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Field Trips Anywhere
CHO(HAN)Haejoang

‘죽은 물질 되살리는’ 신유물론 고명섭기자

조한 2025.01.19 21:02 조회수 : 0

[&생각] 21세기 철학의 최전선, ‘죽은 물질 되살리는신유물론

고명섭기자

 

수정 2024-04-19 09:38등록 2024-04-19 05:00이 책은 신유물론이다

심귀연 지음 l l 16800

 

생태인문학을 연구하는 심귀연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가 쓴 이 책은 신유물론이다는 제목 그대로 21세기 철학 최전선에 서 있는 신유물론을 안내하는 책이다. 지은이는 신유물론이 무엇인지 간략히 살피고, 신유물론을 대표하는 철학자 다섯 명(브뤼노 라투르, 로지 브라이도티, 제인 베넷, 도나 해러웨이, 카렌 바라드)의 사상을 안내한다.

 

신유물론이라는 용어는 1990년대 후반에 처음 등장했다. 신유물론이 왜 새로운유물론인지 알려면 먼저 과거의 유물론을 보아야 한다. 종래의 유물론은 물질이 인간의 의식에서 독립돼 있으며, 그 물질이 의식보다 선차적이고, 의식은 물질에 부수되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특히 근대철학의 문을 연 데카르트가 의식 혹은 정신을 중심에 놓은 것에 반대해 물질을 중심에 놓은 것이 근대 유물론의 시작이다. 데카르트의 정신-물질이분법을 받아들이되, 의식보다 물질을 우위에 놓고 의식을 물질의 파생물로 이해하는 사고방식이 근대 유물론이다. 그러나 근대 유물론은 데카르트와 마찬가지로 물질의 능동성과 창조성을 부정했다. 인간의 몸이나 다른 동물의 몸을 일종의 기계라고 보거나, 비생명체인 사물을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죽은 물질이라고 본 것이다.

 

신유물론은 종래 유물론의 바로 이런 관점을 비판하고, 물질이 기계적으로만 작동하거나 수동적으로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며 스스로 자기를 창조하는 활력을 지녔다고 본다. 데카르트의 정신-물질이분법을 거꾸로 뒤집는 데 그치지 않고, 인간의 몸과 동식물뿐만 아니라 무생물도 모두 능동적으로 활동한다고 보는 것이다. ‘죽은 물질을 되살리는신유물론의 이런 지향은 정치적·윤리적 함의도 지닌다. 다시 말해 신유물론은 인간과 비인간 존재자들이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가 하는 물음을 던진다. 특히 비인간 존재자들을 개발해 이용할 대상으로만 본 인간중심주의가 미증유의 생태 위기를 불렀다는 인식이 신유물론의 바탕에 깔려 있다.

 

지은이는 신유물론의 이런 관점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되, 그런 관점에 깃든 위험성도 지적한다. 인간 아닌 모든 생명과 사물을 의인화함으로써 그 비인간 존재자들이 인간처럼 느끼고 생각한다고 여기는 것이 그런 위험이다. 비인간을 의인화하는 것은 그 존재자들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고, 인간과 비인간이 좋은 관계를 맺는 데도 장애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신유물론의 대표자로 먼저 프랑스 철학자 브뤼노 라투르(1947~2022)를 소개한다. 라투르의 신유물론은 행위자-연결망 이론으로 집약되는데, 이 이론은 인간과 비인간이 모두 행위자로 존재하며 행위자들은 연결망을 통해서 자신을 드러낸다고 말한다. 인간만이 행위 주체이고 비인간은 그 행위의 대상이라는 인간중심적 관점을 비판하고, 비인간 존재자도 인간과 동등한 행위자로 서로 연결된 채 이 세계의 생성과정에 참여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라투르는 근대인이 문명과 자연을 나눈 뒤 문명이 자연을 완전히 지배한다는 꿈을 꾸었으나 그 꿈은 실현된 적이 없다고 지적한다. 라투르가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고 말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라투르는 자연의 능동적 행위에 주목하고 그 자연의 행위가 인간의 행위와 연결돼 있음을 강조한다.

