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지금 여기 함께 있다는 것> 조문명 해제 중

조한 2024.07.18 16:31 조회수 : 0

전 세계 경제가 급격히 글로벌화되어가는 상황에서 제임스 퍼거슨은 우리가 사라가는 구체적 삶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된 취약성을 환기하고, 현존 presence, 즉 여기에 함께 있다는 단순한 사실 위에서 공생의 자리를 구축하고자 한다. 내가 그를 알지 못해도, 굳이 그를 돕고 싶지 않아도 이미 지척에 있는 그의 '몫 share'을 나누는 행위가 빈번히 발생한다면, 그가 '여기'에 존재 한다는 명확한 사실 자체를 정치적으로 중요한 분배의 근거로 삶을 순 없을까? 시민과 국민을 가르는 배타적 성원권 대신, 우리가 이주민이나 난민과 이미 물리적으로 인접해 살아간다는 경험적 사실을 나눔의 근거로 삼는 세계를 지금과는 어떻게 다른 미래를 열어젖힐까? (10)

 

 

 

 

 

......

수렵채집 사회에 관한 연구들은 '성원권'(우리 중의 하나)과 '현존'(여기 우리와 함께 있음)의 조건이 동시에 작동할 때 분배요구가 강력한 힘을 발휘했음을 보여주는데, 양자는 실제 아프리카 남부에서 서구 정치 이론이 가정하는 것보다 훨씬 유연하게 맞물려 작동하고 있다. 신생 독립국 시절 남아공에서 시민권이 없거나 비용을 대지 못하는 사람들은 물을 공급받지 못했는데, 이런 상황이 콜레라 감염을 초래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당국은 정책을 전면 수정해야 했다. 불법 체류자의 자녀에게도 전염병 예방주사를 접종하는 일은 윤리적 고려를 넘어 실용적인 사안이라는 게 퍼거슨의 요지다. (16-17)

 

퍼거슨이 드는 사례는 대부분 내가 소개한 아파트 단지, 지하철, 행사장의 경우처럼 건조하고 시시하다. 극적인 흥분도의의도, 재미도 없다. 하지만 그런 평범한 일상이야말로 우리의 사유가가닿아야할 관계들의 보고庫가 아닐까? 그가 말하는 나눔의 대상이란 나와 정체성으로 묶인 집단도, 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동지도 아니며, (난민이든 세탁소주인이든)그저 스치고 지나치고 부딪히는 불특정 이웃일뿐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아프리카의 미니버스 택시에 탑승해보자. 병속 올리브처럼 서로 짜부라진 채덥고, 땀나고, 불편하고, 때로 위험한 마주침을 피할 수 없는 승객들. 그렇다고허허벌판에서 내릴 수도 없기에 새로 탑승한 자에게 한뼘의 공간이라도 내줘야만 하는 사람들 *목적지에 무사히도착하려면 자신의 공간 일부를 포기해서라도 타인에게 곁을 내어줄 수밖에 없다는 감각을 사회성의 원천으로 두는 세계는 분명 따뜻한 공동체와는 거리가 멀다." 연민은 커녕 짜증이 솟구친다. 하지만 바로 이 세계에서 우리는 서로 내쫓지 않고, 내쫒기지 않고 함꼐 살아간다. "우리는 진정한 의무에 따라 움직인다. 의무는 의무일 뿐이다. "  

 

    퍼거슨은 이 에세이의 초안을 2017년 가을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와 한국문화인류학회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했을 때 발표한 바 있다. 당시는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대결후 인공지    능발전에 따른 일자리 소멸의 위기감이 급증한때였고, 연구자와 시민단체뿐 아니라 주류 정치인들도 기본소득에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하던 시기였다. 그해 1월에 출간된 『분배정치의 시  대』가 분배에 관한 묵직한 학술서였음에도 기본소득필독서로 대중적인 인기를 누린 배경이기도하다.
 

