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지금 여기 함께 있다는 것> 조문명 해제 중

조한 2024.07.18 16:31 조회수 : 0

전 세계 경제가 급격히 글로벌화되어가는 상황에서 제임스 퍼거슨은 우리가 사라가는 구체적 삶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된 취약성을 환기하고, 현존 presence, 즉 여기에 함께 있다는 단순한 사실 위에서 공생의 자리를 구축하고자 한다. 내가 그를 알지 못해도, 굳이 그를 돕고 싶지 않아도 이미 지척에 있는 그의 '몫 share'을 나누는 행위가 빈번히 발생한다면, 그가 '여기'에 존재 한다는 명확한 사실 자체를 정치적으로 중요한 분배의 근거로 삶을 순 없을까? 시민과 국민을 가르는 배타적 성원권 대신, 우리가 이주민이나 난민과 이미 물리적으로 인접해 살아간다는 경험적 사실을 나눔의 근거로 삼는 세계를 지금과는 어떻게 다른 미래를 열어젖힐까? (10)

 

 

 

 

 

......

수렵채집 사회에 관한 연구들은 '성원권'(우리 중의 하나)과 '현존'(여기 우리와 함께 있음)의 조건이 동시에 작동할 때 분배요구가 강력한 힘을 발휘했음을 보여주는데, 양자는 실제 아프리카 남부에서 서구 정치 이론이 가정하는 것보다 훨씬 유연하게 맞물려 작동하고 있다. 신생 독립국 시절 남아공에서 시민권이 없거나 비용을 대지 못하는 사람들은 물을 공급받지 못했는데, 이런 상황이 콜레라 감염을 초래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당국은 정책을 전면 수정해야 했다. 불법 체류자의 자녀에게도 전염병 예방주사를 접종하는 일은 윤리적 고려를 넘어 실용적인 사안이라는 게 퍼거슨의 요지다. (16-17)

 

퍼거슨이 드는 사례는 대부분 내가 소개한 아파트 단지, 지하철, 행사장의 경우처럼 건조하고 시시하다. 극적인 흥분도의의도, 재미도 없다. 하지만 그런 평범한 일상이야말로 우리의 사유가가닿아야할 관계들의 보고庫가 아닐까? 그가 말하는 나눔의 대상이란 나와 정체성으로 묶인 집단도, 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동지도 아니며, (난민이든 세탁소주인이든)그저 스치고 지나치고 부딪히는 불특정 이웃일뿐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아프리카의 미니버스 택시에 탑승해보자. 병속 올리브처럼 서로 짜부라진 채덥고, 땀나고, 불편하고, 때로 위험한 마주침을 피할 수 없는 승객들. 그렇다고허허벌판에서 내릴 수도 없기에 새로 탑승한 자에게 한뼘의 공간이라도 내줘야만 하는 사람들 *목적지에 무사히도착하려면 자신의 공간 일부를 포기해서라도 타인에게 곁을 내어줄 수밖에 없다는 감각을 사회성의 원천으로 두는 세계는 분명 따뜻한 공동체와는 거리가 멀다." 연민은 커녕 짜증이 솟구친다. 하지만 바로 이 세계에서 우리는 서로 내쫓지 않고, 내쫒기지 않고 함꼐 살아간다. "우리는 진정한 의무에 따라 움직인다. 의무는 의무일 뿐이다. "  

 

    퍼거슨은 이 에세이의 초안을 2017년 가을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와 한국문화인류학회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했을 때 발표한 바 있다. 당시는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대결후 인공지    능발전에 따른 일자리 소멸의 위기감이 급증한때였고, 연구자와 시민단체뿐 아니라 주류 정치인들도 기본소득에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하던 시기였다. 그해 1월에 출간된 『분배정치의 시  대』가 분배에 관한 묵직한 학술서였음에도 기본소득필독서로 대중적인 인기를 누린 배경이기도하다.
 