 

이 책이 두 번째로 소개하는 로지 브라이도티는 신유물론적 페미니즘 이론가라고 할 수 있는데, 남성과 여성,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허물고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주목한다. 브라이도티는 마누엘 데란다와 함께 신유물론이라는 말을 처음 쓴 사람이기도 하다. 또 제인 베넷은 물질의 생동성을 강조하는 생기론적 유물론의 주창자다. 동식물뿐만 아니라 사물도 살아 있는 존재자로서 능동적으로 활동한다고 본다. 물질과 생명의 이분법을 부정하는 것이다. ‘사이보그 선언으로 유명한 도나 해러웨이는 인간과 기계의 연결 자체를 존재의 확장으로 본다. 일상에서 기계와 접속해 살 수밖에 없는 이상, 우리 인간은 모두 사이보그인 셈이다. 마지막으로 카렌 바라드는 양자물리학의 성과를 사유의 기반으로 삼아, 인간을 포함해 모든 사물은 독립된 존재자가 아니라 얽힘의 관계에 있다는 철저한 관계주의를 주장한다.

 

고명섭 선임기자 michael@hani.co.kr

 

 

 

목록 제목 날짜
456 지구와 사람 라투르 찬미 받으소서 2025.01.19
455 유물론에서 끌어낸 낯선 신학 2025.01.19
» ‘죽은 물질 되살리는’ 신유물론 고명섭기자 2025.01.19
453 라투르 존재양식의 탐구 - 근대인의 인류학 2025.01.19
452 할망 미술관, 희망은 변방에서, 엄기호 2025.01.19
451 손희정- 그래서 시시했다/너무 고상한 죽음? room next door 2025.01.12
450 AI가 인간에게 보내는 편지 - 얼르는 버전 2025.01.12
449 AI가 인간에게 보내는 편지 2025.01.12
448 인간의 두려움 달래는 시 + 인간인척 하는 AI 2025.01.12
447 male frame female pictures 2025.01.05
446 감기 2024.12.30
445 걱정 드로잉과 재난 유토피아 file 2024.12.30
444 긴박했던 6시간, 내가 총구 앞에 2024.12.23
443 여가부 폐지에 맞서 싸우는 한국 여성들 2024.12.23
442 bbc 뉴스 상식적 사회면 좋겠다 2024.12.23
441 탄핵 투표 가장 먼저 국힘 김예지 2024.12.23
440 '탄핵안이 통과된 순간' 시민들의 반응은? 2024.12.23
439 BBC가 2024년 가장 눈길을 끈 12장의 이미지 2024.12.23
438 수력 문명, 그리고 플라넷 아쿠아 (리프킨) 2024.11.25
437 4. 3 영화제 2024.11.25
436 도덕적 우월감은 독약 (강준만) 2024.11.25
435 시 하나, 주문 하나 2024.11.25
434 돌봄이 이끄는 자리 추천의 글 2024.11.20
433 평창 예술마을 컨퍼런스 발표문 file 2024.11.16
432 오지랍의 정치학 2024.11.16
431 강원네트워크 2024.11.08
430 새로운 학교, 교사들의 즐거운 시작 file 2024.11.08
429 새로운 학교 강원 네트워크 플레이리스트 2024.11.08
428 김진호 안병무 오클로스론의 현재성 2024.10.05
427 안병무론 현존 2024.10.05
426 선악의 기원 2024.09.13
425 정경일의 글을 읽다 요약해본 것 2024.09.11
424 세계 민주주의의 날 톡 콘서트 티저 그리고 발표ppt file 2024.09.11
423 세계 민주주의의 날 발표문 file 2024.09.11
422 할머니 교회 창립 95주년 기념하는 글 2024.09.11
421 9/2-9/9 바쁜 서울 일정 중 영화 2024.09.11
420 퍼펙트 데이즈와 빔 벤더스 2024.09.11
419 낸시 프레이저 좌파의 길 식인 자본주의 2024.08.11
418 르 귄 SF와 미래 (세상 끝에서 춤추다) 2024.07.25
417 세상의 끝에서 춤추다. (어슐러 르 귄) 2024.07.25