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국가 민족 인종의 고통체

조한 2023.07.30 00:34 조회수 : 190

국가와 인종의 고통체

 

유난히 많은 집단적 폭력으로 고통받았거나 폭력을 저지른 국가들은 다른 국가들보다 더 무거운 고통체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역사가 오래된 나라일수록 더 강한 고통체를 갖는 경향이 강하다. 캐나다나 호주 같은 신생 국가들, 주변의 광기로부터 비교적격리되어 온 스위스 같은 나라에서는 집단 고통체가 더 가벼운 이유도 거기에 있다. 물론 그 나라들에서도 사람들은 여전히 개인적인 고통체를 끌어안고 살아간다.

 

만약 당신이 충분히 예민하다면, 특정 나라들에서 비행기에서내리자마자 무거운 에너지 장을 느낄 것이다. 또한 일상의 표면 바로 아래에 잠복해 있는 폭력의 에너지 장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동의 몇몇 국가들은 집단 고통체가 너무 심각해서 인구의 상당수가 그것을 가해와 복수라는 광기 어린 악순환으로 행동화하지 않을 수 없고, 그 악순환을 통해 고통체는 계속해서 자신을 되살린다.

 

고통체가 무겁긴 하지만 더 이상 심각하지는 않은 국가들에서는 사람들이 집단의 감정적 고통에 둔감해지려고 시도하는 경향이 있다. 독일과 일본에서는 일을 통해, 또한 몇몇 나라에서는 광범위하게 퍼진 알코올 탐닉을 통해-너무 많이 마시면 알코올이고통체를 자극해 역효과를 나타내지만-고통에 둔감해지려고 한다. 중국의 무거운 고통체는 널리 확산된 태극권 운동에 의해 어느 정도 줄어들었다. 무엇이든 자신들의 통제권 밖에 있는 것에는위협을 느껴 법률로 금지하는 공산당 정부도 놀랍게도 태극권만은 금지시키지 않았다. 그래서 매일 거리와 도시의 공원에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이 기수련으로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있다. 이것은 집단적인 에너지 장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고, 생각을 줄이고 '현존' 능력을 키움으로써 고통체를 줄어들게 하는 쪽으로 나아간다.

 

태극권, 기공, 요가 등 몸을 이용한 영적 수행은 서구 세계에도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수행들은 몸과 영혼을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체를 약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이 수행들은 지구 전체의 깨어남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인종이 가진 집단 고통체는 특히 몇 세기 동안 박해로 고통받아 온 유대인들에게 두드러진다. 또한 놀랄 일도 아니지만, 유럽 식민 지배자들에게 대규모로 살해당해 문화가 파괴된 아메리카 원주민에게도 그것이 강하다. 미국 흑인에게서도 집단 고통체가 뚜렷하다. 그들의 선조는 폭력에 의해 고향에서 쫓겨나고, 복종하도록 매를 맞고, 노예로 팔려 나갔다. 미국 경제 번영의 기반은 4,5백만 명에 이르는 흑인 노예들의 노동에 의해 만들어졌다. 또한 아메리카 원주민들과 흑인들의 고통은 이 두 인종에만 한정되지 않고 아메리카 인들의 집단 고통체가 되었다. 모든 폭력, 억압, 잔학한 행동의 결과는 언제나 피해자와 가해자 양쪽 모두에게 미친다. 다른 사람에게 행하는 것은 자기 자신에게 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당신의 고통체의 어느 정도가 국가와 인종의 것이고 어느 정도가 개인적인 것인가는 사실 중요하지 않다. 어느 쪽이든 현재 자신의 내면 상태에 스스로 책임을 지는 것에 의해서만 그 고통체너머로 갈 수 있다. 남에게 책임을 묻는 것이 정당한 상황에서도 남을 비난하는 한, 당신은 자신의 생각으로 고통체에게 계속 먹이를 주면서 에고에 갇혀 있을 수밖에 없다. 이 행성의 악의 가해자는 오직 하나이다. 바로 인간의 무의식이다. 그 깨달음이 진정한 용서이다. 용서와 함께, 당신의 피해자 정체성은 소멸되고 진정한 힘이 나타난다. '현존'의 힘이 어둠을 비난하는 대신, 당신은 빛을 가져온 것이다.

 

207-210

 

 

목록 제목 날짜
179 고정희 시선 초판본 (이은정 역음, 2012) 2021.10.19
178 저신뢰 사회 (이상원 기자, 이진우) 2021.10.19
177 지구 온도 1.5℃ 상승해도 되돌릴 기회 있다 (이오성) 2021.10.19
176 군대 휴가 나온 청년과 fiddler on the roof (볍씨 마을 일기 20210923) 2021.09.23
175 사티쉬 쿠마르- 세상은 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것 2021.09.15
174 Deserter Pursuit,‘D.P’ 네플릭스 드라마 -폭력 생존자의 세계 2021.09.15
173 요가 소년이 아침을 깨우다 2021.09.15
172 호혜의 감각을 키우지 못한 남자의 노년 2021.09.13
171 돌봄- 영 케어러 2021.09.13
170 오늘의 메모: 듣기를 명상처럼 -잘 듣기 2021.08.29
169 정체성의 정치에 대한 논의 2021.08.25
168 20대 남자와 여자의 거리 2021.08.12
167 한나 아렌트 정치와 법의 관계 2021.08.06
166 재신론 (리차드 카니) 이방인에 대한 환대와 적대 사이 2021.07.30
165 역시 해러웨이 2021.07.30
164 걸어가는 늑대 갤러리를 다녀오다 2021.07.30
163 영화가 던져주는 화두 -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2021.06.18
162 후광 학술상 기조 강연 발표 자료 file 2021.06.15
161 사랑한다면 이제 바꿔야 할 때다 피케티 2021.06.04
160 신인류 전이수 소년의 일기 2021.06.02
159 가족 덕에, 가족 탓에- 아기 대신 친족을! 2021.05.30
158 아파서 살았다 (오창희) 2021.05.16
157 스승의 날, 기쁨의 만남 2021.05.16
156 사람이 사람에게 무릎 꿇는 세상은 (고정희) 2021.05.12
155 마을 큐레이터 양성 사업 (성북구) file 2021.05.09
154 코로나 시대 여성으로 사는 법 (이원진-해러웨이) 2021.05.09
153 기본소득 컨퍼런스 발표 초록과 ppt file 2021.04.20
152 3차 경기도 기본소득 국제 컨퍼런스 발제문 2021.04.06
151 박노해 반가운 아침 편지 2021.04.06
150 어딘의 글방- 제목의 중요성 2021.02.16
149 자기를 지키는 길은 글쓰기 밖에는 없다 2021.02.14
148 장선생을 보내며 2021.01.07
147 사회적 영성에 대하여 2021.01.01
146 제주 유네스크 잡지에 낸 글 2020.12.30
145 실기가 아니라 관점과 언어 2020.12.30
144 무엇이 우리를 살게 하는가 2020.12.29
143 시원 채록희의 영 어덜트 소설! 2020.12.27
142 글을 고치다가 골병 들겠다- 민들레 글 file 2020.12.20
141 시편 정경일 선생의 글 중 file 2020.12.09
140 영도 지역 문화 도시 지역문화 기록자 과정 file 2020.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