   그 후 7년이 흐른 지금 한국사회의 기류는 꽤변했다. 기본소득이 철학적·이념적 논변에서 구체적·실용적인 정책의제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이념상의 기본소득과 실험 중세상이 됐다. 나는 갈데까지 간 지금이야말로로 축소되었던 분배 논의에 제대로 불을 지필 때라고 생각한다. 사회를 짓누르는 긴장과 울화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어떻게 인간'으로서 기어이 삶을 살아내고 있는지, 하루하루의 삶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현존을 통한 실천으로 몫을 확보해내는지 자세히 살피고, 그 토대위에서 새롭게 분배정치의대안과 전략을 만들어가야 할 때다. 이 책이 분배에 관한 사유와 실천적 대응을 확장하는 촉매가 될 수 있길 바란다.

 

*누군가는 위험하고 불편한 택시를 거부하고 자가용을 마련하면 되지 않느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하지만 누구나 실리콘 밸리의 부자들처럼 개인 방공호를 만들순 없다. 더구나 안전하고 사적인 공간을 찾아 재빨리 이동하는 자들도 더는 피할 수 없는 행성적 차원의 위험들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목록 제목 날짜
419 낸시 프레이저 좌파의 길 식인 자본주의 2024.08.11
418 르 귄 SF와 미래 (세상 끝에서 춤추다) 2024.07.25
417 세상의 끝에서 춤추다. (어슐러 르 귄) 2024.07.25
» <지금 여기 함께 있다는 것> 조문명 해제 중 2024.07.18
415 <지금 여기 함께 있다는 것> 퍼거슨 2024.07.18
414 <인류학으로 보는 SF> 추천의 글 2024.07.12
413 인류세 관련 정리가 잘 된 글 2024.07.10
412 조한의 말 구체성 상황적 진리, 푹 쉬고 소동 2024.07.03
411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2024.07.03
410 정성숙 모내기 하는 날 창비 주간 논평에서 2024.07.03
409 여성학회 40주년 기념 축하 글 file 2024.06.10
408 소크라테스와 제자들, 예수, 그리고 축의 시대 2024.05.20
407 스승의 날, 훈훈한 하자 동네 이야기 2024.05.09
406 쓰지는 않고 읽기만 한다 2024.05.05
405 4월 말에 본 영화들 2024.04.29
404 손희정 <손상된 행성 에서 더 나은 파국을 상상하기> 2024.04.29
403 신윤경 컬럼 20231101 2024.04.25
402 신윤경 컬럼 한라일보 4/24 2024.04.25
401 추천의 글 <기후 돌봄> 석 줄 2024.04.20
400 조민아 바이러스와 한국교회 file 2024.04.18
399 기후 돌봄 Climate Care 2024.04.15
398 윤석남 86세, 여전히 씩씩한 화백 2024.04.15
397 지관서가 세번째 정희진 소개 2024.03.30
396 이번 주 상경해서 본 영화 - 근대, 영화 감독, 그리고 희생자들 2024.03.24
395 인권축제 축하글 2024.03.24
394 4회 인권 축제 축사를 쓰다 말았다. 2024.03.24
393 지관서가 김남규 님이 보낸 삽화 2024.03.04
392 인간 삶의 취약성과 상호 연결성에 대하여 2024.03.04
391 플라톤 아카데미 1강 카드 뉴스 김남규 file 2024.03.04
390 지구의 미래 156 (프란치스코 교황과 대화) 2024.03.04
389 지관서가 2강 장동선 인트로와 다섯가지 질문 노트 file 2024.03.04
388 지관서가 강좌 시간과 장소 file 2024.03.04
387 지관서가 3월 강사 정희진 file 2024.03.04
386 지관서가 1강 엄기호 녹화버전 2024.03.04
385 인문 360 인터뷰 선망국의 시간 2024.03.04
384 아감벤 <내가 보고 듣고 깨달은 것> 중에서 2024.02.15
383 아감벤의 글 글 file 2024.02.15
382 한 강의 글/시편 2024.02.15
381 그들도 우리처럼, 우리도 그들처럼 file 2024.02.14
380 지관서가 1월 25일 1강 ppt file 2024.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