가에 달려 있다. 그러나 생각은 의식, 즉 당신이라는 전체의 극히 작은 측면에 지나지 않는다.

 

 

마음과 동일화되는 정도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매우 짧은 시간일지라도 에고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순간이 있으며, 그 순간 속에서 삶에 살아갈 가치를 주는 평화와 기쁨, 생명력을 체험하는 사람들도 있다. 창조성과 사랑, 자비의 마음이 일어나는 것도 그런순간이다. 반면에 늘 에고가 지배하는 상태에 갇혀 있는 사람도있다. 그런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 주변 세계뿐 아니라 자기 자신으로부터도 멀어져 있다. 그런 사람을 보면 얼굴에 긴장감이 있고, 아마도 찡그린 이마일 것이며, 시선이 공허하거나 노려보는 눈빛일 것이다. 모든 관심이 생각에 흡수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당신을 보고 있지 않으며 당신의 말을 듣고 있지도 않다. 그 사람들은 어떤 상황에서도 현재의 순간에 있지 않는다. 과거나 미래에 관심이 가 있다. 물론 과거나 미래라는 것도 그들의 마음속에 생각 형태로만 존재할 뿐이다. 아니면 그들은 실제의 자신으로서 관계 맺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연기하는 어떤 종류의 역할을 통해 당신과 관계 맺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정한 자기 자신으로부터 멀어져 있으며, 그중에는 행동과 상호작용이 거의 모든 사람이 '가짜'임을 알아차릴 수 있는 정도로 멀어진 사람들도 있다. 다만 똑같이 가짜이고 똑같이 자기 자신으로부터 멀어진 사람들은 알아차리지 못할 뿐이다. 자기 자신으로부터 멀어진다는 것은 어떤 상황, 어떤 장소, 또는 어떤 사람과도, 심지어는 자신에 대해서조차 편안함을 느끼지 못함을 의미한다. 언제나 ''에 돌아가고 싶어 하지만 그 어디도 집이 아니다. 20세기의 위대한 작가들 중에는 프란츠 카프카, 알베르 카뮈, T. S. 엘리엇, 제임스 조이스처럼 이 소외라는 것이 인간 존재의 보편적인 딜레마임을 알아차린 사람들이 있다. 아마도 그들은 자신들 내면에서도 깊은 소외감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훌륭하게 작품 속에 표현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그들의 업적은 우리가 더 분명히 알 수 있도록 인간이 처한 곤경을 묘사해 보인 것이다. 자신이 처한 곤경을 분명하게 보는 것이 그것을 뛰어넘는 첫걸음이다."

 

 

5장 고통체 최고의 예술은 과거를 내려놓는 것, 중에서 

에크하르트 톨레 Eckhart Tolle: A New Earth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류시화 옮김) 177-179

 

 

 

 

목록 제목 날짜
146 제주 유네스크 잡지에 낸 글 2020.12.30
145 실기가 아니라 관점과 언어 2020.12.30
144 무엇이 우리를 살게 하는가 2020.12.29
143 시원 채록희의 영 어덜트 소설! 2020.12.27
142 글을 고치다가 골병 들겠다- 민들레 글 file 2020.12.20
141 시편 정경일 선생의 글 중 file 2020.12.09
140 영도 지역 문화 도시 지역문화 기록자 과정 file 2020.12.03
139 새 기술과 의식이 만나는 비상의 시간 2020.11.30
138 방과후 교사의 자리 2020.11.30
137 기후 변화 산호의 상태로 보는. 2020.11.30
136 초딩 소년들을 위한 영화 2020.11.30
135 오드리 탕 미래 교육 인터뷰 (여시재) 2020.11.18
134 기후 변화 학교 (표선) file 2020.11.16
133 찬미 받으소서 2020.10.13
132 Ready For More Sherlockian Adventures? 2020.10.03
131 광명 자치 대학 개강 특강 file 2020.09.28
130 추석 연후에 보려는 영화 2020.09.28
129 서울시 온종일 돌봄 실태분석과 정책방안 2020.09.26
128 대한민국 살기좋은 나라.... 2020.09.25
127 small schools big picture 2020.09.21
126 2020 하자 창의 서밋에 2020.09.08
125 홀가분의 편지-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2020.09.01
124 DDP 디자인 박물관 기념 강의 발표자료 file 2020.08.15
123 그들이 우리는 먹여 살리고 있다 (농촌 이주 노동자) 2020.08.10
122 <위기 시대, 사회적 돌봄과 공간 변화> (DDP 포럼) 2020.08.10
121 경향 컬럼 여가부 관련 2020.08.09
120 유발 하라리와 오드리 탕의 모험, 비상, 경계를 훌쩍 넘기 2020.07.28
119 confronting gender binary -젠더의 경계 넘기 2020.07.28
118 flashmob, 인간이 신이고자 했던 '근대'를 마무리 하는 몸짓 2020.07.22
117 책 읽어주는 여자 쨍쨍 2020.07.15
116 소년은 어떤 세상을 만나 어떤 어른이 되는가? 2020.07.14
115 미셸 오바마의 <Becoming> 2020.07.14
114 [경향의 눈]‘세대주’라는 낡은 기준 2020.06.04
113 이 시대 생기발랄한 이들 2020.06.02
112 원룸 이웃 - 새로운 공동체의 시작 2020.06.02
111 Bruno Latour도 의견: 생산자체를 전환 2020.05.31
110 정의연, 피해자와 지원자 사이의 갈등 (박노자) 2020.05.31
109 돌아온 피케티 "사회적 소유, 일시적 소유" 2020.05.28
108 두려움의 문화야말로 지금 가장 거대한 바이러스 (반다나 시바) 2020.05.28
107 토마 피케티 글 아주 좋음 2020.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