   그 후 7년이 흐른 지금 한국사회의 기류는 꽤변했다. 기본소득이 철학적·이념적 논변에서 구체적·실용적인 정책의제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이념상의 기본소득과 실험 중세상이 됐다. 나는 갈데까지 간 지금이야말로로 축소되었던 분배 논의에 제대로 불을 지필 때라고 생각한다. 사회를 짓누르는 긴장과 울화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어떻게 인간'으로서 기어이 삶을 살아내고 있는지, 하루하루의 삶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현존을 통한 실천으로 몫을 확보해내는지 자세히 살피고, 그 토대위에서 새롭게 분배정치의대안과 전략을 만들어가야 할 때다. 이 책이 분배에 관한 사유와 실천적 대응을 확장하는 촉매가 될 수 있길 바란다.

 

*누군가는 위험하고 불편한 택시를 거부하고 자가용을 마련하면 되지 않느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하지만 누구나 실리콘 밸리의 부자들처럼 개인 방공호를 만들순 없다. 더구나 안전하고 사적인 공간을 찾아 재빨리 이동하는 자들도 더는 피할 수 없는 행성적 차원의 위험들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목록 제목 날짜
346 마을 음악회 file 2023.08.02
345 마을 셔틀 버스 file 2023.08.02
344 나는 매일 웃는 연습을 합니다. 2023.08.02
343 고통의 시학 2023.08.02
342 호수는 그 자리에 그대로 file 2023.08.02
341 기후 책 2023.08.02
340 기내 영화관 4편 2023.07.30
339 아이의 고통체-톨레 2023.07.30
338 친절함, 호혜의 세계를 넓히려면 2023.07.30
337 브런치 북 출판 프로젝트를 보며 2023.07.30
336 국가 민족 인종의 고통체 2023.07.30
335 여성의 집단적인 고통체 -톨레 204-207 2023.07.30
334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톨레 2023.07.30
333 올 여름도 멤모스 호수 file 2023.07.27
332 사랑하는 당신에게 (영화)- 상실과 애도에 관한 이야기 2023.07.27
331 <안심 협동조합 10년의 수다> 추천의 글 2023.07.14
330 조민아 <일상과 신비> 저자와의 대화 2023.07.12
329 박노해 시, 오늘 살아갈/죽어갈 자리 2023.07.06
328 나의 페미니즘, 창조적 공동체를 살다/살리 2023.05.24
327 세포들에게 감사 2023.05.22
326 별꼴 소년들과 함께 할 영화 인문학 2023.05.13
325 페미니즘 고전 읽기 2023.04.30
324 "챗GPT 사전에 ‘모른다’는 없다" (중앙일보 04292023) 2023.04.30
323 우리 동네 중딩과 함께 놀고 배우고 2023.04.22
322 황윤 감독의 신작 <수라> 관객이 만드는 시사회 2023.04.22
321 중딩 모임 이름은 <바람이 불어오는 곳> 2023.04.22
320 무문관을 지나며 -강신주 강의 2023.03.31
319 어린이 선흘 마을 예술 학교 4/17-5/3 월수금 2023.03.31
318 AI 실험을 잠시 멈추자는 공개서한 2023.03.31
317 탐라 도서관 강의 file 2023.03.24
316 연대 치대 강의 ppt file 2023.03.14
315 부산 건강마을센터 강의 ppt file 2023.03.14
314 정경일 선생의 사회적 영성 탐구 2023.03.02
313 discontent of democracy 추천의 글 file 2023.03.01
312 정당성 위기에서 재정 위기로 2023.02.24
311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는 동행 가능한가 -슈트렉 서평 2023.02.24
310 책소개 금융자본주의의 폭력 2023.02.24
309 수주 박형규 목사 탈춤 예수전 file 2023.02.11
308 2월 번개 영화관 <안녕, 소중한 사람> 2023.02.11
307 상큼한 컬럼 하나 <상냥함에 물들기> 2023.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